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최고경영자 교체유형과 이익조정 행태간의 관련성 (Earnings Management Associated with Types of CEO Turnover)

5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1 최종저작일 2011.06
56P 미리보기
최고경영자 교체유형과 이익조정 행태간의 관련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회계학회
    · 수록지 정보 : 회계학연구 / 36권 / 2호 / 129 ~ 184페이지
    · 저자명 : 곽영민, 최종서

    초록

    최고경영자는 자신의 교체시점을 전후하여 사적 이익을 도모한 이익조정을 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최고경영자의 교체에는 전임경영자와 신임경영자의 두 당사자가 연루되며 이에 따라 두 가지의 독립적인 이익조정 문제가 개입된다. 선행연구에 의하면 전임경영자는 자신의 마지막 재임기간에 보수수준을 증대시키거나 퇴임 후의 재취업 가능성을 제고할 목적으로 이익 상향조정의 동기를 갖는 반면 신임경영자는 미래에 양호한 이익을 보고하기 위한 가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취임년도의 이익을 하향조정하려 한다고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최고경영자의 교체를 전후한 이익조정의 동기는 획일적이 아니라 구체적인 교체유형에 따라 전임경영자와 신임경영자가 각각 상이한 이익조정의 동기를 지닐 수 있는 것으로 추론된다. 예컨대 전임경영자가 퇴임 후에도 회사 내부에 남아있는 경우에는 신임경영자가 이익조정을 할 수 있는 기회는 제한되는 반면 전임경영자가 회사에 잔류하지 않을 경우에는 취임년도의 이익조정을 시도할 수 있다. 또 신임경영자가 내부승진을 통해 영입되는 경우에는 외부영입의 경우에 비해 전임경영자와의 이해관계가 더 첨예할 수 있고 이익조정의 수단에 대해서도 더 정통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최고경영자의 교체시점을 전후한 이익조정에 대하여 검증력이 높은 분석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이익조정의 유인과 기회에 차별적 효과를 초래할 수 있는 교체의 유형을 식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최고경영자의 교체유형에 따라 교체시점을 전후한 경영자의 이익조정 행태가 차별화될 수 있다는 문제의식으로부터 동기부여되었다. 구체적으로 우리는 이익조정이 전임경영자의 자발적 및 강제적 퇴임 및 신임경영자의 내부승진과 외부영입 여하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보았다. 최고경영자가 교체되는 구체적 맥락과 관련하여 이익조정의 동기와 유인을 검토함으로써 교체유형을 둘러싼 상황에 대해 적절한 직관을 얻을 수 있고 이해관계집단들이 최고경영자의 교체를 전후한 재무제표를 검토함에 있어서 올바른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주의를 환기해 줄 수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최고경영자의 교체시점을 전후한 재량적 발생액과 비정상 실물활동의 크기를 조사하였다. 또 재량적 발생액과 실물이익조정치가 최고경영자의 교체유형에 따라 체계적으로 관련되는지를 다변량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나아가 최고경영자의 교체시점을 전후한 이익조정이 건전한 지배구조에 의해 경감되는 반면 대리인비용에 의해 증폭되는지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다.
    중요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표본을 전임경영자의 퇴임유형과 신임경영자의 영입유형에 따라 구분하였을 때 각 교체유형별로 이익조정 행태는 상이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구체적으로 전임경영자가 자발적으로 퇴임하고 신임경영자가 외부에서 영입되는 경우에는 교체연도에 양의 이익조정이 관찰된 반면 신임경영자가 내부에서 승진된 경우에는 이익조정의 증거가 발견되지 않았다. 또 전임경영자가 강제로 퇴임하며 신임경영자가 회사내부에서 승진된 경우에는 전임경영자의 재임 마지막년도에는 양의 이익조정이 관찰되는 반면 신임경영자의 취임 첫해에는 음의 이익조정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전임경영자가 강제퇴임되는 반면 신임경영자가 외부에서 영입되는 상황에서는 이익조정 현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전임경영자의 퇴임과 신임경영자의 영입유형이 어떠한 조합을 이루느냐에 따라 최고경영자의 이익조정 유인과 기회가 차별화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상술한 결과는 단일 방정식에 의한 회귀분석과 경영성과와 이익조정 및 경영자교체 사이의 내생성을 통제한 2단계 회귀분석 결과에서도 재차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경영자 교체시점을 전후한 기회주의적 이익조정은 건전한 지배구조에 의해서는 경감되는 반면 높은 대리인비용에 의해서는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관련문헌에 대하여 몇 가지 공헌점을 제시한다. 첫째, 발생액과 실물활동에 근거한 이익조정을 동시에 고려함으로써 경영자 교체와 관련한 이익조정의 실증연구에 추가적인 기여를 제공한다. 본 연구에서 보고되는 결과는 최고경영자의 교체유형을 둘러싼 구체적 상황이 퇴임 및 신임경영자의 기회주의적 이익조정을 위한 기회와 수단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제시한다. 둘째, 본 연구에서 보고된 결과는 최고경영자의 교체 의사결정에 참여하는 다양한 이해관계집단에 대하여 경영자교체의 상황이 회계정보의 질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환기해 줄 수 있다. 즉, 최고경영자의 교체 시점을 전후한 재무제표 정보에 대해서는 보다 엄격한 검토가 요구됨을 시사한다.

