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인스타그램 이용이 대학생들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 : 상향적 사회 비교, 자존감, 우울감의 다중매개모형 검증 (The Negative Impact of Instagram Use on Life Satisfaction among College Students : An Examination of Multiple Mediation Model of Upward Social Comparison, Self-Esteem, and Depression)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1 최종저작일 2023.11
36P 미리보기
인스타그램 이용이 대학생들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 : 상향적 사회 비교, 자존감, 우울감의 다중매개모형 검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소통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소통학보 / 22권 / 4호 / 337 ~ 372페이지
    · 저자명 : 송인덕

    초록

    오늘날 소셜미디어는 인터넷상에서 다른 사람들과의 소통 및 정보 공유를 위한 가장핵심적인 도구가 되었다. 소셜미디어의 인기와 이용이 증가함에 따라 선행연구는 소셜미디어가 이용자의 정신 건강 및 심리적 안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해왔다. 선행연구를 통해 확인된 일부 긍정적 효과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으로는 발달 단계상 상대적으로 더욱 취약한 어린이 및 청소년 그리고 젊은 청년 세대에 미치는 소셜미디어의부정적 효과에 대한 우려가 지배적이다. 이 가운데 다수의 선행연구는 사회적 비교 이론(theory of social comparison process)을 바탕으로 소셜미디어상의 상향비교, 즉자신보다 우월한 것으로 여겨지는 타인과의 비교가 이용자의 자존감과 우울감 그리고궁극적으로는 삶의 만족과 같은 심리적 안녕 변인들 각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을 설명해왔다. 그러나 선행연구에서 주요하게 검토되어 온 이들 세 가지 주요 심리적 안녕 변인들(자존감, 우울감, 삶의 만족) 간의 복합적 관계를 총체적으로 고려함으로써 상향비교가 이용자의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효과의 메커니즘을 보다 정교하게 이해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젊은 세대에서 가장 활용률이 높은 인스타그램을 대상으로 총 619명의 대학생 표본으로부터 수집된 설문자료를 통해 인스타그램 이용이 상향비교를 매개로 세 가지 주요 심리적 안녕 변인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다중매개모형을 팬텀변수를 활용한 부트스트래핑(Bias Corrected Bootstrapping) 검증방법을 통해 경로분석(path analysis)하였다. 분석 결과, 상향비교는 인스타그램 이용량이 자존감에 미치는 부적 영향과 우울감에 미치는 정적 영향을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상향비교는 자존감의 정적 효과와 우울감의 부적 효과를 매개로 삶의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자존감은 우울감의 매개를 통해 삶의만족에 간접적 영향을 주는 부분 매개 효과도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소셜미디어 이용이 상향비교 및 이용자의 심리적 안녕 변인들에 복합적으로 미치는 부정적 효과의 메커니즘과 관련한 이론적 함의 그리고 이러한 소셜미디어 이용의 부정적영향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필요한 실용적 방안 마련을 위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영어초록

    Today, social media has become an important tool for communicating and sharing information with others on the Internet. As the popularity and use of social media has increased, research has investigated how it affects the mental health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its users. Despite some positive effects found in the literature, concerns about the negative effects of social media on children,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who are particularly vulnerable at their developmental stage, dominate. Many of these studies have relied on the theory of social comparison process to explain the mechanisms by which upward comparison on social media, i.e., comparing oneself to others whom one considers better than oneself, negatively impacts individual variables of psychological well-being such as self-esteem, depression, and ultimately life satisfaction. However, there is a need for a more nuanced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s of the impact of upward comparisons on psychological well-being by taking a holistic view of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main variables of psychological well-being (self-esteem,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that have been individually examined in the previous studie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Instagram use on the three main variables of psychological well-being mediated by upward comparisons using a multiple mediation model including phantom variables. A path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 bias-corrected bootstrapping method with survey data collected from a sample of 619 college students. Results showed that the upward comparison fully mediated the negative effect of Instagram use on self-esteem and the positive effect on depression. In addition, the upward comparison mediated the positive effect of self-esteem and the negative effect of depression on life satisfaction.
    This study also found a partial mediation effect of self-esteem on life satisfaction, which indirectly influenced life satisfaction through the mediation of depress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s theoretical implications regarding the mechanisms of the negative effects of social media use on upward comparison and its combined effects on psychological well-being variables, as well as implications for practical interventions to minimize the negative effects of social media u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소통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