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몽 수교 20년간 음악문화 교류 (Music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 and Mongolia over the Last 2 Decade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0 최종저작일 2010.08
26P 미리보기
한·몽 수교 20년간 음악문화 교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몽골학회
    · 수록지 정보 : 몽골학 / 29호 / 63 ~ 88페이지
    · 저자명 : 박소현

    초록

    본 연구는 한국과 몽골의 수교 20주년을 기념하여, 과거 일 천년전 그리고 현재, 수교이후 20년간의 음악 문화 교류 현황을 검토한 것이다.
    첫째, 일 천년전 한국과 몽골의 음악문화의 교류를 음악사학적 측면에서 검토 하였다. 고대로부터 전하는 몽골의 제사가인 <한 우라싼 쏭(汗·乌拉山 颂)>과 한국민요 <도라지>의 음악적 유사성에 대하여, 같은 민족의 노래가 역사적 시간의 흐름 속에서 변형되어 계승된 점을 주목하게 된다. 또한, 원과 고려의 국가적 음악문화 교류를 통해 고려의 집단 가무인 <징지리(井即梨)>, 타악기인 장구를 치며 추는 고려의 춤 <장고무(杖鼓舞)> 혹은 <편고무(鞭鼓舞)>, 고려가요 <동동가(動動歌)>가 원 나라에서 유행했음을 알 수 있다.
    나아가 몽골의 야탁, 한국의 가야금과 같은 종류의 악기들을 보다 확대하여 음악사(音樂史)적으로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연구는 양국의 음악학자들이 함께 연구할 과제일 것이다.
    둘째, 수교이후 한국내 몽골음악 연구 현황이다. 한국은 몽골과 수교이후, 몽골음악학 연구는 전반기 10년 동안 권오성에 의해 조사 및 발굴 연구되어 왔으며, 이후 10년은 그의 제자인 본인에 의해 연구되고 있다. 연구초기에는 주로 몽골음악 전반을 소개한 것이고, 이후의 연구는 한국과 몽골의 음악문화를 비교한 것이 대부분이다.
    앞으로 몽골음악학의 풍성한 발전을 위하여 국내 동학(同學)들이 다수 배출되기를 기대한다. 하나의 비전을 본다면, 소중한 몽골음악학의 인재들이 한국으로 유학 중이거나, 유학을 예정하고 있어 향후 국내 몽골음악학에 또 하나의 가능성을 예측해 본다.
    셋째, 수교이후 한국내 몽골음악 활동의 주요 쟁점이다. 몽골의 음악가들은 수교 초기, 경기도 남양주에 조성된 ‘몽골문화촌’에서 몽골전통음악을 공연하여, 몽골전통음악을 한국인에게 소개했다. 이후 2000년대부터 한국 음악학자들은 아시아권의 음악문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이에 몽골의 명인 음악가들이 초청되어 몽골전통음악의 정수를 알리기 시작했다. 이로 인하여 몽골음악에 대한 관심이 급상승하게 되었으며, 젊은 몽골 연주자들의 한국내 활약이 왕성해졌다. 아울러 한국에 유학 온 몽골음악가들은 실내악 단체를 결성하고, 아시아권의 음악가들과 한국 내에서 공동으로 세계를 향한 음악적 도약을 추구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지난날 거대한 역사 속에 묻어둔 근원은 양국의 음악문화 저변에서 살아 숨 쉬고 있다. 때문에 앞으로 한국과 몽골 음악학자들의 보다 적극적인 공동연구가 추진되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realities in bilateral exchanges of musical culture between Korea and Mongol deep in the past (about 1 thousand years ago) and over last 20 years of friendly relationships between two countries after their bilateral treaty of amity.
    First, this study took an approach of East Asian musical history to investigating such bilateral exchanges of musical culture as made between Korea and Mongol about 1 thousand years ago. It focused on the musical similarity of “Doraji”, a Korean traditional folk song to “Han Urassan Ssong(汗·乌拉山 颂)”, a Mongol traditional ritual song originated from the ancient days. Here, it was found that one song of a nation has been modified and inherited into two kinds in a stream of historical tim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Jingjiri(井即梨, a collective singing and dancing popularized in the Koryeo Dynasty)”, “Jang-gomu(杖鼓舞) or Pyeon-gomu(鞭鼓舞, a dynamic dancing accompanied with percussion like Jang-gu)” and “Dongdong-ga(動動歌, a popularized ballad of Koryeo Dynasty)” were all popularized among peoples in Mongol owing to international exchanges of musical culture between Koryeo and Mongol.
    However, this study suggested that it would be necessary for follow- up studies to extend their scope of investigation into other instruments like Mongol's Jatag and Korea's Gayageum from the perspective of bilateral musical history for comparison. And these studies will possibly involve the musical scholars in Korea and Mongol.
    Secondly, this study discussed a history of existing investigations into Mongol traditional music in Korean academic world after bilateral treaty of amity between Korea and Mongol. After the treaty of amity between two countries, it is Kwon Oh-seong that played his leading role in investigating and discovering academic aspects of Mongol traditional music over the first decade, but the author of this paper - as the disciple of Kwon - has focused upon investigating them over the next decade till now. Their early studies focused primarily on introducing general aspects of Mongol traditional music, and their follow-up studies focused mostly on comparison of musical culture between Korea and Mongol.
    It is expected that many Korean companions, apart from the author of this paper, will be fostered for prosperous development of domestic investigations into Mongol traditional music in the future. As a part of the vision, for instance, many precious Mongol talents are studying or plan to study Mongol traditional music in Korean universities, so it is expected that they will be another possibility of Mongol traditional music studies in Korea.
    Thirdly, this study focused on major issues in Mongol traditional music activities in Korea after the treaty of amity between two countries. In the early bilateral friendship after the treaty, Mongol traditional musical artists performed their national traditional music at ‘Mongol Cultural Town’ established in Namyangju, Gyeonggi province to introduce it - as a kind of strange and exotic music - to Korean people. And Korean traditional music specialists have been more interested in Asian music since 2000. That is why reputed Mongol traditional music masters have been invited by Korean academic world to propagate the choice of Mongol traditional music into Korea. Then, there have been rapidly increasing interests in Mongol traditional music among Korean people, and the young generation of Mongol traditional music performers has begun to energetically roll out their performance activities in Korea. Moreover, Mongol musicians studying in Korea form their own traditional chamber music groups, and collaborate with Asian traditional musicians in Korea to pursue a leap of musical propagation from Asia into the world.
    Summing up, the essential source hidden in a vast depth of history is alive in the very foundation of bilateral musical culture between Korea and Mongol. That is why it is hopefully expected that traditional musicologists of Korea and Mongol will play a leading role in more positively promoting collaborative researches into bilateral traditional musi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0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