    영어초록

    Anecdotal and empirical evidences suggest that the CEOs(Chief Executive Officer) engage in earnings management to bolster self-interests around the time of their change. CEO turnover involves two distinct decision makers, the departing(predecessor) CEO and the incoming(successor) CEO. Turnover then raises two independent earnings management issues: how the predecessor manages accounting earnings and how the successor manages them. Previous research suggests that a departing CEO tries to inflate earnings to obtain higher bonus in the last year of operations or to obtain better employment after retirement, while an incoming CEO deflates earnings in order to build reserves of reported income.
    However, type of CEO turnover provides different incentives for departing and incoming managers to make opportunistic earnings management. If the departing CEO stays with the company after retirement on the board of directors, the incoming CEO might not have opportunity for earnings management because of monitoring by former CEO. On the other hand, the incoming CEO takes a bath in his first year by recording big charges, so long as the departing CEO does not remain in the firm as a director. Therefore, to construct a powerful test of earnings management in the CEO turnovers, it is useful to identify types of CEO turnover that would provide differential incentives and opportunities for earnings management.
    This study was motivated by the suspicion that types of CEO turnover influence earnings management around CEO turnover. Specifically, we first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earnings management and types of departing CEO which were classified into voluntary departure and forced departure according to the rules used by Huson et al.(2001). Second, we investigate whether types of incoming CEO, whereby the types are classified into internal promotion and external recruitment, affect earnings management around CEO turnover. Finally, we explore whether earnings management around CEO turnover are distinguishable depending on the types of departing CEO and those of incoming CEO combined together. By understanding the motives or incentives for earnings management in conjunction with specific contexts of CEO turnover, one can develop adequate intuition into circumstances surrounding certain types of CEO turnover, which will help various stakeholder groups to make proper judgement in reviewing financial statement around CEO turnover.
    To achieve the afore-mentioned research objectives, we first examine the magnitude of discretionary accruals and abnormal real activities around the CEO turnover. In particular, we calculate discretionary accruals using the modified Jones model and variants of this model that correct for the bias due to extreme operating performance (Kothari, Leone and Wasley, 2005). Proxies for real earnings management activities are developed using the models suggested by Roychowdhury (2006) and Cohen and Zarowin (2010). We next examine whether the proxies of accrual and/or real earnings management are systematically related with the each type of CEO turnover using single equation and Heckman’s two stage equation models. In addition, we also examine whether earnings management around CEO turnover tends to be alleviated by sound governance mechanism but intensified by higher agency costs. The analysis yields following key findings.
    First, when we classified sample into four portfolios based on the joint types of departing CEO and incoming CEO, different patterns of earnings management are observed for each portfolio around the turnover. In particular, when departing CEO leaves the company voluntarily and incoming CEO is invited from outside the company, there is an evidence of upward earnings management in year t, when the incoming CEO is promoted from inside the company, he or she did not manage earnings on the other hand. And, there was an evidence indicating upward and downward earnings management in year t-1 and year t, respectively, when former CEO leaves the company under forced turnover context and incoming CEO is promoted from inside the company. However, we can not observe earnings management, when former CEO leaves the company on a compulsory basis and incoming CEO is invited from outside the company. These results suggest that CEOs have differential incentives for earnings management around their turnover depending on the types of departing and incoming CEO combined together. Second, after controlling for the possible endogeneity stemming from the linkage between corporate performance and executive change by using Heckman's two stage approach, we find evidence to support previous results based on single equation-based analysis. Finally, the opportunistic earnings management around CEO turnover tends to be alleviated by sound governance mechanism but intensified by higher agency costs.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existing earnings management literature in Korea in a number of respects. First, we incorporate recent innovations in measuring earnings management into our research design by combining the accrual and real activity based metrics and show that these innovations substantially alter the inferences in the CEO turnover context. The results provided in this paper mark significant evidence to support that the circumstances surrounding certain types of CEO turnover provide incentives for departing and incoming CEO to engage in opportunistic earnings management. Second, the results documented in this paper provide an important implication for diverse interest groups participating in the CEO turnover decisions and a logical underpinn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EO turnover and qua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The evidence obtained herein suggests the need for more rigid screening for financial statement around CEO turnov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