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급성 독성 간손상의 임상적 양상 (Clinical Characteristics of Acute Toxic Liver Injur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0 최종저작일 2004.06
10P 미리보기
급성 독성 간손상의 임상적 양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간학회
    · 수록지 정보 :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 / 10권 / 2004호 / 125 ~ 134페이지
    · 저자명 : 김진배, 손주현, 이항락, 김종표, 한동수, 함준수, 이동후, 기춘석

    초록

    목적: 연구자들은 최근 7년 간 급성 간염으로 진단된 환자에서 독성 간손상의 빈도와 임상 양상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1996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다른 원인에 의한 간염이 충분히 배제된 급성 독성 간손상으로 진단받은 68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진단기준은 CIOMS (Council for International Organizations of Medical Sciences)에서 제시한 진단기준에 따라 간세포형(hepatocellular), 담즙정체형(cholestatic), 혼합형(mixed) 간손상으로 분류하였고 기존의 만성 간질환에 독성 간손상이 병발된 경우, 알코올성 간염이 같이 의심되는 경우, 경미한 독성 간손상의 경우는 제외하였다. 결과: 1996년부터 2002년까지 연도별 급성 간염 중독성 간손상의 비율은 50- 90%로 매년 과반수 이상이었다. A형과 B형 간염은 유행 시기에 따라 매년 상호 간의 비율이 변동되었으며 급성 C형 간염은 매우 드물었다. 독성 간손상의 남녀 비는 여성이 70%로 많았고 평균 연령은 43세였다. 12.1%에서 독성 간손상의 과거력이 있었으며 3.1%에서 약물의 알레르기 병력이 있었다. 원인으로 상용 처방 약제에 의한 경우가 55%, 한약제나 녹즙 등 민간 요법에 의한 경우가 42%였다. 한약제와 상용 처방 약제를 같이 복용하여 구분할 수 없는 경우가 3%였다. 상용 처방 약제 중에는 항생제 계열이 60%로 가장 많았고 순수 소염제에 의한 경우는 19%였다. 그 밖에 항진균제, 항결핵제, 항전간제 순이었다. 증상은 황달이 56.5%로 가장 많았으며 전신 쇠약 50.8%, 피로감 49.2%, 오심 44.3% 순이었다. 황달을 호소한 환자의 54.3%에서 피부 소양감이 동반되었다. 초기 ALT, AST 평균 수치는 각각 847 IU/L, 664 IU/L였고 총 빌리루빈 평균치는 7.5 mg/dL였다. 초기 ALP 평균 수치는 196 IU/L였고 γ-GTP 평균 수치는 269 IU/L였으며 프로트롬빈 평균 시간(%)은 86이었다. 호산구혈증(>5%)은 20%에서 동반되었다. 한약제군에서 상용 처방 약제군에 비해 약제 노출 기간이 의미 있게 길었으나(33.5일 대 12.7일, P<0.05), 두 군 간에 초기 ALT, AST, 총 빌리루빈, ALP, γ- GTP 수치의 차이는 없었다. 모든 간기능 수치가 정상으로 회복되는 데 소요된 평균 시간은 32일로 한약제군과 상용 처방 약제군 사이에 차이는 없었다. 임상 양상 중 간세포형이 45.2%, 담즙정체형이 22.5%, 혼합형이 32.3%였다. 결론: 최근 급성 간염의 원인으로 독성 간손상이 바이러스성 간염보다 흔하게 발생되고 있고 중등도 이상의 독성 간손상의 원인 약제로는 한약제군과 상용 처방 약제군이 서로 비슷한 비중을 차지하였다. 향후 전국적인 조사와 함께 약제 남용에 대한 경각과 홍보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Background/Aims: Recently, acute toxic liver injury has been reported to be the most common cause of acute hepatitis. The frequency and clinical manifestations of acute toxic liver injury was evaluated.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68 patients demonstrating clinically significant acute toxic liver injury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Patients with mild biochemical abnormalities were excluded. Results: The annual percentage of toxic liver injury ranged from 50% to 90% among acute hepatitis groups. Among the causes, prescribed drugs (group D) accounted for 55%, herbs or plant products (group H) for 42% and both accounted for 3%. Antibiotics and anti-inflammatory drugs were the most common agents (78%) among group D.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43 and 70% of patients were female. Of the population, common symptoms were jaundice, weakness, fatigue, and nausea. Initial ALT and AST levels were 847±879 and 664±625 IU/L, and initial total bilirubin was 7.5±8.1 mg/dL. Acute toxic liver injury occurred after a mean of 32 days after first exposure. Liver injury resolved within a mean of 32 days. Hepatocellular, mixed, and cholestatic type was 45.2%, 32.3%, 22.5%, respectively. Conclusions: Recently, acute toxic liver injury has been the most common cause of acute hepatitis in Korea. Prescribed drugs and herbs or plant products are equally important etiologic agents of toxic liver injury. However, etiologic difference may not affect clinical courses or outcomes. A nationwide investigation of the hepatotoxicity of drugs, herbs or other plant products is requir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Clinical and Molecular Hepatology”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6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