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수사기관간 수사권의 합리적 균형관계 모색 (A Study on the Rational Equilibrium Relationship of Investigative Authority between Investigatory Agencies)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1 최종저작일 2017.09
35P 미리보기
수사기관간 수사권의 합리적 균형관계 모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법학회
    · 수록지 정보 : 법학연구 / 17권 / 3호 / 289 ~ 323페이지
    · 저자명 : 조만형

    초록

    그 동안 태풍전야처럼 표면적으로는 잠잠하던 수사권 독립 또는 조정과 관련한 논쟁은 최근 검찰권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일부 정치검찰 출신의 적극적, 소극적 개입 내지는 비호 하에 국가 통치권력의 심각한 왜곡현상, 최순실 게이트 등으로부터 촉발된 국정농단 사건 등으로 인하여 장기적인 국정공백이라는 초유의 사태가 그동안 검찰의 개혁을 외부적 통제(검찰총장 임기제 및 청문절차를 통한 임명 등)와 자율적 변화에 맡겨 놓은 결과라는 인식 하에서 검찰에 대한 개혁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바, 검찰개혁의 핵심으로서 수사권 독립 또는 조정의 문제로 귀결 되고 있는 양상이다.
    헌법 제2조 “대한민국은 민주공화국으로서, 대한민국의 주권은 국민에게 있고,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는 의미는 수사권은 통치권의 일부로서 주권자인 국민으로부터 부여 받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수사권의 행사는 국민을 위해서 행사되어야 하는 것은 민주주의 원리상 당연한 결론이다. 또한 수사권의 조정·배분 기준 또한 국민의 인권보장에 충실하게 국민의 눈높이에 맞추었을 때, 그에 대한 정당성을 보장 받을 수 있을 것이다. 결코 수사기관 자신들의 이익 또는 불이익 유무가 수사권 조정·배분의 기준이 될 수 없으며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서 수사권을 행사해서도 결코 안 되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위와 같은 관점에서 볼 때 먼저, 어떻게 수사권을 조정·배분하는 것이 합리적인지에 대하여 외국의 입법례와 우리나라의 이론적 논쟁을 통하여, 검찰의 직접적인 수사기능을 사실상 없애고 검사는 2차적이고 보충․보완적 수사권을 보유하며 적정한 공소제기, 수사의 효율화를 위해 일정한 범위 내에서 경찰에 대한 지휘권을 갖고 있는데 상명하복의 관계가 아니라 수사의 효율성 강화와 공소유지에 부합하는 실질적인 상호 협력·대등 관계라는 결론을 도출하였으며, 다음으로는, 수사기관 간의 수사권의 분점을 합리적으로 할 수 있는 최적의 상태인 균형점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는 바, 주로 경찰권에 대한 통제 내지 자체 개혁방안으로서 첫째, 경찰청장 임명제 등 개선과 경찰위원회제도를 실질적으로 운용하여 경찰권력에 대한 통제기능의 강화 둘째, 자치경찰제의 전면적 실시와 일반경찰과 수사경찰의 관계 재정립 등으로 경찰권력의 분산을 통한 수사권력의 독점을 방지하자는 내용을 다루어 보았다. 마지막으로는 경찰자체의 개혁프로그램에 대한 내용을 제시하였다. 우선, 수사경찰의 전문성 강화 및 수사역량 제고를 위해서 ① 수사경찰 선발의 적정성 확보 ② 수사역량 제고 ③ 교육훈련의 강화 ④ 수사경과제도 개선 등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인권보호방안으로는 ① 현행 경찰조직 내 인권보호기구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인권 친화적 시스템을 활성화하여야 한다는 것 ② 현행 경찰옴부즈만제도의 개선을 다루어 보았다.

    영어초록

    The controversy related to the independence or adjustment of the investigative authority, seeming like the calm before the storm so far, has recently been concluded as the heart of the reform of the prosecution. This phenomenon resulted from the recognition that the reformation has been left with the external control as in the term system of the public prosecutor general and his or her appointment through the hearing procedure and the autonomic change of the organization. This condition is believed to cause some evil effects that the prosecution power has not worked properly and that the national ruling power has been severely distorted by the active or passive intervention and protection from some political ex-prosecutors and that there happened a long-term vacuum of government owing to the monopolization of the state affairs such as Choi Soon-sil gate, the 2016 South Korean political scandal.
    According to the first article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saying that “The Republic of Korea shall be a democratic republic. The sovereignty of the Republic of Korea shall reside in the people, and all state authority shall emanate from the people,” the investigative authority is given as a part of sovereignty from the people.
    Therefore, exercising it should naturally be for the people based on the principle of democracy. Also, the action is to be justified as long as the standard of regulating and distributing the investigative authority should be set up to cater to the people, not to the certain agencies of the prosecution or the police, leading to guaranteeing the people’s rights faithfully.
    Considering this aspect, this paper, above all, argues that prosecutors should have the secondary, supplementary, and complementary authority of investigation with their direct function of investigation being virtually removed through observing the examples of legislation of other countries and the theoretical disputes of South Korea regarding how to regulate and distribute the investigative authority rationally. It is concluded that, although a prosecutor has the right to command within the purview of the law for prosecuting a case reasonably and investigating efficiently, he or she is not in vertical decision making relationship, but really on cooperative and equal terms with the police to suit the strengthened efficiency of investigation and the maintenance of a public prosecution.
    Next, this paper suggests some reformation plans to be executed externally and internally toward the police authority after looking for the optimal equilibrium point to allocate the investigative authority between the organizations. Firstly, the function of control of the police power should be enhanced by improving the system of appointing a commissioner of the national police agency and operating the committee institution in quality. Second, the monopoly of the investigative authority should be prevented by dispersing the police power such as carrying out the local police system completely and reestablish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neral and investigatory police and so on.
    Lastly, this paper proposes the contents of the reform program the police can do by themselves. Firstly, to intensify the specialty as the investigative police and improve investigative ability, they need to secure the propriety of choosing the investigative police, enhance the investigation power, enforce the education and training, and police investigation specialization. Secondly, as to the plan to protect human rights, this paper proposes revitalizing the human rights friendly systems to improve the problems that the related internal organizations have after analyzing them and deals with the improvement of the current police ombudsman syst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