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中國 陝西省 北朝造像에 관한 硏究 -영평년간永平年間 도교상과 평행선平行線 문양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Northern Dynasties Statues in the Shǎnxī Province, China -with focus on the Dated 508~511 Taoist image and parallel lines pattern-)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1 최종저작일 2022.02
30P 미리보기
中國 陝西省 北朝造像에 관한 硏究 -영평년간永平年間 도교상과 평행선平行線 문양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덕성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인문과학연구 / 34호 / 187 ~ 216페이지
    · 저자명 : 서남영

    초록

    본고에서는 일본의 에이세이永青 문고 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영평년간永平年間(508~511년) 도교상에 관한 ‘과도기적 도교상’으로서의 해석과 기존의 ‘부현鄜縣양식’이라고 불렸던 6세기전반섬서지역 특유의 평행선 문양에 관해서 살펴보았다. 필자는 신 자료인 “조상소획기造像所獲記”와1900년대 초기 자료를 통해 영평년간 도교상의 전래 경위와 도상적인 특징을 살펴보고, 본상과더불어 6세기전반 섬서지역 조각상에 공통적으로 확인되는 평행선平行線 문양이 유행한 범위와유래에 관해서도 살펴보았다.
    특히 섬서지역 조각상의 대표적인 양식으로 언급되어 온 평행선 문양이 확인되는 단독상과 사면상, 석굴의 검토를 통해서 섬서지역 중에서도 임동臨潼과 요현耀縣, 부평富平을 중심으로 하는서안과 그 부근 지역권에서 확인된다는 점과 시기적으로는 6세기 전반(500~520년)에 집중적으로제작된 경향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서안과 그 부근에서는 5세기말까지는 평행선이 확인되지 않다가6세기 초부터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시기별로 처음에는 부분적으로 평행선이 표현되다가 510년경에 이르면 착의 전체에 흐르는 것처럼 묘사되고, 최종적으로는 본존이나 협시, 천인상의 옷 주름을 표현하는 착의에만 한정적으로 쓰인 것이 아니라 일월, 용, 사자 등의 표면을 장식하는 하나의 문양으로 크게 유행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평행선 문양에 관해서는 기존의‘부현鄜縣양식’이라는 용어보다는 ‘서안주변 양식’으로 부르는 것이 타당하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또한 6세기 초에 서안과 근교에서 제작된 도교상과 불상에 유행한 평행선 문양의 유래에 관해서는, 한대 화상석에서 확인되는 석조의 조각 표현에서 공통점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한민족이애호했던 전통적인 도상이 증가하는 경향에 관해서도 화상석에서 표현된 주요 소재가 6세기 전반에 다시 유행한 것으로 추정했다. 이와 같이 한대의 화상석은 6세기전반 서안 근교에서 제작된도교상과 불상 등의 조각에 다각적으로 영향을 끼친 것을 알 수 있으며 그 요인으로는 서안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의 복고주의적인 제작 경향이 반영된 현상으로 해석했다. 따라서 6세기전반 서안을중심으로 한 지역에서 평행선 문양은 도교상이 중국에서 최초로 형상화 될 때 필요했던 전통성과독자성에 부합하는 전통적인 제작기법으로, 이러한 초기의 현상을 바로 영평년간 도교상을 통해확인할 수 있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the interpretation of the Taoist image of the Yeongpyeong year (永平年間, 508-511 AD) in the Eisei Bunko Museum of Japan as a 'transitional Taoist image' and the parallel lines pattern unique to the Shǎnxī (陝西) region in the first half of the 6th century (which was called the ‘FùXiàn 鄜縣 style’) were examined. I examined the transmission process and icon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Taoist image during the Yeongpyeong year through the recently discovered text “Zozoshokakuki(造像所獲記)” and data from the 1900s. The range and origin of the parallel lines pattern, which is commonly found in statues, were also examined.
    Through a review of the monolithic, four-sided, and grottoes that contain the parallel lines pattern - which has been mentioned as the representative style of statues in the Shǎnxī region -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intensive use of this style in the first half of the 6th century (500-520 AD) particularly in Líntóng(臨潼), YàoXiàn(耀縣), and Fùpíng(富平) of the greater Shǎnxī region.
    However, the use of the parallel lines pattern was not confirmed until the end of the 5th century; its appearance increased from the beginning of the 6th century. In addition, the way the parallel lines pattern was used changed periodically. Initially the parallel lines were expressed in small areas of the artwork, but by around 510 AD, the pattern was seen throughout the entire piece. From only being used to describe the texture of clothing, the parallel lines pattern grew in popularity and was later observed in the representations of other objects including the sun and the moon, dragons, and lions. Therefore it is more appropriate to call the parallel lines pattern ‘the style around the Xi'an(西安)’ as opposed to the ‘FùXiàn(鄜縣) style’.
    Also the parallel lines pattern that was popular on Taoist and Buddhist images made in and around Xi'an region in the early 6th century could be found in the sculptural expressions of the stone reliefs from the Han Dynasty.
    This pattern, which was observed in the traditional iconography favored by the Han Chinese, is believed to have regained popularity in the early 6th century.
    In this way, it can be seen that the Han Dynasty stone reliefs had a multifaceted influence on sculptures (such as the Taoist and Buddhist images) made in the suburbs of the Xi'an region in the first half of the 6th century.
    Therefore, the inspection of the Taoist images of the Yeongpyeong year revealed that the parallel lines pattern was a unique and traditional technique needed to shape the Taoist image in the first half of the 6th century in and near the Xi'an reg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