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브랜드 공간에 적용된 VMD의 색채감성요인(色彩感性要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lor Emotional Factors of VMD in Brand Space)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16.06
13P 미리보기
브랜드 공간에 적용된 VMD의 색채감성요인(色彩感性要因)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1권 / 3호 / 105 ~ 117페이지
    · 저자명 : 왕동걸, 이정교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사회는 급증하는 브랜드와 다양한 소비자에 대응하기 위해 소비환경이 변화하고 있다. 그리고 소비자는 심리적·감성적 욕구 만족을 원하는 감성 소비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환경 변화에 따른 소비자를 위한 마케팅 방안으로 VMD의 색채 감성 표현이 중요시 된다. 특히 현대 중국의 패션산업을 주도하고 있는 글로벌 SPA 패션 브랜드는, 빠른 트렌드 변화에 반응하는 SPA 브랜드의 특성과 함께 소비자를 만족시키는 감성 표현에 집중하고 있다. VMD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SPA 패션 브랜드의 브랜드 공간에 적용된 소비자의 심리적이고 감성적인 충족을 가져올 수 있는 VMD의 색채감성요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공간의 개념 및 특성에 대한 이론 연구를 진행하고, VMD의 공간적 구성요소와 VMD 색채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과 참고자료를 활용하여 색채조화론과 공간디자인 관점에서의 색채감성요인을 도출하였다. VMD의 공간적 구성요소와 색채감성요인을 구조화한 브랜드 공간 분석 매트릭스를 기준으로 하여, 중국 북경 서단 지역에 있는 글로벌 SPA 패션 브랜드로 범위를 한정하여 브랜드 공간을 사례분석 하였다. (결과) 첫째, 브랜드 공간의 VMD 공간요소 대부분이 난색조로 연출되어 상품의 다양한 색채를 부각시키기 위해 공간적으로 시각적 부드러움과 편안함 부여를 위한 고명도와 저채도의 유사범위의 색상으로 표현되어 있었다. 둘째, 대량 생산과 판매를 목표로 하는 SPA 패션 브랜드 전략으로의 VMD의 색채감성요인은, 색채조화론 관점에서 명도, 채도에 의한 질서성과 유사성을 중심으로 적용되고 다양한 범위의 색상을 포인트로 사용하며 시각적 감성을 자극하는 브랜드 공간으로 표현되어 있었다. 셋째, 공간디자인 관점에서의 VMD 색채감성요인은 공간의 접근성과 편안성을 중점적으로 반영되어 있었는데 이는 동일하고 유사한 색채 연출을 통한 심리적 접근성을 통해 공간으로의 유입을 유도하며 감성적 편안함을 공간 속에서 유지시켜주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이를 통해 VMD의 색채감성요인은, 브랜드 공간에서의 공간디자인을 통한 소비자 중심의 감성 충족 공간에서의 커뮤니케이션 채널 역할을 수행하는데 필수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The consumption environment in the modern society is changing in response to fast-growing brands and a variety of consumer tastes. And consumers show an emotional consumption trend to satisfy their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esires. As a marketing method for consumers in the environment change, expressing the color emotion of VMD has great importance. In particular, Global SPA Fashion Brands leading the fashion industry of modern China are concentrating on the emotional expression to satisfy consumers in response to the fast trend change. For maximization the effect of VMD, the authors draw the color emotional factors of VMD applied to the brand space of the SPA fashion brands for consumers to get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atisfaction. (Method) In this study, the authors conduct theoretical research on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brand space, and draw the color emotional factors from the color harmony theory and the spatial design perspective by analyzing preceding research and utilizing references on spatial components of VMD and VMD colors. On the basis of brand space analysis matrix which structuralize spatial components and color emotional factors of VMD, the case study on the brand space of the global SPA fashion brands limited in Xidan, Beijing, China, was conducted. (Results) First, most of spatial components of VMD in the brand space is presented in earth tone in order to highlight a variety of different colours of products, and is expressed in analogous colors of high brightness and low saturation in order to bring visual softness and sense of comfort into the space. Second, from the color harmony theory perspective, the color emotional factors of VMD as a SPA fashion brand strategy targeting mass production and sales are applied for the order and the similarity by using brightness and saturation, are using a wide range of colors as a point, and are expressed for the brand space to stimulate the visual emotion. Third, from the spatial design perspective, the color emotional factors of VMD are used to reflect mainly the accessibility and the sense of comfort of the space in which the effect of inducing access to the space and of maintaining emotional comfort in the space is made through the psychological accessibility by presenting the same and the kind of colors. (Conclusion) Through this, the color emotional factors of VMD are found to be essential factors in playing a communication channel role in the consumer-centric space for emotional satisfaction through the spatial design in the brand spa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2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