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과 대만 양안 간의 사법공조 현황과 남북한 간 사법공조 방안 모색의 시사점 - 형사사법공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urrent Situation of Judicial Assistance between China and Taiwan and Its Implications for Seeking the South and North Korea Judicial Cooperation - Focused on Judicial Mutual Assistance)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1 최종저작일 2019.08
34P 미리보기
중국과 대만 양안 간의 사법공조 현황과 남북한 간 사법공조 방안 모색의 시사점 - 형사사법공조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중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법연구 / 39권 / 139 ~ 172페이지
    · 저자명 : 양효령

    초록

    중국과 대만 양안 간의 교류협력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중국과 대만의 관계를 ‘하나의 중국’으로 인식하고 각각 ‘일국양제(一国两制)’와 ‘일국양구(一国两区)’의 통일방안을 확립하여 상호간의 정치적 실체를 인정하는 조건하에 양안 간의 사법공조를 위한 관련 방안을 마련하여 시행하고 있다.
    양안 간의 사법공조는 오래된 시행착오와 실전 경험으로 통해 확립되었다. 양안 간의 교류협력 초기에는 양측이 각자의 입법체계에 근거하여 관련 단행법을 제정하였으나, 종국에는 협의를 통해 체결한 ‘사법공조합의서’를 바탕으로 시행하고 있다. 더욱이, 양안 간의 법률충돌(conflict of law)문제를 ‘구제법률충돌(Interregional conflict of Laws)’, 즉 한 국가 안에 서로 다른 ‘법역(Law district)’ 간의 법률충돌 문제로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구제(区际)사법공조’ 체계를 확립하여 시행하고 있다.
    우리의 경우에도 남북한 교류협력의 추진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법률문제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남북한 관계’에 대한 기본적인 합의가 이루어져야 향후 남북한 간의 사법정책 마련의 장애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남북한 간의 발생하는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치적 해결수단을 활용하기 보다는 교류의 지속성과 안정성을 고려한 법적인 해결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이에, 남북한 간의 사법제도의 차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 즉 법 적용에 필요한 법률 해석 및 적용 기준을 마련하고 형사사법공조에 있어서 실체법적 규정과 절차 등을 ‘남북한 관계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상호주의’를 바탕으로 조약 형식의 「구제(区际)형사사법공조 협의서」를 체결할 필요가 있다.
    특히, 남북한 간에 체결하게 될 ‘구제(区际)형사사법공조’ 방안은 국제형사사법공조와는 달리 남북한 주민 간의 발생하는 형사사건을 하나의 민족(국가) 내부 사이에서 서로 다른 법률제도와 법역 간의 법률충돌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구체적으로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남북한의 정치적 상황에 따른 특수한 관계를 반영하여 우리 주민의 북한 지역 방문 시 신변안전 보장 방안과 형사사건 처리를 위한 법적 보호절차 및 범죄인 인도, 형사판결의 집행(집행의 인수와 집행의 청구)을 중심으로 ‘실사구시(实事求是)’를 바탕으로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As a way of solving problems arising in the process of cross-straits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China and Taiwan, China recognizes the cross-straits relations as ‘one China’ and establishes the unification plan of ‘one country, two systems’ and ‘one country, two regions,’ and under the terms of recognizing mutual political entities, relevant measures for cross-straits judicial mutual assistance have been established and implemented.
    Cross-straits judicial mutual assistance has been established through long trial and error and experience. In the early days of cross-straits exchanges and cooperation, the two sides enacted a special law on the basis of their respective legislative systems, but ultimately, judicial mutual assistance is being implemented based on the ‘Judicial Mutual Assistance Agreement’ concluded through consultation. Moreover, the issue of conflict of law between cross-straits is perceived as an ‘interregional conflict of laws’ that is to say the conflict of laws between different realm of law within a country and to solve this problem, the interregional judicial mutual assistance system have been established and implemented.
    In our case, in order to deal with legal problems arising from the promotion of inter-Korean cooperation, first of all, a basic agreement on “inter-Korean relations” should be reached which is for overcoming obstacles to the preparation of judicial policies between the two Koreas in the future. In addition, in order to solve the disputes between the two Koreas, legal solutions should be prepared considering the sustainability and stability of exchanges rather than political solu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clude a treaty-type ‘interregional mutual assistance in criminal matters agreement’ based on ‘principle of reciprocity’ considering the specificity of the inter-Korean relations in substantive legal regulations and procedures in the mutual assistance in criminal matters.
    Unlike the International Judicial Mutual Assistance in Criminal Matters, the ‘Interregional Mutual Assistance in Criminal Matters’ scheme, which will be concluded between the two Koreas, aims to provide concrete methods for solving legal conflicts between different legal systems and realm of law in one country (people) in relation to the criminal cases between the residents of North and South Korea. Therefore, it should be discussed on the basis of the “Actual Guidelines” focusing on ‘security measures for personal safety’, legal protection procedures for criminal case processing, extradition, and recognition and execution of criminal decision when our residents visited the North reflecting the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the political situation of the two Korea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