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TV 드라마 속 이계(異界)의 시공간적 특징에 대한 일고찰―「도깨비」(2016), 「호텔 델루나」(2019), 「쌍갑포차」(2020)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another world in Korean TV dramas―Focusing on “Dokkaebie” (2016), “Hotel Del Luna” (2019), and “Ssangapocha” (2020)―)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21.12
31P 미리보기
한국 TV 드라마 속 이계(異界)의 시공간적 특징에 대한 일고찰―「도깨비」(2016), 「호텔 델루나」(2019), 「쌍갑포차」(2020)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민족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논집 / 93호 / 145 ~ 175페이지
    · 저자명 : 최영희, 문현선

    초록

    현실의 조건을 극복하고자 하는 인간의 원망(願望)은 시공간의 초월을 꿈꾸는 상상력을 통해 시간여행을 모티프로 삼는 스토리텔링을 발전시켰다. 2010년 중반 이후 한국 대중문화에서도 이와 같은 모티프들이 지배적인 영향력을 발휘하면서 판타지 TV 드라마 「도깨비」, 「호텔 델루나」, 「쌍갑포차」 등이 대중의 호응을 얻기에 이른다. 이 드라마들의 특징은 시공간의 제약을 벗어나는 초월적인 능력을 지닌 캐릭터를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이 캐릭터들은 ‘망각(忘却)의 찻집’, ‘영빈(靈賓) 전용 호텔’, ‘현실 전복을 위한 진입로로서의 포장마차’라는 특수한 공간을 지배한다. 본고에서는 세 편의 TV 드라마 속 ‘이계(異界)’ 공간의 장소성을 고찰하고 스토리텔링과의 관련성을 면밀히 검토함으로써 현대 한국 대중문화의 한 가지 흐름을 이해하는 데 일차적인 목표를 두었다. 각각의 드라마가 묘사하는 공간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그 스토리텔링의 심층 구조를 이해하는 하나의 방식이라고도 할 수 있다.
    「도깨비」에서 ‘망자의 찻집’은 괴로운 과거의 기억에 시달리는 저승사자에게 주어진 유예의 시공간이다. 그는 이 공간에서 타자의 기억을 헤아리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과오를 직면하는 선택의 용기를 획득한다. 「호텔 델루나」의 월령수는 주인공 장만월의 시간이 봉인된 장소로 ‘호텔’ 그 자체와 동일시된다. 천 삼백 년 동안 싹도 트지 않고 꽃도 피지 않았던 나무는 장만월의 얼어붙은 마음이 녹고 감정이 움직여 과거의 원한을 내려놓기 시작하면서 변화를 일으킨다. 「쌍갑포차」의 ‘포장마차’는 현실에 속한 자의 의지와 그승을 지배하는 자의 능력이 조우하는 전이 공간이면서 양자가 동시에 주체로 나설 때 이루어지는 저항의 공간으로 그려진다. 저승사자, 장만월, 월주는 기억을 되살리고 자신의 과오와 직면하며 주어진 현실의 조건에 저항함으로써 ‘미래’로 나아간다. 이들의 선택은 시공간을 초월하는 능력이 그들의 삶을 구원하지 못하며, 현실에 직면하는 의지와 행동만이 시공간적 제약을 극복하는 유일한 방법이라는 사실을 증명한다. 시간여행 모티프는 현실에서는 불가능한 일을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해주는 판타지 스토리텔링을 지향한다. 미래의 삶은 이미 일어난 과거를 주어진 세계 조건으로부터 도망치는 데서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그 세계의 조건에 대처하고 사건의 정황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자신의 선택을 바꾸는 데서 시작한다. 과거, 현재, 미래라는 시간이 인간의 정신 속에서 규정되는 것처럼, 그 시간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의 문제도 결국은 인간 주체의 결정과 행동에 달려있다는 사실을 이 판타지 드라마들은 보여준다.

    영어초록

    Human resentment to overcome the conditions of reality has developed storytelling that uses time travel as a motif through the imagination of dreaming of transcendence between time and space. Since mid-2010, such motifs have become dominant in Korean popular culture. For that reason, fantasy dramas “Dokkaebie”, “Hotel Del Luna”, and “Ssanggapocha” received public response. The characteristic of these dramas is that they put characters with transcendent abilities beyond the constraints of time and space at the forefront. In addition, these characters dominate special spaces such as ‘teahouse of oblivion’, ‘hotel dedicated to the soul’, and ‘geuseung for abalone of reality’. In this paper, the location of the ‘another world’ space in three dramas is considered and the relationship with storytelling is closely reviewed.
    Based on this, the primary goal was to understand the flow of modern Korean pop culture.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described by each drama is a way to understand the deep structure of the storytelling.
    The Grim Reaper, Jang Man-wol, and Wolju move toward the ‘future’ by reviving memories, facing their mistakes, and resisting the conditions of the given reality. Their choice proves that the ability to transcend time and space does not save their lives, and that the will and actions facing reality are the only way to overcome time and space constraints. Time travel motifs aim for fantasy storytelling that allows you to experience indirectly what is impossible in reality. However, no matter how enchanting magic is experienced in the fantasy world, fantasy itself does not solve our real problems. Future life does not start by running away from the given world conditions, but by changing one’s choice to cope with the world’s conditions and influence the situation of events. Just as the time of the past, present, and future is defined in the human mind, these fantasy shows that the question of how to use that time eventually depends on the decision and action of the human subjec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