•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咨文’을 통한 朝鮮과 明의 中江開市 開設과 革罷과정 분석 (An Analysis of Opening and Abolition Process of Jungganggaeshi(中江開市) between Chosun and Ming through 'Jamun'(咨文))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14.08
25P 미리보기
‘咨文’을 통한 朝鮮과 明의 中江開市 開設과 革罷과정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문서학회
    · 수록지 정보 : 古文書硏究 / 45권 / 159 ~ 183페이지
    · 저자명 : 심재권

    초록

    중강개시는 종전의 명나라와 행해져 왔던 사대 외교적 차원의 사행무역과는 차원이 다른 대등한 공식적 무역이란 점에서 매우 의의가 높다. 중강개시와 관련하여 지금까지 알려진 일반적 사실은, 임진왜란 중의 飢荒을 계기로 요동의 米穀을 수입하고자 조선의 요청에 의해 1593년에 개설되었고, 왜란이 끝나고 난 후 다시 조선의 요청에 의해 1601년 폐지되었으나, 그 이듬해 고 태감의 압력에 의해 다시 개설 운영되다가, 1609년에 완전히 폐지되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 중국의 국가박물관에서 발견된 1612년 조선에서 명의 예부에 보낸 중강개시 혁파를 요청하는 자문은 이러한 일반적 견해에 대한 재 고찰의 필요성을 낳게 하였다.
    이 연구는 조선과 명 사이에 왕래한 실질적이고도 실무적 외교문서인 ‘咨文’의 분석을 통해 압록강 義州의 對岸 中江에서 조선과 명 사이에서 열렸던 중강개시의 개설과 혁파 과정을 재 고찰해 보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 『조선왕조실록』에 수록된 중강개시의 자문과 중국 국가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자문 등을 근거로 하여 분석한 결과, 중강개시의 혁파는 1609년이 아닌 1612년 7월 7일에 명의 예부에 보낸 자문에 근거하여 1613년 정월 26일에 비로소 완전히 혁파하게 되었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따라서 기존에 통설처럼 되어 있는 1609년의 중강개시 혁파는 수정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주장의 중요한 근거로는 조선과 명 사이에서 왕래한 외교문서인 자문이다. 이런 점에서 자문은 조선과 명의 국제관계사를 연구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사료가 될 것이다.

    영어초록

    Jungganggaeshi is very significant in that it is equal and official trade which is different from envoy trade with the previous Ming dynasty at the level of toadyism diplomacy.
    The general fact which has been known up to now with Jungganggaeshi is that it was established by Chosun in 1593 to import food grains with famine from Yodong during Ymjinwaeran(Japn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was abolished by Chosun in 1601 after Ymjinwaeran. However, it was open and operated again by the pressure of eunuch Ko in 1602, and was completely abolished in 1609.
    Recently, however, Jamun (practical and official diplomatic document) requiring the abolition of Jungganggaeshi which Chosun sent to Yebu(government office) of Ming dynasty in 1612 and has been discovered in a national museum of China needs re-examination about the above general opin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Jamun' between Chosun and Ming dynasty and to reconsider the opening and abolition of Jungganggaeshi which was established between Chosun and Ming dynasty in Junggang near Yijoo of the Yalu river.
    For this study, Jamoon of Jungganggaeshi in 'the Annals of the Chosun Dynasty' and the Jamoon in a national museum in China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 that Jungganggaeshi was completely abolished not in 1609, but January 26 of 1613 based on Jamun which was sent to Yebu(government office) of Ming dynasty in July 7 of 1612.
    Therefore, the existing abolition of Jungganggaeshi of 1609 needs to be revised. Jamun(diplomatic document) between Chosun and Ming dynasty can be a significant evidence to be very important and historical document for the research of international relations history between Chosun and Ming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