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법정근로시간 단축의 효과와 의의의 재검토 (The Effects of Reduction in Legal Working Hours Reconsidered)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1 최종저작일 2015.12
29P 미리보기
법정근로시간 단축의 효과와 의의의 재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비판사회학회
    · 수록지 정보 : 경제와 사회 / 108호 / 108 ~ 136페이지
    · 저자명 : 이정아, 김수현

    초록

    노동시간 단축의 효과 분석은 단축 과정을 둘러싼 역사적·경제적 상황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해야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기존 연구들은 노동시간 단축이 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총량적으로 접근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제도적 노동시간 단축 과정인 법정근로시간 단축 당시의 상황과 맥락을 고려해 전후 변화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노동시간 단축이 가지는 효과와 의의를 재평가한다. 이를 위해 1989년과 2004년의 법정근로시간 단축 전후 노동시간 단축 양상을 살펴보고, 특히 주 40시간제 실시 직전인 2003년과 2014년의 노동시장 조건및 변화를 비교한다. 이때 일자리 구조 변화를 통제한 노동시간 단축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하인뮐러(Hainmueller, 2011)의 엔트로피 균형 방법과 산업×직업 매트릭스를 이용한다. 분석결과는 노동시간 단축 요구가 발생한 상이한 배경이 노동시간 단축 과정에서 다르게 반영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법정근로시간 단축은 노동시간의 구조를 변화시키는 프레임 재구성이라는 제한적 효과를 갖는다.
    노동자대투쟁 이후의 주 44시간제 실시와 달리 폭넓고 장기적으로 영향을 끼친 외환위기 이후의 법정근로시간 단축은 상대적으로 안정성과 임금이 낮은 일자리의 노동자 비중 증대와 관계가 있다. 본고에서는 불황기에 기업이 저숙련노동자의 장시간 노동에 대한 유인을 적게 갖는다는 점에서 그 이유를 찾는다.
    상대적으로 취약한 노동자들에 대한 보호가 미흡한 상태에서 진행된 노동시간단축은 결과적으로 비교적 짧은 시간 동안 일하며 매우 낮은 소득을 갖는 집단의 확대를 야기했다. 이는 포괄적인 노동조건의 개선 관점에서 노동시간 단축은 최저임금 등 임금정책과 반드시 함께 논의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영어초록

    We claim that the effects of reduction in legal working hours should be examined in the light of historical and economical circumstances at the time of the reduction. In the perspective that sees working hours as lump-of-labor time, reduction in working hours merely exerts limited influence on working time and the wages. We maintain, however, that reducing legal working hours is capable of generating changes in the structure of working hour. This is because the first-hand effect of the reduction is an adjustment of straight-time only. Impacts on overtime are not clear-cut, for workers’ ‘quasi-fixed costs’ is not fixed. The result is changes over decades in the structure of working hours, that is, the structure constituted by straight-time and overtime together.
    In Korea, the first reduction of legal working hours, during the period of 1989 to 1991, was introduced after the Workers’ Struggle of 1987 and the second, during the period of 2004 to 2011, was prompted by the financial crisis of 1997.
    The first reduction was political whilst the second was economical. The influence of the second on the structure of working hours was very different from that of the first, because of the changes in economic environment after the financial crisis — in particular, dramatic increase in nonstandard work. In that situation, it is difficult to say that shorter working hours are equivalent to straight-forward improvement of working conditions. This claim is supported by Hainmueller’s (2011) method of entropy balancing and the industry-occupation employment matrix. An important finding is that the reductions in working hours in Korea were intersected with the growth of vulnerable work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