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감사인 교체유형이 재무제표 재작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uditor Change Type on Financial Statement Restatement)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1 최종저작일 2022.06
35P 미리보기
감사인 교체유형이 재무제표 재작성에 미치는 영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회계학회
    · 수록지 정보 : 회계저널 / 31권 / 3호 / 61 ~ 95페이지
    · 저자명 : 이성호, 유승원, 홍준용

    초록

    본 연구는 외부감사인 교체에 따른 교체유형이 과거 재무제표의 재작성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다. 교체된 감사인은 전년도 재무제표에서 발견되지 않은 오류사항 또는 회계처리에 대해 다른 견해를 가질 수 있는 사항 등을 발견하게 되면 과거 재무제표 를 수정할 가능성이 높다. 이와 관련하여 선행연구에서 감사인 교체 후에 과거 재무제표에 대한 수정이 증가함을 밝히고 있는 바, 본 연구는 2014년부터 2019년까지 유가증권시장(KOSPI) 및 코스닥(KOSDAQ) 상장기업 10,267개 기업-연도 표본을 이용하여 감사인의 교체 유형에 따라, 감사인 교체에 따르는 산업전문성의 변화에 따라 과거 재무제표 재작성의 가능성이 차별적으로 나타나는지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첫 번째로 모든 감사인 교체유형에서 재무제표 재작성과 유의한 양(+)의 관계를 보였지만, Non-Big4에서 Big4로 교체된 경우가 다른 교체방향에 비해 더욱 높은 재작성 비율을 보였다. 두 번째로, 감사인 교체로 감사인의 산업전 문성이 증가하거나 비산업전문 감사인에서 산업전문 감사인으로 교체된 경우에 재무제표 재작성 가능성이 더욱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감사인 교체유형에 따라 재무제표 재작성 가능성이 차별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또한, 감사인 교체유형뿐만 아니라 감사인 교체에 따라 수반되는 산업전문성의 증감 역시 재무제표 재작성 가능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였다는 데에 추가적인 의의가 있다. 이러한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정책당국이 주기적지정제에 따라 감사인을 지정함에 있어서, 감사품질 제고라는 제도의 도입 취지를 달성하기 위해 감사인 교체유형과 산업전문성 변화방향을 모두 고려해야함을 제시하고 있다는 데에 정책적 시사점을 가진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auditor change type on financial statement restatement. Specifically, this study investigates if the possibility of financial statement restatement differs according to the auditor change type in terms of auditor size and industry expertise. If the replaced auditors find any errors that were not found in the previous financial statements audited by previous auditor or find issues which may have different views on accounting treatment, it is highly likely to revise the previous financial statements. In other word, a newly appointed auditor can actively detect and correct errors in the previous financial statements by conducting audits more rigorously, and due to the nature of IFRS, there may be cases in which accounting entities may judge a single economic event differently when presenting accounting principles and applying them in practice. Therefore, if the auditor is replaced, the audited entity may revise the previous financial statements without adequate consultation with the former auditor by accepting the argument of the new auditor, which presents a different opinion than the former auditor. This study analyzed 10,267 firm-year samples listed on KOSPI and KODAQ from 2014 to 2019, and examined whether the probability of financial statements restatement changes depending on the type of auditor designation, and change in industry expertise after auditor designation using financial statement restatement as a dependent variable and type of auditor designation as a explanatory variable. Lastly,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auditing practice guidelines that mandated communication with the previous auditor to restate previous financial statements in 2017, this study analyzed whether the increased possibility of financial statements restatement due to the replacement of auditors is reduced by the strengthened audit procedure. Analysis was performed by dividing the sample into Non-Big4 → Big4, Big4 → Big4, Non-Big4 → Non-Big4, Big4 → Non-Big4 according to the replacement type in terms of the auditor size. In addition, in terms of change in industry expertise, this study measured industry expertise by market share estimated based on total sales and total assets referring to previous literature(Balsam et al. 2003; Neal and Riley 2004; Choi and Bae 2014; Bae et al. 2019). As a result, in terms of change in auditor size, we find that every type of auditor change(Non-Big4 → Big4, Big4 → Big4, Non-Big4 → Non-Big4, Big4 → Non-Big4) exhibite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financial statement restatement. However, the probability of restatement was highest in the case of auditor change to Big4 from Non-Big4, and it is interpreted as the result of putting more audit efforts because Big4 auditors have incentives to maintain higher audit quality by reacting more sensitively to reputation and litigation risks compared to Non-Big4 auditors. Second, in the sample in which the auditor’s industry expertise increased due to the auditor change, the probability of financial statement restatement was higher compared to the sample whose industry expertise was decreased after auditor designation. This result is consistent with previous literature(Balsam et al. 2003; Dunn and Mayhew 2004; Romanus et al. 2008) that presents auditors with higher industry expertise improve audit quality. Third, we expected that the possibility of financial statement restatement will be reduced due to the strengthened audit procedures, such as mandatory three-party communication with the previous auditor and the audited company in order for newly replaced auditors to restate previous financial statements. However, the result presented statistically insignificant coefficien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hich is interpreted to be due to the absence or insufficiency of the supervisory authority’s action in case of a violation of the accounting audit practice guidelines.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 that the likelihood of financial statement restatement may differ depending on the auditor type after auditor designation in a situation where many auditors are replaced according to the newly adopted periodic auditor designation system after the revision of the External Audit Act in 2018. Additionally, this study also has implication that change in industry expertise after auditor designation can also affect the likelihood of financial statement restat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implication that when designating auditors according to the periodic designation system, policy authorities should consider both the type of auditor replacement and the direction of change in industry expertise. Moreover, after enacting a new system according to practical or policy necessity,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practice guidelines for auditing, it provides implications for supervisory policy that the effectiveness of policies can be increased when measures to induce compliance with them are also consider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회계저널”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