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창문이 크고 천장이 높은 카페를 좋아하시나요?: ‘지각된 공간감’이 ‘순간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Do You Love a Café with Big Windows and a High Ceiling?: Focusing on the Effects of ‘Perceived Spaciousness’ on ‘Momentary Happines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1 최종저작일 2018.11
28P 미리보기
창문이 크고 천장이 높은 카페를 좋아하시나요?: ‘지각된 공간감’이 ‘순간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마케팅학회
    · 수록지 정보 : 마케팅연구 / 33권 / 4호 / 1 ~ 28페이지
    · 저자명 : 라선아, 김지호, 이준영, 김소연

    초록

    현대 한국 소비자에게 카페는 일상적인 ‘제3의 장소’(the third place)로 각광받고 있으며, 카페 매장 수와 이용객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카페라는 공간이 일상의 여행지로 떠오른 데는 많은 이유가 있을 수 있지만, 본 연구는 카페의 물리적 서비스 스케이프 요소 중 건축 설계 요소인 천장과 창문이 유발하는 크고 탁 트인 느낌에 주목하였다. 건축학, 환경학 계통에서는 이를 ‘지각된 공간감’(perceived spaciousness) 개념으로 접근하고 있으며, 지각된 공간감은 거주자나 이용자에게 쾌적함, 공간만족, 삶의 질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를 근거로, 본 연구는 카페 공간의 천장 높이와 창문 유무가 카페 공간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된 공간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지각된 공간감이 소비자의 정서 및 카페에 대한 반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Study 1에서는 심층인터뷰를 통해 소비자가 선호하는 카페 공간의 요건 및 요소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카페 선택의 주요 결정요인이 창문과 천장 등 건축적 특성임을 확인하고, Study 2에서는 천장 고/저 및 창문 유/무의 조건이 결합된 4가지 유형의 카페 공간 이미지를 제작하여 피험자의 반응을 분석하였다. 창문이 없는 것보다는 창문이 있는 카페가 지각된 공간감을 높이고, 높은 천장은 창문이 있는 조건에서만 지각된 공간감을 높인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또한, 지각된 공간감이 카페 공간의 지각된 매력도를 증가하고, 지각된 매력도가 카페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를 호의적으로 변화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과정은 ‘순간 행복감’(momentary happiness)에 의해 부분매개 되었다. 본 연구는 비건축적 요소에 집중된 서비스 스케이프 연구의 범위를 건축적 요소로 확장하였고, 마케팅 분야에서 거의 연구된 바 없는 ‘지각된 공간감’이라는 개념을 적용하여, 상업공간에 대한 소비자의 감각적 체험 순간을 포착할 수 있는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또한, 공간의 감각적 체험인 ‘지각된 공간감’이 ‘순간 행복감’을 경유하여 카페의 매력도와 카페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설명하였다. 연구결과는 제3의 장소가 된 상업공간인 카페를 체험마케팅 관점에서 긍정적인 감각적 체험과 정서적 체험의 장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공간의 건축적 요소를 어떻게 설계하고 활용할 수 있을지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그 외 이론적 시사점,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서도 논의한다.

    영어초록

    Cafés have become a world-wide phenomenon of ‘the third place.’ One of the possible reasons the current study proposes is the spatial attributes of a café which make it different from the first (home) or the second (work place) places. Most existing studies on servicescapes have focused on non-architectural elements. There is little research on architectural elements of a café-scape. To fill the void of past research, the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rchitectural elements such as a ceiling and windows in the space of a café. We adopted the construct of ‘perceived spaciousness’ which had been widely examined in recent architectural studies and environmental behavior studies. ‘Perceived spaciousness’ is defined as ‘a visitor’s or a resident’s impression on the openness and extensiveness of a given space.’ The literature indicates that perceived spaciousness affects people’s pleasure, space satisfaction, and quality-of-life. In-depth interviews of Study 1 discovered that a ceiling and windows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choosing a café. Study 2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a high(3.3m)/ low(2.5m) ceiling with big glass windows/no window condition by using professionally created images of a café. The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spaciousness, momentary happiness, perceived attractiveness of a café-scape, and consumer’s attitude toward a café were examined by using multiple mediation regression analyse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consumers felt more spacious in a café with big windows regardless of ceiling height. A higher ceiling is effective in increasing perceived spaciousness only when windows exist. Also, perceived spaciousness positively affects perceived attractiveness of a café-scape and then consumer’s attitude toward a café via the partial mediation of momentary happiness during his/her stay in the café. The current study deepens our understanding of how consumers’ sensory experiences of a space converts to a spatial perception, emotional and attitudinal responses. The study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by suggesting the ‘perceived spaciousness’ as one of the key factors to create place happiness to customer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also discuss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