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외부감사인에 대한 품질관리감리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Suggestions to Improve the Statutory Inspection of Auditing Firms’ Quality Control System)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1 최종저작일 2011.06
34P 미리보기
외부감사인에 대한 품질관리감리제도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회계학회
    · 수록지 정보 : 회계저널 / 20권 / 3호 / 67 ~ 100페이지
    · 저자명 : 김문철, 전영순, 최진영

    초록

    외부감사인은 기업이 제공하는 재무제표의 신뢰성을 확보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므로 높은 품질의 감사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세계 각국의 회계감독기관들은 외부감사인에 대한 감독을 강화하고 있으며, 특히 사전적 품질관리감독을 강화하는 추세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이러한 국제적인 추세에 맞추어 2007년부터 품질관리감리를 시행하여 왔다. 품질관리감독은 회계법인의 품질관리시스템에 감독의 초점을 맞춤으로써 사전적으로 회계정보 및 외부감사의 품질을 통제하여 왜곡된 회계정보가 시장에 전달될 가능성을 낮추는 예방적 감독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의 품질관리감리제도는 그 역사가 짧아 여러 가지 제도적 측면이나 운영면에서 선진국의 품질관리감독제도와 비교하여 미흡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와 주요 선진국의 품질관리감독제도를 고찰하고, 이를 기초로 우리나라 품질관리감리제도의 문제점을 파악한 후, 우리나라의 품질관리감독을 국제적 수준으로 제고하기 위한 법적․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우리나라의 품질관리감리제도의 문제점은 크게 회계법인에게 품질관리를 의무화할 수 있는 감사인등록제도의 미비, 품질관리감리의 운영과 관련된 제도의 미비 및 품질관리감리의 실효성 확보장치의 미비 등으로 요약된다. 개선방안으로는 우선 회계법인에 대하여 품질관리시스템의 구축과 운영을 의무화할 수 있는 상장기업감사인 등록제도를 법제화하여야 한다. 아울러 회계법인이 품질관리시스템을 구축․운영함에 있어 준거기준이 되는 품질관리기준의 적용을 법제화해야 한다. 회계법인의 품질관리시스템에 대한 품질관리감리 결과 품질관리시스템 또는 운영상 미비점이 발견되어 개선권고를 하는 경우 그 이행을 강제화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현재 이원화되어 있는 품질관리감리 수행기관 간에 감리품질의 일관성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현재 사각지대에 있는 외국회계법인에 대한 감독제도도 마련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품질관리감리결과를 공개함으로써 시장에서 품질관리감리결과가 양호한 회계법인에 대한 수요를 창출하여 회계법인 스스로 품질관리시스템을 정비하고자 할 유인을 제공하고, 품질관리감리 시행기관에게는 감리품질을 제고하고 감리절차를 투명하게 수행할 유인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학계나 실무계의 품질관리감리제도에 대한 인식이 종전에 비해 높아진 것은 사실이나 아직까지 본 제도의 현황 및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해 체계적으로 고찰한 연구는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회계감독당국이 추진하고 있는 품질관리감리제도의 개선에 대한 유용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External audit plays a crucial role in ensuring credibility of financial statements of firms, and thus it is important for auditors to provide high quality audit. Since the world-wide accounting scandals in the early 2000s, regulators around the world have strengthened monitoring of audit firms. Korea is no exception in that the Korean regulator introduced the statutory inspection of quality control system of auditing firms in 2007. Inspection of quality control system of auditing firms is better regulation than an audit engagement review to oversee audit quality since an audit engagement review is conducted after financial statements and audit reports are disclosed. Nevertheless, the statutory inspection of quality control system of auditing firms in Korea falls short of the global best practices in many areas. This study identifies the areas that need to be improved and makes suggestions to improve the regulation of audit firms.
    The areas that need to be improved are as follows: first, the statutory inspection of quality control system of auditing firms in Korea lacks a legal ground to mandate that audit firms set up a quality control system. Also, audit firms should comply with the guidelines for setting up the quality control system. However, there is no legal ground for audit firms to comply with the guidelines. Regulators in advanced countries require public accounting firms to register with them and investigate the quality control system of the registrants. Despite that the registration of public accounting firms is a prerequisite for an effectual inspection of auditing firms' quality control system, there is no registration requirement for public accounting firms in Korea. Also, there is no regulation of foreign accounting firms that audit firms listed on the Korean Exchange. When the regulator is not satisfied with the quality control system of an accounting firm, the regulator makes recommendations to the accounting firm for improvement of the quality control system. However, there is no means to enforce the recommendations when the accounting firm does not implement the recommendations, because there is no legal basis to impose sanctions against audit firms. Finally, the results of inspections, if they are publicly disclosed, can provide audit firms with incentives to maintain a high quality control system by generating demands for auditors that are perceived to have better quality control system.
    We are unaware of any study that systematically examines inspection of quality control system of audit firms. Thus, this study provides for policy makers insights into more effective regulation of audit fir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회계저널”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