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여성 교육에 나타난 ‘비일상’ 체험과 주체성―한일 여자교과서 『부녀감』과 『여자독본』 비교를 중심으로― (‘Non-daily life’ Experiences and Subjectivity in Women’s Education─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the textbooks of Korean-Japanese 『Hujyokagami』 and 『Reading Book for Women』─)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1 최종저작일 2023.09
36P 미리보기
여성 교육에 나타난 ‘비일상’ 체험과 주체성―한일 여자교과서 『부녀감』과 『여자독본』 비교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동아시아인문융복합연구소
    · 수록지 정보 : 日本學硏究 / 70권 / 143 ~ 178페이지
    · 저자명 : 박시언

    초록

    본고는 근대전환기 일본과 한국의 열전형식 여자교과서, 『부녀감(婦女鑑)』(1887)과 『여자독본』(1908)에 나타난 ‘비일상 체험’에 대한 여성인물의 대처 양상을 비교분석하였다. ‘비일상 체험’의 형상화와 ‘일상’으로의 회복을 여성의 입장에서 파악하고, 각국이 상상했던 비일상성과 사건 해결방식을 검토했다. 또한 각 교과서를 학습한 여학교를 추적하고, 해당 텍스트에 영향 받았을 대표적 여성의 사회진출까지 살폈다. 이것은 근대기에 들어서 증가한 여성교육담론이 여성들의 적극적인 사회참여와 주체성 확립에 영향을 주었다는 평가에 대한 대답으로 기능한다.
    『『부녀감』의 여성인물은 비일상적 상황에서 타자와 연대하며 공동체를 만들어 위기를 극복한다. 즉, 사적공동체와 위계구도를 넘어 신뢰관계를 통한 결속력을 강화시킨다. 이밖에 사건 해결을 위해 과감하게 지리적 경계를 넘나드는데, 이러한 모험담은 학습자로 하여금 새로운 세계에 대한 호기심을 불러일으키고, 주체적인 삶을 모색하는 데 도움을 준다. 한편, 『여자독본』의 여성인물은 일상으로의 회복을 위해 지배체제를 전복시키고자 한다. 직접 군사를 진두지휘하며 체제에 저항하는 등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는데, 이들은 마치 혁명을 꿈꾸는 자들과 같다.
    또한 두 교과서에 제시되는 비일상 표상은 각국의 실제 상황과 어울리며 등장인물의 대처양상은 한일 여성들의 사회진출과 연관성을 가진다. 이렇듯 격변기 한일 여성교육에서 비일상성은 주요 테마였고, 이는 각국의 사회상과 오버랩되는 것이었다. 공통적으로 두 교과서에는 용감하고 주체적인 여성상이 상당수 제시되는데, 이러한 표상체계는 실제 여성들의 사상계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 comparative analysis of how female characters deal with “non-daily life” that appeared in Japanese and Korean biographical women’s textbooks during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Hujyokagami(1887) and Reading Book for Women(1908). The figuration of “non-daily life” and their restoration to “Everydayness” were grasped from women’s perspectives, and the extraordinary nature imagined by each country and the ways in which the incidents were resolved were examined. This paper also traced the women’ schools that utilized each textbooks, and even examined the social advancement of representative women who were influenced by the texts. This serves as an answer to the assessment that women’s educational discourse, which increased in the modern era, influenced women’s active participation in society and the establishment of their own independence.
    The female characters in the Hujyokagami overcome crises by building community in solidarity with others in “non-daily life”. In other words, they transcend private communities and hierarchical structures to strengthen cohesion through trust. They also boldly cross geographical boundaries to solve crimes, and these adventure stories arouse learners’ curiosity about new worlds and encourage them to explore independent living. Then, the female characters in Reading Book for Women take the lead in overthrowing the ruling regime in order to regain their normal lives. They show aggressive actions, such as directly commanding the army to resist the regime, and look like dreamers of revolution.
    In addition, the representations of “non-daily life” in both textbooks match the actual situations in each country, reveal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ping styles of these figures and the social advancement of Japanese and Korean women. “Non-daily life” was a major theme in Japanese and Korean women’s education during a period of drastic change, and this overlapped with the social images of each country. Furthermore both textbooks commonly presented a brave and proactive image of women, and this system of representation influenced the actual formation of women’s though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日本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