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心物交感으로서의 詩的 형상표현 연구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Poetic Form as Mind-Matter Interaction(心物交感))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1 최종저작일 2012.12
31P 미리보기
心物交感으로서의 詩的 형상표현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서미술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미술문화학회 미술문화연구 / 1권 / 1호 / 267 ~ 297페이지
    · 저자명 : 임서령

    초록

    예로부터 동양에서는 회화와 시가 서로 뗄 수 없는 관계와 소통을 이루며 예술적 의취를 고취시켜왔다. 특히 중국에서는 詩畵本一律, 畵中有詩・詩中有畵 라 하여 회화와 시가 서로 소통하여 융합을 이루면서 예술로서의 성취를 배가시키는 모습을 보였다. 이는 회화는 공간예술, 시는 시간예술이라는 엄연한 차이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양자가 추구하는 표현의 요체가 인간의 정감에 있으며 예술적 창작의 원리와 목표가 동일하기에 이루어낸 성과라 할 수 있겠다.
    이에 본 연구는 시가창작의 원리와 그 예술적 의의가 어떻게 회화창작의 세계에 동일하게 수용될 수 있는지를 문제 제기하여 명말 청초의 사상가인 왕부지가 시가창작의 이상적 원리로 제기한 心物交感의 개념이 회화창작에 있어서 어떻게 동일하게 구현되는가를 고찰한 것이다. 심물교감은 창작자의 주관적 표현 내용으로서의 心과 객관 경물인 物이 만나 그 경계의 구분 없이 하나의 조화를 이루어 최고의 융화된 상태가 될 때 가장 이상적인 예술적 성취를 드러낼 수 있다고 보는 창작의 원리로서, 이러한 심물교감이 어떻게 회화창작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작용하는가를 전통회화와 본 연구자의 인물화 작품의 분석을 통하여 연구하였다.
    그 결과 회화와 시의 세계는 동일한 본질적 요소를 가지고 동일한 형상화의 원리로 ‘詩情畵意’를 구현하는 것으로서, 외형에 구속되지 않고 새로운 意境을 창출해내는 데 그 의미가 있으며 진정한 예술적 의의는 심과 물이 이루는 완벽한 화해의 상태, 즉 中和美와 和諧美 추구에 있음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회화와 시는 매체의 차이라는 한계를 넘어 서로 보완하는 차원에서 바람직한 영향을 주었고, 서로 융합하는 차원으로까지 나아가 마치 전 우주가 합일되면서도 함축미를 지니게 되는, 독특한 동양인의 미감을 형성하도록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여기서 본 연구자의 작품세계는 여성 인물을 주제로 하여 회화작품 세계를 펼쳐감에 있어 여성의 삶 속에 투영된 내밀한 서정적 정취를 내용으로 하고 있는데, 이를 형상화함에 있어 감정을 직설적으로 드러내기 보다는 은유와 절제를 통하여 간접적, 우회적, 상징적으로 드러내는 함축미를 구현하고자 하였다. 이에 이러한 형상화 방법은 시적 표현이라고 할 수 있고, 회화 형상화에 있어 심물교감으로서의 화해미 추구를 목표로 하는 연구자의 작품세계는 그 예술적 효과와 의의에 있어 물질 중심의 가치를 우선으로 하여 인간의 정서가 메말라가는 오늘날 더욱 의미를 가진다고 본다.

    영어초록

    From ancient times in the East painting and poetry have become inextricably bound to each other, thereby enhancing artistic meaning. As indicated by 詩畵本一律 (Poetry and painting share the same rhythm) 畵中有詩, 詩中有畵 (Within the is a, and within the is a specially in China, the two genres have doubled artistic accomplishments through their communication and fusion. Such accomplishments can be made because the two have pursued human emotions, based on the identical principle and purpose of creation despite the stark difference between painting as spatial art and poetry as temporal art.
    This study considers how the concept of 心物交感 (mind-matter interaction) Wang Fuzhi, a philosopher of the late Ming, early Qing dynasties asserted as the ideal principle of poetry can be applied to painting, raising the problem of how the principle of poetry can be equally accepted in the world of painting. 心物交感 is a principle of creation stating that the most ideal artistic achievement can be attained when the mind as a creator’s subjective expression and matter as an objective thing meet and are in the state of highest harmony and fusion. In this dissertation how this 心物交感 works in painting is researched through an analysis of traditional painting and my own figure painting.
    As a result, painting and poetry embody ‘poetic sentiment and pictorial meaning’ with the same essential elements and are based on the same modeling principle. They are of significance in that a fusion of two genres may generate new meaning without being confined to external appearance. The true artistic meaning can derive from a state of a perfect reconciliation between mind and matter, that is, the beauty of neutralization and harmony. Painting and poetry have had desirable influence and complemented each other, transcending the limits of difference in medium. Through their amalgamation they help form Asian’s unique aesthetic sense in which the whole universe becomes one and has connotative beauty.
    My art encapsulates clandestine lyric flavors projected onto female life, unfolding a pictorial world with the theme of the female figure. In projecting such figures my art embodies the beauty of implication unveiling emotions indirectly and symbolically through metaphor and moderation rather than revealing emotions explicitly. The way of such projection can be referred to as poetic expression. In terms of artistic effect and meaning my world seeking the beauty of harmony through mind-matter interaction is more meaningful today’s cold-hearted society putting too much importance on matt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