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충동적 경험소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시간 경과에 따른 행복감의 망각 (The Effect of Impulsive Experience Consumption on Happiness)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1 최종저작일 2019.08
20P 미리보기
충동적 경험소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시간 경과에 따른 행복감의 망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경영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경영학회지 / 32권 / 8호 / 1311 ~ 1330페이지
    · 저자명 : 전주언, 이은미, 최한나

    초록

    최근 개인의 생활을 중시하고 자신의 행복에 보다 집중하려는 경향이 높아지면서 ‘워라밸(work-life balance)’과 ‘소확행(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이라는 신조어가 유행하고 있다. 워라밸과 소확행이라는 키워드는 현대 소비자들의 소비행동에 대한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그 중 연구자들이 주목한 것은 경험소비와 충동소비다. 경험소비는 재화소비와 다르게 경험 자체가 목적으로 제품을 소유하는 것이 아니라 소비 과정을경험하는 소비 유형이다. 기존 연구들에 의하면 경험소비 후 느끼는 행복감은 재화소비 후 느끼는 행복감보다더욱 높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다양한 소비자행복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충동적인 경험소비로부터유발되는 행복감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연구자들은 경험소비가 소비자 행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충동적으로 이루어질 경우행복감에 미치는 경로는 다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즉 충동적 경험소비는 일시적으로 스트레스를 해소함과동시에 계획된 소비가 아닌 것에 대한 죄책감을 동시에 경험할 것으로 예상한 것이다. 하지만 궁극적으로행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충동적 경험소비로 인한행복감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스럽게 망각되어 그 강도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충동적 경험소비는 스트레스 해소와 죄책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험소비가충동적으로 이루어졌을 경우 소비자는 일시적인 즐거움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해소하지만 동시에 죄책감도경험하게 됨을 의미한다. 둘째, 충동적 경험소비로 인한 스트레스 해소와 죄책감은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주었고, 이러한 행복감은 재경험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충동적 소비경험 후시간경과에 따른 행복감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즉, 충동적 경험소비 직후 소비자들은 상대적으로행복감을 높게 인식하지만 일정 시간 지나면 이러한 행복감에 대한 인식이 줄어든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상의 결과에 근거해 학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했다.

    영어초록

    Most people want to be happy. Recently, the new words “work-life balance” and “small but certain- happiness” have become popular as the trend of focusing on individual life and more on one's own happiness has been rising in Korea. Recent years have seen growth in consumer research on the causes and correlates of happiness. Researchers have also begun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ption and happiness. Some researchers suggest that the more people aspire to materialistic goals, the less satisfied they are with life, and the more at risk they are for developing psychological disorders. The fact that thinking about experiences places people in happier than thinking about material possessions provides further evidence that people’s endorsement of their experiences is not entirely due to socially desirable responding. Previous studies on consumers' happines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but the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mpulsive experience consumption and happiness has been less interested.
    This study dealt with an issue of whether a variety of experience consumption activities may improve people's happiness level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verify the effect of impulsive experience consumption on happiness by expecting that stress relief and guilt will be mediated. In addition, we examined happiness in impulsive experience consumption is reduced over time.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sample of 322 people from demographically diverse groups.
    The data were analyzed in order to identify the effects of variables adopted in this study. For overall consumption activities, impulsive experience consumption activities improved happiness in life with mediation of stress relief and guil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mpulsive experience consump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stress relief and guilt. Consumers could experience guilt while relieving stress because experience consumption is achieved on an impulse. Second, the stress relief and guilt caused by impulsive experience consump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happiness, and this happines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re-experience intent. Thir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happiness over time was found after an impulsive consumption experience. That is, consumers tend to be relatively happy at early time right after impulsive experience consumption, but ultimately happiness will decrease away from the time of impulsive buying.
    Understanding impulsive experience consumption issue is essential and something that firms should be integrating into marketing activities, as well as communication activities. Marketing managers have to understand the explicit and implicit experience goals they are making to custom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