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북한 내 “사람값” 담론과 소수자 유형 분류 시도 (Minorities in North Korea: Who are They and Why are They Classified as Minorities?)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15.03
31P 미리보기
북한 내 “사람값” 담론과 소수자 유형 분류 시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아세아연구 / 58권 / 1호 / 7 ~ 37페이지
    · 저자명 : 김석향

    초록

    오늘날 북한과 소수자라는 두 단어의 조합은 북한이탈주민이 한국사회에 정착하는 과정에서 각종 차별이나 불이익을 경험하는 현상을 의미하는 경우가 많다. 이 논문은 기존의 연구관행과 달리 북한 내 소수자 문제에 주목하고자 한다.
    결국 북한도 사람 사는 세상인 만큼 당연히 소수자가 있을 것이고 또 “있어야 마땅한” 일이다. 그런데 북한 내부에서는 무엇을 기준으로 소수자를 구분하고 있을까? 이 문제의 답을 찾아보고자 한다.
    이 논문은 기본적으로 한국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과 면담한 내용을 토대로 북한 내 소수자 집단은 누구이며 그 분류의 기준은 무엇인지, 또 이들은 어떤 특성을 지니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북한 내 소수자 구분의 기준은 “사람값” 담론으로 나타났다. “사람값” 담론에 따라 성별과 장애 및 토대⋅성분⋅입당 여부 등 세 가지 유형으로 북한 내 소수자 유형을 구분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19990년 이후 고난의 행군기를 거치고 2009년 화폐개혁을 경험하면서 북한주민의 소수자 구분의 기준에 미세한 균열이 발생하기 시작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비록 그 영향이 아직 크지 않지만 앞으로 북한 내 소수자 구분의 기준이 예전과 달라질 가능성을 가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It is quite natural to see minorities in communities where people gather and live together. North Korea is no exception. This paper aims to classify the types of minorities in North Korea and identify why they are considered minorities. The basic materials used in proceeding the research are interviews with the North Korean defectors since September 2010 to the present.
    There are various types of minorities in North Korea. One of the main criteria to distinguish who is minority and who is not in North Korea is “the concept of pricing human being.” The majority of interviewees used the concept of “a person of no value” when they referred to a particular type of person. For instance, compared to men, women “somehow (somewhat)” have lower (or no) value, and disabled person indeed has far lower value than non-disabled. Out of the disabled, only the disabled veterans (honored soldiers) are “sort of valuable.” Other types have absolutely “no value.” If one accidently or mistakenly injured by oneself, or if one is a congenital defect from birth, he or she could not be “a valuable person.” The majority of interviewees showed firm stand without the slightest hesitation when evaluating members of a particular group with no value.
    This paper primarily aimed at examining how North Korean defectors describe the types of minorities and their everyday lives within North Korea. In the process of interview, however, it it clearly revealed their everyday experiences with those minorities within North Korea. It can be seen from the interviews that although the North Korean defectors are aware of the equality that the society aims, they experienced discrimination against minorities without realizing it in daily life.
    In fact, the researcher’s fundamental interest was about how to understand the class conflict of the North Korean defectors. In the process of the research, it was found that this problem does not simply fall under the category of the social class, but acts as the main factor that affects the overall settlement process of the people. North Korean defectors will inevitably go through the process of building personal relationships by linking themselves to their school alumni and colleagues at work. and look for potential friends and/or co-workers as they settle in the unfamiliar Korean society. However, individuals’ experiences of the social classes appear to be a matter of their own when the North Korean defectors are unable to clearly express what they want while their supporters do not know how to guide them. With regard to the experiences of the social class, it is necessary to first accurately determine the trajectory of life that these people have experienced in North Korea in order to guide them in finding a way on their own. At this point this paper holds the signific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아세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