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공정거래법상 부당지원행위 규제 - 일감몰아주기를 중심으로 - (A Review on the Regulation of Supporting Behavior Between Firms Under the Fair Trade Act)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2 최종저작일 2012.12
22P 미리보기
공정거래법상 부당지원행위 규제 - 일감몰아주기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경제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경제법연구 / 11권 / 2호 / 211 ~ 232페이지
    · 저자명 : 안은정

    초록

    부당한 지원행위에 대한 규제조항은 공정한 거래질서의 확립과 경제력 집중을 억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1996년 공정거래법에 신설되어 1997년 4월 1일부터 시행되어 왔다. 부당한 지원행위를 금지하는 제도는 비교법적으로 유래를 찾기 어려운 우리나라의 독특한 입법이지만, 경제법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여 왔다. 특히 최근 대규모 기업집단 계열사들간의 일감몰아주기를 통한 지원행위가 경제력의 유지․강화나 시장 내에서 경쟁사업자를 배제하는 등 국민경제의 폐해를 야기할 뿐 아니라, 지배주주의 편법적인 경영권 승계 및 부당한 부의 이전의 수단으로 활용되어짐에 따라 지난해 이후 대규모 기업집단 계열사간 일감몰아주기에 대한 규제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일감몰아주기를 통한 부당지원행위 규제에 대한 현행 공정거래법과 시행령 및 심사지침에 제시된 판단기준은 실제 활용하기에는 다소 부족한 측면이 있으며, 위법성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법위반 판단이 어려울 뿐 아니라 수범자들의 예측가능성이 낮은 실정이다. 더욱이 공정거래위원회와 법원은 아직 일감몰아주기에 대한 판단기준도 명확하게 정리하고 있지 않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대규모 기업집단 계열사들 간의 일감몰아주기를 통한 부당지원행위의 규제는 몇몇 쟁점들을 둘러싸고 적지 않은 논란이 지속적으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글에서는 일감몰아주기를 통한 부당지원행위의 규제법리와 관련 사례들을 검토한 후, 쟁점이 되는 사안을 중심으로 현행 부당지원행위 규제제도를 재해석하고, 부당지원행위 규제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Currently, as the problem that significant shareholders of large-sized companies succeed the management rights and strengthen their control expediently by gathering supply and by misappropriating the company's opportunities comes to the fore as a social problem, interest in the regulation of supporting behavior between firms by the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The Article 23 §1(ⅶ) of the Act stipulates supporting behavior between firms, and it is a unique constitution in Korea. Supporting behavior between firms means to support those with a special relationship or other companies by providing provisional payment, loans, labor forces, real estate, marketable securities,products, services, intangible property right and etc. to those with a special relationship or other companies or by trading with them under a considerably beneficial condition, and to provide excessive economic income by providing or trading capitals, assets and human resources at significantly low or high cost or by providing or trading them in substantial volumes.
    Until now, the Fair Trade Commission has regulated supporting behavior between firms focusing on 'the behavior to provide excessive economic income by transacting assets at significantly low or high cost' in trading products or services. However, it regulated supporting behavior between firms by considering the practice to gather large volume of assets among affiliates of the Hyundai Motors Group as 'a behavior to provide excessive economic income by transacting assets in substantial volumes,' and the Seoul High Court supported it. Also, as the Fair Trade Commission expresses its position to strengthen the regulation on supporting with volumes of trade(Il-Gam-Mol-Ah-Joo-Gi) to a certain company by large-sized companies, “a behavior to provide excessive economic income by transacting assets in substantial volumes” is emerging as one type supporting behavior between firms.
    However, there are some matters of debate about regulation on supporting with volumes of trade as follows. It’s a problem about whether supporting behavior between firms is defined only with “substantial volumes” of transacting behavior, a standard of judgment about whether it provides “excessive economic income”, whether it is possible to protest with the efficiency in management, and whether supporting behavior between firms is defined about tunneling effects.
    The guide to evaluation does not stipulates a clear standard of judgment on the behavior to provide excessive economic income by transacting products and services in substantial volume, and as well, it has not collected enough relevant cases yet. If the Fair Trade Commission starts to regulate transaction of products and services in substantial volumes among affiliates of large-sized companies as a kind of unfair supporting behavior with volumes of trade under such a circumstance, it is expect to cause not a few debates about above issues.
    Therefore, first, it should arrange the standard of judgment on behaviors to provide excessive economic income by transacting assets in substantial volumes, and carefully consider to prepare an additional standard for judging whether supporting behaviors to gather assets as well as to make an effort to actualize and subdivide the standard of judg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제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