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적연금제도의 개인의 삶에 대한 통제감 제고 역할에 대한 연구 (The Role of Individual Retirement Savings in Enhancing a Sense of Control over Life)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17.12
22P 미리보기
사적연금제도의 개인의 삶에 대한 통제감 제고 역할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소비자학회
    · 수록지 정보 : 소비자학연구 / 28권 / 6호 / 1 ~ 22페이지
    · 저자명 : 이경미, 김진우, 김진명

    초록

    사적연금은 공적연금을 보완하는 은퇴세대의 주요 소득원으로서 기능할 수 있고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강성호 2011). 하지만, 아직 선진국에 비하여 사적연금 가입률은 미미하고 소비자 인식도 미흡하여 소비자들에게 효과적으로 그 중요성을 인식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한 실정이다(KDI 2014). 이에 본 연구는 개인의 삶에 대한 통제감이 외부대상을 통해 효과적으로 보완될 수 있다는 보완적 통제 이론(Compensatory Control Theory; Kay, Gaucher, Napier, Callan, & Laurin, 2008)을 바탕으로, 은퇴 후 삶에 경제적 자족을 도와주는 사적연금 제도가 소비자들의 삶에 대한 통제감을 부여하는 심리적 기능이 있다고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첫 번째 실험에서는 삶에 대한 통제감을 획득하는 동기가 활성화 된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사적연금에 가입하는 것을 더욱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사적연금이 삶에 대한 통제감을 부여한다는 본 연구의 가설을 삶에 대한 통제감 획득이 시급한 개인들 (즉, 자아존중감이 낮은 소비자들)이 그렇지 않은 소비자들보다 사적연금 가입을 더욱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조절효과를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적연금이 소비자들에게 의미하는 것을 심도있게 이해하고, 사적연금 가입을 효과적으로 장려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영어초록

    Retirement is often perceived as a turning point in a life, which limits one’s control over his or her life and environment, primarily due to biological changes in old age, coupled with changes in social connections after retirement. This perception regarding retirement seems to be fueled by recent public attention toward the emerging era of centenarians, forcing people into longer periods of retirement. In this respect, the question of whether “things are under control” over the course of life becomes particularly relevant to many people today.
    The importance of individual retirement savings has grown in recent years (Kang 2011). However, many consumers still do not recognize this importance and have not set up their individual retirement accounts (IRA), making it a critical task for the government to encourage more people to set up their IRAs and save more for retirement.
    We had one main objective in this research: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savings and sense of control. Specifically, we examined whether sense of control can be a motivating factor for saving for retirement. Would motivation to maintain the overarching sense of control induce individuals to save for retirement? In other words, can retirement savings also provide substantial psychological benefits that are pertinent to today’s individuals – that is, a sense of control over people’s lives? Drawing on compensatory control theory (Kay, Gaucher, Napier, Callan, & Laurin, 2008), in this paper, we propose that retirement savings may serve as one of the external sources of control upon which people can draw in the face of chaos within their environment and personal lives. Previous research has suggested that external systems, ranging from the government to a controlling God, serve as the resource to compensate for one’s reduced state of control over the environment (Kay et al, 2008; Kay, Shepherd, Blatz, Chua, & Galinsky, 2010). By identifying the link between a desire for control and retirement savings, we can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underpinnings with respect to perceptions about retirement savings; moreover, we can further suggest that highlighting this psychological function may be an effective way to encourage people to save more for retirement.
    Specifically, the first study finds that people evaluate individual retirement savings more favorably when they want to restore their sense of control over life (vs. when they do not have such desires). The second study further tests the proposition that individual retirement savings enhances people’s sense of control over life by investigating self-esteem as a moderator: it demonstrates that people with greater need for sense of control over life (e.g., people with low self-esteem) evaluate saving for retirement more favorably when their desire to restore their sense of control is activated, while this effect attenuates among people with less need for sense of control over life (people with high self-esteem).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research seeks to improve our understanding of what individual retirement savings means to consumers and offers novel approaches to encourage consumers to save more for retire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소비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