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계약법의 기본원리에 따른 3각관계 부당이득 사안 해결- DCFR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Triangular Constellations in the Unjustified Enrichment Law -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DCFR -)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0 최종저작일 2017.05
37P 미리보기
계약법의 기본원리에 따른 3각관계 부당이득 사안 해결- DCFR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재산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재산법연구 / 34권 / 1호 / 79 ~ 115페이지
    · 저자명 : 이상훈

    초록

    지시 사안을 비롯한 이른바 3각관계 부당이득 사안은 부당이득법상 난제에 속한다. 이 문제에 관하여 독일에서는 목적적 급부개념에 따른 해결법이 제시된 이래 지배적인 견해로 되었고 유력한 비판에도 불구하고 어느 정도 유용성을 인정받고 있다. 이러한 독일에서의 논의는 2000년대 이후 우리 판례에서도 본격적으로 수용되기 시작하였고, 3각관계에 속하는 주요 사안유형에 대하여 대법원 판결들이 선고되었다. 그런데 우리 판례를 살펴보면 지시 사안과 제3자를 위한 계약 사안에서는 계약법의 기본원리를 적용하여 이른바 직접청구를 부정하지만, 채권양도 사안에서는 이를 인정한다는 점에서 그 타당성의 검토가 요청된다.
    본고에서는 이를 위하여 부당이득법에 관한 최신의 국제모델규정인 유럽민사법 공통참조기준안(이하 ‘DCFR’)의 해결법에 주목하고자 한다. DCFR은 계약관계의 청산은 계약당사자 간에 이루어져야 한다는 계약법의 기본원칙을 일관되게 적용하여 3각관계 부당이득 사안을 풀어가고 있다. 그 결과 3각관계에서 부당이득이 문제되는 경우 실제 재산이동방향과는 무관하게 계약상대방, 즉 지시 사안에서는 지시인, 제3자를 위한 계약 사안에서는 요약자, 채권양도 사안에서는 양도인을 상대로 반환청구를 하도록 한다. 그 이유로는 애초 채무자가 기대한 것은 자신의 계약상대방으로부터의 반대이행이었다는 점, 제3자를 상대로 직접청구를 인정하면 손실자에게 계약상대방의 무자력의 위험을 우회할 가능성이라는 거래되지 않은 망외(望外)의 득을 제공하고 그 결과 계약이 정상적으로 진행된 것보다 손실자가 더 많은 이득을 얻게 된다는 점, 다른 한편으로 손실자에게 수령자에 대한 무자력의 위험을 부담지워서는 안 된다는 점 등이 제시된다. 그리고 이러한 계약법의 기본원리는 계약상대방의 선택, 즉 자신이 선택한 계약상대방의 무자력 위험의 인수에 기초하고 있다. DCFR의 특징은 그 예외 인정에서도 드러난다. 우선 계약법의 기본원리가 적용되기 위해서는 실제 또는 외견상 채무범위 내에서의 이행이어야 하고, 따라서 실제 채무범위를 초과하여 이행하거나 외견상의 채무조차 없는 경우에는 직접청구가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채무자의 채무이행에 있어 임의성이 배제되는 경우에도 수령자를 상대로 하는 직접청구를 인정하고 있다.
    DCFR에서 취하고 있는 계약법의 기본원리에 따른 3각관계 부당이득 사안 해결은 타당해 보이고, 그러한 점에서 채권양도 사안에서 양수인반환설을 취하는 판례는 향후 변경될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다만 민법상 다수설․판례가 물권행위 유인성 및 해제에서의 물권적․직접적 효과설의 입장을 취하고 있다는 점에서 소유자의 원물반환 이익은 보호되어야 하고, 따라서 원물반환의 경우에는 채권적 부당이득반환청구권과는 별개로 소유물반환청구에 의한 원상회복 가능성이 인정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부당이득법에 의한 계약관계의 청산의 경우 계약법의 기본원리에 따른 반환상대방 결정 문제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점은 여전히 타당한데, 이 문제는 유인주의하에서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의 기능과 위상을 결정하는 문제와 관련이 있다.

    영어초록

    So-called “triangular constellations” including instruction case, stipulation in favour of third party case and assignment of claim case are the crux in the unjustified enrichment law. Since the concept of Leistung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se problems in Germany, triangular constellations are construed as a shortcut of the chain arrangements of transactions. Although this solution has been criticized, it is still recognized as a rule of thumb. After the 2000s this solution has been accepted in Korea, now it is settled firmly in a series of Supreme Court decisions. One of the notable points is that the direct enrichment claim was admitted in the assignment case (Supreme Court of Korea, 2000Da22850, Decided January 24, 2003), and it seems to be inconsistent with the other triangular constellations, namely instruction case and stipulation in favour of third party case. This paper aims to examine for the validity of this different conclusion.
    The author takes note of the Draft Common Frame of Reference (DCFR) Book VII, the newest model rule on the unjustified enrichment law published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the integration of European private law. Considering the three-party situations, the DCFR contains an express provision in VII.-2:102. According to this Article, when the contract relation is to be dissolved, it should be resolved between contractual partners. The rationale of the Article is that a party must look for redress from the other party to a contract because he consented to the risk of disappointment. To permit a direct claim in the three-party situations would provide him not only a windfall not bargained for but also the opportunity to detour the risk of insolvency of the other party whom he sought out when the contract concluded. As a result the direct claim is denied in the assignment case in the DCFR. Consequently, it is not a assignee but a assignor who is obliged to reverse the enrichment. To apply this fundamental principle, there are two prerequisites: (i) a disadvantaged person performed in compliance within the obligation; (ii) also he performed freely. Otherwise, the direct enrichment claim is admitted.
    It seems proper to solve the triangular constellations according to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contract law, therefore the precedent in assignment case is to be changed in Korea. In so far as the enrichment is corporeal movables or immovables, however, the possibility of claim for return in rem due to the retroactive proprietary effect also to be considered because it is a separate remedy to protect the restitution of the object as such in property law. Otherwise, in determining against whom an enrichment claim is to be exercised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contract law should be a primary criterion. This problem is also connected to the function and positioning of the enrichment claim under the casual system of ownership transf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재산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