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하철 역사 내 경로탐색을 통한 성별 시지각-인지관계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the gender correlation between visual perception and recognition through path finding in subway station)

1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0 최종저작일 2015.08
13P 미리보기
지하철 역사 내 경로탐색을 통한 성별 시지각-인지관계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0권 / 4호 / 41 ~ 53페이지
    · 저자명 : 조희영, 김석태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지하철 역사 내에서 이루어지는 이동은 뚜렷한 목적을 지니므로 경로탐색의 용이성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도시의 공공환경은 점점 더 복잡해지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더욱더 경로탐색의 어려움을 호소하게 되었다. 또한 지하공간의 방향인지는 공간의 특성상 외부정보에 대한 정보습득이 제한되므로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시각적 보조수단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전지식이라는 관점에서 방문자가 지하철 역사에서 경로를 탐색할 때 방문형태에 따라 공간인지에 미치는 시각적 환경요소와 성별인지특성을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첫 번째, 선행연구를 통하여 지하공간에 대한 공간인지환경과 경로탐색에 필요한 구성요소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지하철 공간에서 이동시 활용되는 시각적 단서를 설정하였다. 두 번째, 실험환경을 구축하여 성별로 균등히 배분된 피실험자군에 대한 시선추적실험을 수행하였다. 세 번째,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설정한 시각적정보를 관심영역(AOI)로 설정하고, 그에 대한 주시데이터 히트맵(heatmap), 응시횟수, 응시시간 데이터를 토대로 전체적인 주시특성을 분석하였다. 네 번째, 앞서 분석한 주시특성을 바탕으로 성별 인지특성을 분석하고, 성별 간 차이점을 파악하여 종합적 결론을 도출하였다. (결과)직관적 분석에서는 히트맵을 이용한 빈도를 통하여 전체적인 주시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정량적 분석에서는 주시데이터 응시횟수 및 응시시간의 상관관계를 도출하여 서로 비례관계가 성립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각 주시데이터에 따른 성별 주시특성에 대한 차이점을 도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결론)첫 번째, 최초방문의 주시특성에서 나타나는 사인 의존도는 주로 천장에 부착된 사인이 높았으며, 재방문의 경우는 사인의 의존도가 높은 천장 주변에 위치하고 있는 시설물에서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두 번째, 최초방문의 응시횟수의 비율에서 특정 시설물을 주시하는 여자와 달리 최초방문에서 공간의 모든 요소를 주시하는 남자는 처음 방문하는 장소에서도 공간의 인지능력이 높게 나타남으로서 여자와 차이를 보였다. 세 번째, 재방문의 응시횟수에서 남자는 크고 불가변적인 요소, 여자는 작고 가변적인 요소가 경로를 탐색할 때 시각적 단서로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여자는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획득능력이 높아져 남자와 여자의 주시특성이 비슷해진 것으로 판단된다. 네 번째, 응시횟수에서는 시각적 단서가 부착된 공간의 위치와과 규모에 영향을 받았으나, 응시시간에서는 목적공간을 지시하는 사인 및 시설물에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Since movements carried out within subway stations have a clear purpose, ease in terms of path-finding is very important. However, the public environment of cities is becoming increasingly complicated, and users are facing greater difficulties in finding their way. In addition, as the cognition of direction in underground spaces is restricted in terms of information that can be acquired externally with regar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there is greater necessity for supplementary visual cues. Thus, from a preliminary knowledge point of view,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visual environmental factors and gender cognition characteristics that influence spatial cognition among visitors searching for a path through the subway station. (Method) First, this study considered spatial cognition environments within underground spaces, and the composition required for path-finding, and identified the visual clues that are used to move through a subway station based on advanced research. Second, an eye-tracking test was carried out among sample groups that were equally divided by genders after establishing the test environment. Third, visual information based on advanced research was set as the “Area of Interest,” and observation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ased on an observation data heatmap, number of observations, and time of observations. Fourth, gender cognition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ased on previously considered observation characteristics, and a general conclusion was drawn after investigating the gender differences. (Results) This research identified a range of observation characteristics using a heatmap via a qualitative analysis, and a proportional relationship was established by drawing a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the quantitative analysis. Based on this, a conclusion could be drawn from the differences in gender observation characteristics within the observation data. (Conclusions) First, reliance on signs was high in the case of signs that were attached to the ceiling, and in terms of the observation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visit; in revisits, there was a high frequency of relying on signs located higher in the ceiling. Second, unlike females, who observed the specific facilities in the ratio of observation number in situation first visit, males observed all factors of the space and showed high cognitive ability with respect to the place they visited first. Third, it was recognized that large and invariable factors acted as visual clues in the case of males, and small and variable factors formed visual clues in the case of females, when they searched areas during situation revisits. It was thus interpreted that the observation characteristics of males and females are similar, as the information-acquisition ability of females increased depending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Fourth, regarding the number of observations, the visual clues were influenced by the surrounding location and size, but also by the signs that indicated the purpose of the space and facil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