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正祖年間 三水府 逆謀事件의 추이와 성격 (A Study of the Samsoo­Province Revolt During King Jeongjo's Era)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1 최종저작일 2008.06
44P 미리보기
正祖年間 三水府 逆謀事件의 추이와 성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학연구 / 90호 / 101 ~ 144페이지
    · 저자명 : 고성훈

    초록

    정조 9년(1785) 12월에 일어난 삼수부 역모 사건은 정조 초반 宋德相과 宋煥億 등의 실각을 계기로 그와 사적으로 교류가 있었던 三水 座首 禹德夏가 주동하였다. 이 당시 송덕상과 송환억 같은 정조 초반 정국을 주도했던 인물들이 삼수로 유배되었고, 우덕하는 이들에게 물질적 도움을 주며 후일을 기약했다.
    하지만 송덕상과 송환억은 洪國榮의 측근으로 몰려 재기 불능상태였고, 이 와중에 송덕상은 사망하였다. 이에 우덕하는 삼수의 유력 인물과 謫居人들, 떠돌이 訓長 등과 함께 政局의 반전을 꾀하려고 했고, 그 방법은 서울의 동지에게 ‘흉서’를 전달하는 것이었다. 이때의 ‘흉서’는 金鐘秀를 포함한 고위 관료에 대한 일종의 살생부였다.
    우덕하는 당시 삼수 일대에 흘어 들어왔던 柳泰守ㆍ柳漢敬 등 거사들에게 숙식을 제공해주며 인연을 맺었다. 그는 거사 유태수에게 順安 韓哥의 집에 ‘흉서’를 전달해 달라고 요청하였다. 그러나 순안 한가의 집에 ‘흉서’를 전달하기 위해 길을 떠난 유태수ㆍ유한경 등 거사 일행이 단천에서 체포됨으로써 일은 더 이상 진척될 수 없었고, 곧 推鞫으로 이어졌다.
    사건의 조사 과정에서 주모자 우덕하가 물고됨으로써 자세한 진상을 알아낼 수 없게 되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삼수의 토박이 유력자, 적거인, 떠돌이 훈장, 거사들이 복잡하게 사건에 얽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더욱이 ‘거사 1만여 명이 전국에 흩어져 있고, 이들이 擧兵을 할 것’이라는 소문이 파다했다.
    또한 조사 과정에서 禹弼謨 등이 彌勒信徒들에 대한 진술을 함으로써 주목을 끌었고, 재판은 새 국면을 맞기도 했다. 미륵신도 李龍範 등은 ‘神將’을 맞이하는 행사를 했다고 한다. 이를 통해 新世界, 彌勒世界를 맞이하려 했다는 것이다. 또 이들은 彌勒聖人을 내세우기도 했으며, ‘鄭氏가 장차 나라를 얻는다.’는 등의 鄭鑑錄의 핵심 논리를 전파하기도 했다.
    한편 이 사건을 통해 거사들의 삶의 방편을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그들은 곳곳을 전전하며 行乞, 占卜, 기도, 염불, 행상, 연희 등을 통해 생계를 해결했고 때로는 역모에 가담하기도 했다.
    그러므로 이 사건은 역모를 위한 ‘흉서’ 사건에 불과하지만 그 의의는 결코 적지 않다. 먼저 이 사건의 분석을 통해 정조 초기 홍국영과 송덕상 실각 후 정국 동향의 일단을 파악할 수 있었다. 특히 잇따라 일어난 정치 변란의 실체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하겠다.
    그리고 거사들의 다양한 삶과 행동 양식을 『推案及鞫案』의 재판 과정 분석을 통해 생생하게 파악할 수 있었다. 또 미륵신도들이 ‘신장’ 의식을 통해 ‘신계계’, ‘미륵세계’라는 이상향 추구의 구체적 모습을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이 사건의 사회, 문화사적 의의는 조선시대를 통틀어 거사들의 활동과 역모 사건 가담 사례가 가장 구체적으로 드러난 데 있으며, 미륵신도와 관련해서도 숙종조 이후 최초로 그들의 활동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 데에 있다.

    영어초록

    The Samsoo-Province (三水府) Revolt on December 1785, 9th year of King Jeongjo's era, occurred under the leadership of Woo Deok-ha (禹德夏) of Samsoo-Province. He had personal relationships with politicians such as Song Deok-sang (宋德相) and Song Hwan-eok (宋煥億) who had fallen from power in the early years of King Jeongjo's period. These overthrown politicians took the lead in the political situation in King Jeongjo's early years and were subsequently exiled to Samsoo-Province at that time, and Woo Deok-ha was of material help to them.
    However, Song Deok-sang and Song Hwan-eok, who had been accused of being close associates of Hong Gook-young (洪國榮), were unable to recover their political power. After the death of Song Deok-sang, Woo Deok-ha and his colleagues, potentates, exiles and intellectuals of Samsoo-Province, tried to reverse the political situation by sending a list of desired assassinations, which included some high-ranking officials such as Kimg Jong-soo (金鐘秀), to their faction in the capital.
    Woo Deok-ha provided accommodations and meals to Geosa (居士 a hermit), like Yu Tae-soo (柳泰守) and Yu Han-gyeong (柳漢敬), in Samsoo-Province and became intimate with them. He asked Yu Tae-soo to deliver the list to Han Ga (韓哥) of Soonan (順安). Yu Tae-soo and his company, however, were arrested in Dancheon when they were delivering the list to Han Ga and they were immediately put to trial for a felony offense.
    Woo Deok-ha had been executed during the hermits’s trial and the facts of the case died with him. However, it was revealed that potentates, exiles, wanderers, hermits, and intellectuals of Samsoo-Province were implicated in the case. Moreover, there was a rumor that approximately ten thousand hermits throughout the country would raise an army.
    With the statement of Woo Pil-mo (禹弼謨) about Mireuksindo (彌勒信徒 the followers of Maitreya Buddha), the trial entered a new phase. Lee Yong-beom (李龍範), who was one of the followers of Maitreya Buddha, had held a ceremony to greet Sinjang (神將 a heavenly General). Through this ceremony, they tried to meet a new world, the world of Maitreya Buddha. They also advocated Mireukseongin (彌勒聖人 the saint of Maitreya) and propagated the important theory of Jeongamrok (鄭鑑錄), that a man from Jeong's family would come into power.
    By examining this case, it has become possible to understand the way of life of hermits. They wandered everywhere and survived through begging, fortune-telling, prayer, making Buddhist invocations, peddling, etc. They also were taken up on a charge of revolt from time to time.
    Although the hermits were arrested before they were able to deliver the list and therefore complete their crime, their involvement carries significant meaning. First of all, more insight is given into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early years of King Jeongjo's era, right after overthrow of Hong Gook-young, Song Deok-sang. In particular, it allows us to understand the subject of the series of political disturbances.
    Moreover, the hermits’s way of life was brought to light as a result of their examination on the trial records from "Chuangeupgukan (推案及鞫案) ". The aspect of how Mireuksindo had pursued a utopia, as it is called, a new world or the world of Maitreya Buddha through the ceremony of greeting Sinjang also has been disclosed.
    The social and cultural historical meaning of this case is as below.
    It shows the definite aspect of hermit's life and their role in political disturbances. And it is the first concrete example of their relation with Mireuksindo in the period after King Sookjong's er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