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인의 사회적 안녕감에 대한 질적 연구: 사회적 연결감, 사회정체성, 사회비교를 중심으로 (A Qualitative Study on the Social Well-being of Koreans: Focusing on Social Connectedness, Social Identity, and Social Comparison)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1 최종저작일 2024.11
32P 미리보기
한국인의 사회적 안녕감에 대한 질적 연구: 사회적 연결감, 사회정체성, 사회비교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 30권 / 4호 / 541 ~ 572페이지
    · 저자명 : 서예지, 안정민, 정태연

    초록

    본 연구는 사회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연결감, 사회정체성, 그리고 사회비교 기준의 사회문화적 맥락과 조건을 탐색하고, 이를 통해 한국 사회에서 개인들이 사용하는 사회비교의 기준이 어떻게 사회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질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FGI 방법론을 사용하였다. 성인남녀 20대~60대까지 연령별 5개의 초점 집단을 구성하였으며, 집단별 7명씩 총 35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후 주제별로 자료를 코딩하여 주제를 추출한 후 주제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에서 패턴을 발견하고 결론을 도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연결감은 타인의 무조건적인 선의, 온 국민이 하나 됨을 느끼는 사건, 사회보장 제도, 투표와 같은 국민의 권리 행사를 경험할 때 나타났다. 둘째, 사람들의 일상 속 주요 사회정체성은 물질적 자기, 사회적 자기, 심리적 자기의 세 가지 차원으로 구분되며, 한국인으로서의 사회정체성은 국제적 맥락에서 강화된다. 구체적으로 한국인으로서의 사회정체성을 경험하는 사회문화적 맥락은 국제사회 속 외국인과 차별화되는 정체성, 낯선 환경 속 이방인으로서 정체성, 국위선양 사건 및 스포츠 경기를 통해 활성화되는 정체성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비교를 통한 한국 사회에 대한 인식은 개인이 비교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상향 비교 시에는 불안과 좌절감을, 하향 비교 시에는 상대적 안도감을 경험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사회적 안녕감을 증진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시사점을 가진다. 특히,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사회적 연결감을 자주 경험하지 못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사회적 연결감이 온 국민이 하나됨을 느끼는 특별한 사건이나 선거와 같은 국민 권리 행사에만 국한되지 않고, 일상적인 경험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심리․사회․문화적 개입이 필요하다. 또한, 본 연구는 한국인으로서의 사회정체성을 경험하는 사회문화적 맥락을 파악하고, 세대별로 주요 사회정체성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세대별 정체성 강화 방안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마지막으로, SNS의 발달로 인해 상향 사회비교가 만연한 한국 사회에서, 균형 잡힌 사회 인식을 유지하고 사회적 안녕감을 증진하기 위해 하향 비교의 긍정적 역할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ociocultural context and condition of social connectedness, social identity and social comparison criteria that affect social well-being. Additionally, it examined qualitatively how people's social well-being is affected by the social comparison standards of the Korean society. For this, the FGI methodology was utilized. Adults in their 20s to 60s made up five age-based focus groups, each with seven participants, for a total of 35 people. Afterward, the data were coded by themes, and thematic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patterns and draw conclusions. The following are the primary conclusions: First, social connection was experienced through things like other people's unwavering kindness, events evoking national solidarity, social security programs, and the exercise of civic rights like voting. Second, people's primary social identities in daily life are divided into three dimensions: material self, social self, and psychological self, while social identity as a Korean is reinforced by international contexts. In particular, the sociocultural contexts of experiencing the Korean identity were identified as differentiating themselves from other foreigner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feeling like an outsider in a strange setting, and feeling more engaged by national prestige events and sporting events. Third, perceptions of the Korean society through social comparison varied depending on the standard of comparison. Upward comparisons caused feelings of tension and frustration, while downward comparisons offered some relative comfort. The study's findings have important ramifications since they can serve as a basis for advancing social well-being. The study specifically showed a tendency for less frequent experiences of social connectedness. Thus, it implies that in order to make this connectedness a regular occurrence rather than a phenomenon reserved for special occasions, psychosocial and cultural interventions are required. Furthermore, by highlighting the sociocultural contexts in which Korean identity is experienced and the ways in which important social identities vary across generations, this study highlights the necessity of tailored methods for each generation to reinforce Korean identity. Last but not least, the study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taking into account the beneficial role of downward comparison in preserving balanced social views and fostering social well-being in Korean culture, where upward social comparison is common due to the development of S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