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감사인 일치화가 종속기업 감사품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uditor Conformity on Subsidiaries’ Audit Quality)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1 최종저작일 2014.10
34P 미리보기
감사인 일치화가 종속기업 감사품질에 미치는 영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회계학회
    · 수록지 정보 : 회계학연구 / 39권 / 5호 / 217 ~ 250페이지
    · 저자명 : 신혜정, 한종수

    초록

    K-IFRS가 도입되면서 연결재무제표가 주재무제표로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2013년 도입된 신 국제감사기준 600에서는 연결재무제표의 주감사인이 그룹재무제표에 대하여 전적인 책임을 지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배기업과 종속기업간의 감사인 일치화에 대한 필요성이 논의되고 있다.
    그러나 감사인 일치화가 감사품질을 향상시키는지에 대해서는 선행연구가 일관된 결과를 보여주지 않는 등 여전히 연구 과제로 남아 있다. 그 가장 큰 이유는 선행연구가 주로 지배기업의 재무제표를 대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감사인의 일치화로 인한 감사품질의 향상 또는 저하가 감사인이 일치된 종속기업에 기인한 것인지, 타감사인이 감사한 종속기업에 기인한 것인지 구별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종속기업의 감사품질을 분석함으로써 감사인 일치화 효과를 직접적으로 검증하였다. 또한 종속기업의 자산이 연결실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감사인 일치화와 감사품질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감사인 일치화와 감사품질의 관계는 전체 표본과 비상장 종속기업 표본에서 유의한 양의 관계로 나타났다. 상장 종속기업에서도 감사인 일치화와 감사품질은 양의 관계를 가지고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연결실체에서 차지하는 자산의 비중이 높은 종속기업에서는 감사인 일치화가 감사품질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이 효과는 상장여부에 따라서 동일하지 않았다. 상장 종속기업을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는 연결실체에서 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을수록 감사인 일치화가 감사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상장 종속기업에서는 이러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추가분석의 결과도 본분석의 결과와 질적으로 동일하였다. 상장 종속기업 표본을 비롯한 모든 표본에서 유의하게 감사품질 향상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연결실체 내 중요성이 높은 상장 종속기업의 감사품질 향상 정도는 저하되었다.

    영어초록

    Since the adoption of K-IFRS in 2011, the importance of the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 as primary financial statements has been grown. Additionally, the New International Standards on Auditing 600 introduced in 2013 requires the principal auditor to take a full responsibility for the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 In order to avoid the additional engagement risk resulted from these changes in the audit environment, the principal auditors increasingly demand auditor conformity, i.e., financial statements of the parent company and its subsidiaries being audited by the same auditor.
    However, the results of the prior studies on the effect of auditor conformity on audit quality are rather conflicting and contradictory and thus, it is not yet known whether auditor conformity leads to enhancement in audit quality. Some prior studies showed that auditor conformity enhances audit quality because it helps auditors develop more experience and better understand the client, resulting in enhanced auditor expertise (the auditor expertise hypothesis). Other studies showed that auditor conformity adversely affects audit quality because it creates greater economic bonding with the clients (the economic dependency hypothesis). The major reason for the contradictory results of the prior studies is that, by analyzing parent company’s financial statements, they were not able to separate the change in the auditor-conformed subsidiaries’ audit quality from the change in the auditor-disconformed subsidiaries’ audit quality. A few studies overcome this limitation by analyzing subsidiaries’ financial statements. By using only a few restricted types of subsidiaries, however, they have their own limitations in the generalization of their findings. Moreover, prior studies fail to consider that the distinctive subsidiaries’ characteristics could moderate the effect of auditor conformity on audit quality.
    This paper analyzes and examines all available subsidiaries subject to the Act on External Audit of Stock Companies in Korea in order to find more general results on the effect of auditor conformity. This paper also examines whether the proportion of subsidiary’s total assets (i.e., the importance of subsidiaries) has differential influ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uditor conformity and audit quality. Importance of subsidiaries is one of the key elements that affect auditors’ independence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Using all available data on subsidiaries from 2005-2010, we conduct analyses on whether auditor conformity affects discretionary current accruals of subsidiaries by using both modified Jones model (1991) and Kothari et al. model (2005). We also analyze whether the importance of subsidiaries measured by the proportion of subsidiaries’ total assets to consolidated total assets moderates the relations between auditor conformity and discretionary current accrual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uditor conformity enhances audit quality. The result holds even when public and non-public subsidiaries are analyzed separately. These results support the auditor expertise hypothesis in that auditors obtain additional knowledge of the clients, e.g., internal transactions, through auditor conformity. However, the significance level of the public subsidiaries is lower than that of the non-public subsidiaries, implying that the listing status is an element which affects the relationship between auditor conformity and audit quality.
    Second, overall,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proportion of subsidiaries’ total assets on the enhancement effect of auditor conformity on audit quality was not found significant. This result implies that auditor’s independence is not impaired by the client’s importance. However, we find the marginal adverse moderating effect for public subsidiaries, implying that audit quality impairment could possibly exist for important subsidiaries.
    This paper expands the previous studies on auditor conformity in several aspects. First, this paper analyses the relationship between auditor conformity and audit quality from the subsidiary’s perspective by using all available data on subsidiaries. Second, this paper shows evidence that the aforementioned relationship can var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subsidiaries. Furthermore, this paper provides practical and institutional implications in time of high demand for auditor conformity in response to the New International Standards of Auditing 600 enforcement since 2013.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회계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