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명주보월빙> 연작의 친동기간 갈등 양상과 의미 (Aspects and Meaning of the Conflict between full siblings in the Series of Myeong-ju-bo-wol-bing(明珠寶月聘))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1 최종저작일 2021.12
32P 미리보기
&lt;명주보월빙&gt; 연작의 친동기간 갈등 양상과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고전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고전문학연구 / 60호 / 217 ~ 248페이지
    · 저자명 : 유인선

    초록

    조선후기 한글장편소설은 ‘가족’을 중심으로 삶의 다양한 국면과 인간관계를 포착하며, 가족갈등을 다양하게 변주함으로써 가족 문제의 구체적인 실상을 드러낸다. 그동안 한글장편소설에서 가족갈등은 주로 ‘부자갈등’과 ‘부부갈등’을 중심으로 논의되었으며, ‘형제갈등’으로 대변되는 同氣間의 갈등은 이복형제간의 갈등 위주로 소략하게 다루어진 감이 없지 않다. 한글장편소설에서 동기간의 갈등이 소략하게, 그마저도 이복형제의 갈등 위주로 다루어진 것은 동기간이 천륜으로 인식된 데다 親同氣間의 갈등을 암묵적으로 회피하고자 했던 한글장편소설의 창작 경향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명주보월빙> 연작은 이러한 동기간의 갈등, 특히 친동기간의 갈등을 수면 위로 부각시키는 동시에 산발적으로 다루어지던 친형제·자매·남매갈등을 종합적으로 다룬 작품이라는 점에서도 주목된다.
    <명주보월빙> 연작은 친동기간의 경쟁의식과 시기심의 문제를 적극적으로 서사화함으로써 종통계승과 혼인문제를 주로 다룬 작품들과 뚜렷한 대비를 이룬다. <명주보월빙> 연작에서 ‘자매갈등’은 삼각관계에 의한 애정갈등에서 벗어나 친동기간의 시기심과 열등감, 그로 인한 파괴적 면모 등을 형상화며, ‘형제갈등’ 역시 형제간의 경쟁심리가 자녀들의 혼인과 성취, 사회적 위상 문제 등과 결부되어 서사화된다는 점에서 다른 작품들과 차이를 보인다. 또한 ‘남매갈등’의 경우 재산분배 등 현실적 이익과 관련된 문제를 다루며, 남매간의 권력 다툼 속에서 발생하는 윤리적인 문제를 조명한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이 외에도 <명주보월빙> 연작은 중심가문과 주변가문을 통해 친동기간의 갈등을 전략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중심가문의 위상과 역량을 부각하는 효과를 보인다.
    <명주보월빙> 연작의 친동기간 갈등 양상과 의미를 규명하는 것은 한글장편소설의 서사적 경향이 다양하게 변주되는 一端을 밝히는 동시에 <명주보월빙> 연작의 특징을 규명하는 작업으로서도 의의를 지닌다. 또한 친동기간의 갈등에 대한 고찰은 현대에도 여전히 시의성을 지닌 주제로서 의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Korean classical novels in the late Choseon Dynasty capture various aspects of life and human relationships focused on ‘family’, and reveals the concrete reality of family problems that occur in the social system of the time by varying family conflicts. Previous studies about Korean classical novels have been mainly discussed family conflicts focused on ‘father-son conflicts’ and ‘marital conflicts’. On the other hand, conflicts between full siblings were included in ‘sibling conflict’ and has been briefly dealt while the sibling conflict mainly focused on conflicts between half sibling. The fact that sibling conflict is less emphasized in Korean classical novels, and even most of them were about half brothers, stems from the tendency of the time to implicitly avoid the issue of full sibling conflict. The Myeong-ju-bo-wol-bing series is noteworthy in that the series highlights the conflict between full siblings.
    The Myeong-ju-bo-wol-bing series is the longest series of novels in the late Choseon Dynasty, consisting of Myeong-ju-bo-wol-bing and Yun-ha-jeong-sam-mun-chwi-rok (total of 205 volumes). The series shows various aspects of full sibling conflicts such as sister conflict, brother conflict, and brother-sister conflict within a single series. In particular, most of the other novels, realistic aspects such as ‘marriage problem’ and ‘problem of succession’ are the major causes of sibling conflicts, but The Myeong-ju-bo-wol-bing series shows a different trend. Sibling conflict in the Myeong-ju-bo-wol-bing series originate from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rivalry, jealousy, and hostility. First, in the case of sister conflict, the psychological wounds of the older sister caused by the father’s favoritism are expressed as jealousy and hostility toward the younger sister. In the case of brother conflict, the rivalry between each other extends to the problems of marriage and social success of children, and this also extends to conflicts between cousins of the children generation. On the other hand, it is notable that brother-sister conflict deals with issues related to real interests, such as inheritance rights and succession rights, and illuminates ethical issues that arise in power struggles between them.
    In addition, Myeong-ju-bo-wol-bing series strategically arranges the conflicts between the full siblings through the main family and the extra families. In the case of the main family, the conflict between sisters is handled without damaging the honer of the family. However, in the case of the neighboring families, the capabilities of the central family is revealed by highlighting the catastrophe of the neighboring family due to sibling conflicts.
    The Myeong-ju-bo-wol-bing series is significant in that it reveals the conflicts between full siblings that have been concealed by emphasizing fraternal affection in terms of ethical and ideological justification, and in that it narrates the rivalry and jealousy between full siblings in contrast to other novels. In addition, the issue of conflict between full siblings is still a meaningful topic in modern tim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전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