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河圖象에 나타난 六十干支의 形態 연구 (A Study on Theory of the Ganji in Hadosang)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1 최종저작일 2021.02
34P 미리보기
河圖象에 나타난 六十干支의 形態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철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철학연구 / 105호 / 275 ~ 308페이지
    · 저자명 : 이옥화

    초록

    河圖는 ‘象’에 내재된 ‘象數’이고 간지 형태와 상호 연관성은 음양이며, 하도의 점상구조는 음양에 배열된 생성수 5와 10수의 중심체계로 구성된 圖形式과 五方式이 특징이다. 동양철학의 우주세계관은 천지만물이 도상의 생성수에 복속되어 있다는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하도점상의 생성수에 기원은 夏代 伏羲에 의하여 창안된 선천수에 있다. 이어 周代 文王이 창안한 洛書의 후천수와 밀접한 體用關係로 공존한다.
    본문에서 하도점상의 근원적 고찰을 위해, 宋代 陣摶의 최초 하도 발견을 계기로 朱子의 하도원리 체계화를 검토하면, 이 이론에 반영되어 있는 도합10수 생성은 十天干이 十二地支 순차로 배열되어져 있었다. 간지상합은 大堯에 의해서 창안되었다. 간지상합에 唐代 李虛仲은 이합집산 하는 ‘六相合’과 ‘六相沖’ 이론을 선천수에, 천간의 ‘祿旺支’ 이론을 후천수에 정립한 의미를 살펴보았고, 융합과 직결된 의미를 고찰하였다. 따라서 하도점상에 나타난 간지 형태는 하도원리와 별개의 이론이 아니라 象數로 연결된 생성수의 융합이며, 천간은 ‘五象’의 상징성에서 비롯되었고, 지지는 ‘四象’에 반영하여 생성되었다. 날짜를 표시한 연월일시 단위에는 간지체계를 결합시키고 변화차이를 관찰하기 용이하도록 오늘날 까지 전승되면서 干支의 융합은 하도의 선천수로부터 생성되었다 사료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angsoo within the Jeomsang of Hado and discuss the correlations with the forms of Ganji. The background of the diagraming of Hadojeomsang is the system of the Saengseongsu 5 and 10 arranged in Yīnyángwǔxíng and the setting of the positions on the up, down, right, and left sides. The universe in the Asian Philosophy and everything in it is under the influence of the Sangseongsu. The division of the numbers originates from the Seoncheonsu, which was invented by Fuxi. A thousand years later, King Wen of Zhou invented the Hoocheonsoo of Nakseo, which exist in a close Chaeyong relationship. As Jindan first discovered Hado during the Song era, the principles are explained by Zhu xi of Song. Here, the Hado Hap 10 Soo are aligned with Sipcheongan, and Daeyo invented the Gangji that Sanghap with Jiji. As for the unique terms of Ganji, the theories of Yooksanghap and Yooksangchoong which gather and disperse as the characteristics of Yin Yang are assigned to Seoncheonsoo, while Heojoong Lee of Tang, who assigned Cheongan to Rokwangji converged Hoocheonsoo and Ganji. Ganji is not of a separate theory from the principles of Hado, but it converges with the sequence of Ganji connected with Sangsoo in its form. The Cheongan originated from the symbolism of Osang, while Jiji is reflected in the Choonhachoodong of each month of the year as well as the 12 Ipjeol Ibooniji, so that the spirit of Cheongan is rooted on Jiji, which is its origin. Now, it is easier to observe the changes and differences by joining the modern calendar with the Ganji system. This will serve as the necessary data for the future studies on Samwoonsasang Samg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