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남한청소년의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요인 (Correlates of Social Distance towards the North Korean Refugees among South Korean Youth)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18.06
26P 미리보기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남한청소년의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요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 수록지 정보 : 유라시아연구 / 15권 / 2호 / 17 ~ 42페이지
    · 저자명 : 김희진

    초록

    한국사회가 다문화사회로 진입함에 따라 다양한 문화 간 상호이해와 사회통합이 중요한 이슈로 등장하였다. 한국의 청소년들은 생애 초기부터 다문화사회에서 살고 있고, 다양한 집단에 대한 이해와 수용 능력을 향상시켜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청소년들이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느끼는 사회적 거리감의 실태를 살펴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였다.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방식으로 조사를 수행하였고 325명의 데이터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Bogardus 척도를 사용하여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일반 청소년들의 사회적 거리감 실태를 살펴본 결과, 남한 성인에 비해 청소년들이 북한이탈주민에 대해 사회적 거리감을 덜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국가’에서부터 ‘배우자’에 이르기까지 수용하는 비율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지 않고 크게 세 개의 그룹으로 묶이는 특징을 보였다. 즉 남한주민, 직장동료, 이웃, 친구의 경우 75% 안팎의 비슷한 비율을 보였고, 동업자 그룹이 약 50%로 중간에 속하였고, 나머지가 연인과 배우자로서 약 40%의 수용 정도를 나타냈다. 청소년들이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느끼는 사회적 거리감의 영향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Model 1]에서는 통제변수로서 인구사회학적 변수 및 가족 변수를 투입하였고 [Model 2]에서는 [Model 1]의 변수를 투입한 후에 본 연구의 주요 변수인 국민정체성, 위협인지, 그리고 인간관계 변수로서 부와의 관계, 모와의 관계, 교사와의 관계, 친구와의 관계를 투입하였다.
    분석결과, [Model 1]에서는 가족변수(β=-1.840, p<.1)와 종교변수(β=1.994, p<.05)가 사회적 거리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즉 가족 수가 많을수록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청소년들의 사회적 거리감이 멀어지고, 규칙적인 종교활동을 하는 청소년이 그렇지 않은 청소년에 비해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가깝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Model 2]에서는 종교변수(β=1.840, p<.1), 위협인지(β= -11.234, p<.001), 모와의 관계(β=2.516, p<.01), 그리고 친구와의 관계(β=-2.040, p<.05)가 청소년의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규칙적인 종교활동을 하는 청소년이 그렇지 않은 청소년에 비해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을 덜 느끼고,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위협을 높게 인지할수록 그들을 수용하기 어려워함으로써 사회적 거리감을 크게 느끼며, 모와의 관계가 좋은 청소년일수록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수용 정도가 높아 사회적 거리감을 덜 느끼고 친구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수용 정도가 낮아져 이들을 더 멀게 느낄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결과가 가지는 함의와 필요한 개입 방안을 논의하였다.

    영어초록

    As Korea becomes a multicultural society,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different cultures and social integration emerged as an important issue. Korean youths have been living in a multicultural society since the beginning of their lives, and have the task of improving understanding and acceptance of various racial or cultural groups. Based on this perspectiv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ality of social distance towards the North Korean refugees among South Korean youth and to verify the factors which influence social distance towards North Korean refugees. A self reporte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325 data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using the Bogardus scale, it was found that social distance of Korean youth towards North Korean refugees was closer than that of Korean adults. In addition, the proportion of acceptance from ‘South Korean citizens’ to ‘spouse’ did not show a gradual decline, but was marked by three groups. Group 1: South Korean citizens, fellow workers, neighbors and friends showed a similar rate of around 75%, group 2: the business partner was in the middle of about 50%, and group 3: boyfriend(girlfriend) and spouse was within 40%. In order to verify the factors which influence social distance towards North Korean refugees among Korean youth, two models were created. The variables put in [Model 1] were socio-demographic and family-related variables as control variables. The variables put in [Model 2] were socio-demographic variables, family-related variables, and the major variables of this study(national identity, perceived threat, and relationship with father, mother, teacher, and friends). As a results of analysis of [model 1], it was found that the family variable(β=-1.840, p <.1) and the religious variable(β=1.994, p <.05)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redicting the level of social distance. In other words, the more family members, the more distant the social distance, and the youth who had regular religious activities felt closer to the North Korean refugees than those who did not. Model 2 as the full model showed that the religious variables(β=1.840, p <.1), perceived threat(β=-11.234, p<.001), the relationship with mother(β=2.516, p<.01), and the relationship with friends,(β=-2.040, p <.05) were associated with levels of social distance of youths.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the more regular religious activities, the closer they feel towards North Korean refugees, the higher perceived threat, the more distance they feel, the better relationship with mother, the closer they feel, and the better relationship with friends, the further they feel. Based on this, implications of research results and necessary intervention were discus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유라시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2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