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감성학으로서의 미학 - 데카르트에서 바움가르텐까지 (Aesthetics as science of sensibility - from Descartes to Baumgarten)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1 최종저작일 2016.09
32P 미리보기
감성학으로서의 미학 - 데카르트에서 바움가르텐까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학회
    · 수록지 정보 : 美學(미학) / 82권 / 3호 / 167 ~ 198페이지
    · 저자명 : 박정훈

    초록

    데카르트부터 바움가르텐에 이르는 사유의 여정에 담긴 감성
    과 지성의 관계에 대한 논의에는 양자의 연관과 차이에 대한 성찰의 흔적이 담겨 있다. 데카르트의 경우 감각적 지각의 기만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지성적 지각의 명석·판명함으로 시선을 돌렸으나 이 과정에서 개별자들의 질적 차별성이 고려되지 않으면서 일체의 사물이 정량화·추상화되었다. 반면 라이프니츠의 경우 자연의 모든 존재자가 모나드로 이해되는 한에서 동등한 권리를 갖는다. 이를 통해 그는 지각 체계의 연속성을
    주장했고, 또한 명석·혼연한 인식 및 직관적 인식과 같은 규정들을 내놓았다. 볼프를 통해 라이프니츠의 지각 이론은 인식능력의 이론이 되어 감성학의 태동에 밑거름이 되었다. 바움가르텐은 라이프니츠의 연속성 모델에 좀 더 가까이 다가가 감성과 지성의 유비 관계를 바탕으로 감성적 인식의 학문을 정초한다. 이때 바움가르텐의 탁월함은 감성이 지성으로부터 독립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포괄적 의미의 논리성의 권역 안에 포함되도록 구상했다는 점에 있다. 이후 등장하는 칸트 미학 및 현대의 지각학은 바움가르텐의 감성학과 긴밀한 연관 속에서 전개되었다.

    영어초록

    Discu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ibility and intellect from Descartes to Baumgarten has contained traces of reflections on the differences and associations between them. Descartes directed his eye to ‘clear and distinct’ perception in order to escape from the deception of sensory perception. In this process all things were quantified and abstracted without qualitative differences of individuals. On the other hand, Leibniz thought that all beings in nature had the same ontological rights insofar as they are understood as the Monad, namely the subject of perception. Then he argued the continuity of the perceptual system, but also came up with the concepts, such as ‘clear and confused’ cognition or the intuitive and totally adequate cognition. Wolff developed Leibniz's theory of perception into the theory of cognition, which formed the basis of the birth of the philosophical science of sensibility. Baumgarten, who is a little closer to the Leibniz’s model of continuity of perception, established the science of sensible cognition based on the analogy of sensibility with intellect. His excellence is to ensure independence of sensibility from intellect and at the same time to conceive that also sensibility is within the logicality in a comprehensive sense. Kant’s aesthetics and modern ‘Aisthetics’ have been developed closely connected with Baumgartens ‘Aesthetic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美學(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7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