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전감을 반영한 가상⋅증강현실 콘텐츠 디자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tents Design of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Reflecting Presence)

1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17.09
15P 미리보기
현전감을 반영한 가상⋅증강현실 콘텐츠 디자인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23권 / 3호 / 139 ~ 153페이지
    · 저자명 : 김우상, 나건

    초록

    본 연구는 가상⋅증강현실의 개념 및 현황을 파악하고 현전감 개념과 결정요소를 논의하여 가상⋅증강현실 콘텐츠 디자인의 방향성을 조망하고자 한다. 또한향후 현전감을 반영한 가상⋅증강현실 콘텐츠 디자인을 위해 이론적이고 체계적인 학술 자료를 제공하고자연구되었다. 연구 범위는 가상⋅증강현실의 개념 및 현황 파악, 현전감 개념과 결정요소 분석, 현전감 결정요소와 가상⋅증강현실 콘텐츠 디자인 간 연관성 파악을 위한사례 분석이며, 이를 종합하여 현전감을 반영한 콘텐츠 디자인 방향성 논의로 결론에 이른다.
    연구 방법은 국내외 정보 DB 및 웹(Web) 검색, 도서 출판물을 통한 논문, 단행본 등 문헌조사와 분석을중심으로 하였다.
    연구 내용과 결과는, 첫째, 가상⋅증강현실의 기술중심적 관점은 가상⋅증강현실의 폭 넓은 적용을 막고, 경험적 가치를 제공하는 콘텐츠 개발에 통찰력을제공하지 못하였다. 수용자가 환경에 몰입하게 만드는현전감을 가상⋅증강현실 콘텐츠 디자인에 반영한다면수용자에게 높은 경험적 가치를 제공하고 새로운 미디어 활용의 확대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현전감 결정요소에는 개인적 요소, 사회적 요소, 환경적 요소가 있다. 개인적 요소는 감각의 폭과감각의 깊이를 포함한다. 감각의 폭에는 방향감각, 청각, 촉각, 미각과 후각, 시각이 있으며, 감각의 깊이에는 질, 밀도, 양이 있다. 사회적 요소는 즉시성, 친밀성, 공유성, 적극적 상호 작용성이며, 환경적 요소는 감각적 변화의 능력, 환경적 변화의 능력, 범위, 일치성, 속도 등이 있다.
    셋째, 현전감을 반영한 가상⋅증강현실 콘텐츠 디자인의 방향을 제시하면, 먼저, 인간의 감각요소를 이해하고 이를 충족시켜야 한다. 수용자의 현전감 촉발에는 감각자극이 큰 요인이므로 감각요소에 대한 다각적, 심층적 이해가 필요하다. 다음으로, 커뮤니케이션의 구조적 특성을 고려한 상호작용 요소의 적용이 필요하다. 전통적 미디어와 가상⋅증강현실에서 각각 이루어지는 커뮤니케이션 속성의 차이를 충분히 인식하고, 현전감 향상을 위한 상호작용 요소를 반영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수용자 경험을 중심으로 효율성과 적절성을 고려하여 현전감 결정요소를 반영해야 한다.
    가상⋅증강현실 콘텐츠 디자인에서 현전감의 결정요소를 동일하게 반영하는 것은 기술적 한계가 따른다. 콘텐츠의 목적과 컨셉에 맞는 요소를 선택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가 수용자의 경험적 가치를 고려한 가상⋅증강현실 콘텐츠 개발과 가상⋅증강현실의 대중적 보급확대를 위한 기초연구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oncept and status of virtual⋅augmented reality, to discuss the presences concept and its determinants, to examine the virtual⋅augmented reality contents design direction, It has been studied to provide systematic academic data.
    The scope of the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concept and status of virtual⋅augmented reality, to analyze the case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ence decision factor and the virtual⋅augmented reality contents design, and It is concluded by discussing the direction of contents design reflecting the presence The research method focused on the research and analysis through domestic and foreign information DB and web search, literature through book publications, and monographs.
    The contents and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technology - oriented view of virtual⋅ augmented reality prevents the broad application of virtual⋅augmented reality and fails to provide insight into content development that provides empirical value.
    Therefore, if presence that makes the audience immersed in the environment is reflected in the virtual⋅ augmented reality contents design, it can provide high empirical value to the audience and can expect to expand the use of new media.
    Second, there are individual factors, social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presence decision - making factors. Personal factors include the width of the senses and the depth of the senses. The width of the senses includes direction, hearing, tactile sensation, taste and smell, and vision, and the depth of sensation has quality, density and quantity. Social factors are immediacy, intimacy, sharing, and active interactivity. Environmental factors are the ability of sensory change, the ability of environmental change, scope, consistency, and speed.
    Third, when presenting the direction of virtual⋅ augmented reality contents design that reflects presence, first, we must understand human senses and satisfy them. Since sensory stimulation is a major factor in triggering presence, multifaceted and in-depth understanding of sensory elements is necessary. Next, it is necessary to apply interaction elements considering the structural property of communication. It is necessary to fully recognize the differences in communication property between traditional media and virtual⋅augmented reality, and to reflect interaction elements to improve presence. Finally, considering the efficiency and aptness of the audience experience,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determinants of the present situation. It is technically limitless to reflect the determinants of presence in virtual⋅ augmented reality contents desig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elect the elements that match the purpose and concept of the content and apply it efficiently.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can be used as basic research data for developing virtual⋅augmented reality contents considering the empirical value of the audience and expanding the use of virtual⋅augmented reality in the future and increasing populariz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