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필사본 신소설 연구 -새 자료 필사본 '황금탑'ㆍ'추풍감수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Hand-Written Edition of Sin-So-Sul(新小說) -Focus on the 'Whang-gum-top(黃金塔)' and 'Chu-pung-gam-su-rok(秋風感樹錄)'’s hand-written editions as the new material-)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1 최종저작일 2010.10
32P 미리보기
필사본 신소설 연구 -새 자료 필사본 '황금탑'ㆍ'추풍감수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학연구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문학의 연구 / 42호 / 241 ~ 272페이지
    · 저자명 : 강현조

    초록

    이 논문에서는 단행본 초판에 선행하여 제작된 필사본 <황금탑>ㆍ<추풍감수록>을 발굴ㆍ소개하고, 그 내용의 비교를 통해 대한 제국 시기에 창작된 이 두 작품이 한일병합 이후에 검열이라는 요인의 작용으로 인해 중대한 변화가 초래되었다는 사실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이 필사본의 존재로 인해 두 작품의 창작 연대를 수정하였고, 동시에 최초 발표 매체와 저작자 문제에 대해서도 전반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이 논문에서 제시한 필사본 <황금탑>ㆍ<추풍감수록>은 간기의 기록대로 1909년 10월에 제작된 것이 틀림없다. 이 점은 필사본 텍스트에서 조선이 독립 국가임을 의미하는 어휘들인 “우리나라”나 “한(韓)”이 아무런 제약 없이 쓰이고 있다는 사실에 의해 뒷받침된다. 특히 경찰이 황문보를 수사하는 과정을 묘사하는 장면에서 나타나는 단행본의 “순사”라는 표기가 필사본에서 “본국순사 일본순사”로 표기된 것은 이 필사본이 대한 제국 시기에 제작되었음을 사실로 입증하는 가장 결정적인 증거라고 할 수 있다. 이로부터 이 두 작품의 창작 연대 또한 기존 단행본 초판의 발행 일자를 기준으로 알려져 있던 1912년이 아니라 1909년 10월 이전의 융희 연간으로 소급된다.
    그런데 필사본 <황금탑>ㆍ<추풍감수록>을 통해 최초 창작 당시의 작품의 내용을 살펴보면 한일병합 이후에 출판된 단행본의 내용과 상당한 차이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특히 <황금탑>의 경우 최초 창작 당시에는 통감부에 의해 운영되었던 사법 체계에 대한 불신 및 탐관오리의 수탈에 따른 민중들의 고통이 여과 없이 표출되어 있었지만, 단행본에서는 이 부분이 개작됨과 동시에 삭제됨으로써 정치성의 거세로 요약되는 <혈의루>의 변화 양상과 유사한 양상을 보여주고 있어 주목을 요한다. 이는 검열에 따른 비자발적 개작인 동시에 일제의 압력에 의한 문학적 굴절 현상의 한 단면이라고 할 수 있다. 이해조의 작품으로 알려져 있는 <추풍감수록>의 경우는 비록 <황금탑>과 같은 성격을 띤 내용 변화 사례는 발견되지 않지만 단행본 기준 1쪽 분량에 해당하는 큰 폭의 개작이 시도된 사실을 알 수 있다. 그 내용의 변화 양상을 비교해 보면 현전하는 단행본 텍스트보다는 필사본을 통해 볼 수 있는 최초 창작 당시의 작품이 완성도 면에서 앞선다고 말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작품 또한 필사본 텍스트의 간기에 의거해 1909년 10월 이전에 창작된 작품으로 볼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이해조의 이 작품은 1909년 4월~10월 사이에 그가 재직했던 『제국신문』에 연재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대략 2~3개월 간격으로 작품을 교체해가며 연재했던 이해조의 경력을 감안할 때 이 기간에 1편 정도의 작품이 더 연재됐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필자는 합본 필사된 <황금탑>이 바로 이 시기에 <추풍감수록>과 함께 『제국신문』에 잇달아 연재된 이해조의 작품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본다. 아울러 단행본 <황금탑>을 발간한 보급서관에서 출판된 이해조의 작품들에는 작가의 이름이 저작자로 나오지 않는다는 사실도 이러한 추론을 일정 정도 뒷받침한다고 생각한다. 물론 이 추론의 확증을 위해서는 유실되어 전하지 않는 1909년 3월 이후의 『제국신문』의 발굴이 필요하며 현재로서는 가능성을 제기하는 선에서 이 논문을 마무리할 수밖에 없다. 이 점은 이 논문의 한계로 남는다.

    영어초록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prove that the <Whang-gum-top(黃金塔)> and <Chu-pung-gam-su-rok(秋風感樹錄)>’s hand-written editions are preceding texts of the printed editions and to examine that they have many differences by the censorship of The Japanese Government.
    The written date of these manuscripts is presumed somewhere between the April and the October, 1909. Thus the period of these works’ creation have to be corrected. So far these works were regarded that written in 1912 at first, but it is not true. Actually they were written in 1909 at first. The hand-written editions show us this fact through the several evidences.
    Incidentally, between the contents of the hand-written editions and that of the printed editions exist many differences. For example, in the hand-written editions it is seen to the declaration of “Our nation or Our country(우리나라)”, the form of government. But in the printed editions it is replaced of “Cho-sun(朝鮮)”, the word of meaning Japanese colony. These facts got through the comparision of the text show us that there is the censorship by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and the hand written editions have many superior characteristic.
    According to the summary of the research and evidences, it can be presumed that the author of these works is Lee Hae Jo, the famous Sin-So-Sul(新小說) writer. He wrote many works in the 『Je-Guk-Sin-Mun(帝國新聞)』, but he didn’t close his many works during the period of serial publication. By the way, the <Whang-gum-top(黃金塔)> and <Chu-pung-gam-su-rok(秋風感樹錄)>’s hand-written editions have the similar aspect. Thus it can be presumed that these works is written by him. Though the demonstration of this inference need more certain proof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문학의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2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