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종교와 행복- 행복감, 교회몰입 및 구전효과 간의 관계 (Religion and Happiness: Relation among the Sense of Happiness, Church Commitment and Word-of-Mouth Effect)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1 최종저작일 2015.08
25P 미리보기
종교와 행복- 행복감, 교회몰입 및 구전효과 간의 관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회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담론201 / 18권 / 3호 / 111 ~ 135페이지
    · 저자명 : 조운희

    초록

    본 연구는 종교가 행복하고 만족한 삶을 영위하게 할 뿐만 아니라, 종교로 인하여 행복한 사람은 궁극적으로 종교체험에서 갖게 되는 신적인 사랑을 이타적인사랑으로 승화시켜 인류사회를 행복하게 만드는 사회적 자본 구축에 촉매역할을수행할 것이라는 전제에서 출발하였다.
    그러나 행복심리학자 디너 등은 교가 사람들의 행복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고사람들이 종교를 가짐으로써 행복해지기를 원한다는 것이 분명한 사실이라면, 시간이 갈수록 종교 가진 사람들이 더 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사회안전망이 취약하고 빈곤층이 많은 국가에서는 종교로 인하여 행복이 증진되는 효과가 높게 나타나는 반면에 이와 상반된 서구 선진국에서는 오히려 종교인이 급감하는 ‘종교의패러독스’ 현상이 나타나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이러한 종교의 패러독스 현상과는 달리 최근 세계은행(2006)이 ‘국부(國富)는 어디에 있는가’(Where Is the Wealth of Nations)라는 보고서에서 후진국의 경우는 자연자본 26%, 만들어낸 자본 16%, 무형자본 59%이고, 개발도상국의 경우는 자연자본 13%, 만들어낸 자본 19%, 무형자본 68%이며, 선진국(OECD)의 경우 자연자본은 2%, 만들어 낸 자본은 17%이지만 인적자본, 사회적 자본, 제도의 질과 같은 ‘무형자본’(intangible capital)이 80%라고 보고하고 있으며, 이 무형자본은 시민참여와 협력 거버넌스 구축, 보다 나은 경제발전과 삶의 질 향상, 연대와 협력을 통한사회적 효율성 증진 등의 역할을 한다고 언급되고 있다.
    이는 2005년 현재 우리나라 인구의 절반이상인 53%가 종교인이란 사실은매우 중요한 국가자원으로 주목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가구소득이 약 75,000달러 정도 그 이상을 넘으면 행복경험이 평균적으로 전혀늘어나지 않는다는 카너먼의 주장을 토대로 해서, 욕구결핍과 욕구충족은 반복된상태로 은유와 환유 과정을 거치게 된다는 라캉의 욕망이론, 매슬로의 자아실현욕구단계에서의 상위욕구에 ‘종교적 욕구’를 포함하는 욕구위계이론 확장, 그리고성숙한 사람은 종교적으로 생활한다는 올포트의 성숙이론에 대한 통섭적 관점의유용성 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연구자는 이론적 검토에서 설정한 행복감이 종교에 영향을 주는가 하는 상향식경로인 행복감 →교회몰입→ 구전효과 가설과 종교가 행복에 영향을 주는가 하는하향식 경로인 구전효과 →교회몰입→ 행복감 가설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제적으로 경북 P지역의 교회구역지도자 206명을 대상으로 조사분석한결과는 행복감 ⇒ 교회몰입 ⇒ 구전효과, 구전효과 ⇒ 교회몰입 ⇒ 행복감 그리고행복감⇒ 구전효과, 구전효과 ⇒행복감 모형 모두 행복감 요인이 원인변수 또는결과변수로서 강조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조사결과로부터 행복을 필요로 하는 자를 행복한 사람이 되게 하여 행복함을 구전하는 과정, 신앙인으로서의 행복함이 사회적 자본으로 기여하도록 하는 방안, 이와 아울러 ‘종교교육’ 과 ‘문화운동’을 실제적으로 실행해야 할 필요성 등을 제안하고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find out a solution as to how religiosity can play an important role as a cultural movement for the enforcement of social capital. To undertake this study, three questionnaire factors, i.e., sense of happiness, church commitment, and word-of-mouth effect, of 206 Christians in Gyeong-buk, are analyzed to confirm two hypothes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mpared to church commitment and word-of-mouth effect, the sense of happiness seems more positive, and correlation of the church commitment and word-of-mouth effect is higher. Specifically, there is a big positive (+) relation, with a ratio of about .419-.598, among sense of happiness, church commitment and word-of-mouth effect.
    Second, according to Baron & Kenny's procedure(1986), sense of happiness leads to word-of-mouth effect through the medium of church commitment, which means church commitment plays a partial mediating role. Moreover,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is statistically worthy in the rate of p<.01. Mediating effect of church commitment has an indirect influence (61.29%) and a direct influence (38.71%) on word-of-mouth effect.
    Third, word-of-mouth effect leads to sense of happiness through the medium of church commitment, which means church commitment plays a partial mediating role according to Baron & Kenny's procedure(1986).
    Furthermore,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is statistically worthy in the rate of p<.01. Mediating effect of church commitment has an indirect influence (54.81%) and a direct influence (45.19%) on sense of happiness.
    Thus, the study shows that sense of happiness leads to word-of-mouth effect through the medium of church commitment and vice versa, which means church commitment plays a partial mediating role not only on word-of-mouth effect but also on sense of happiness. It is primarily recommended that the realization of religious education and cultural movement, as well as the effort of the practical and cultural study, is needed so that the sense of happiness as a believer contributes to social capita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