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鄭逑의 著述・出版 活動과 武屹精舍 藏書閣의 藏書 傾向 (Jung Goo(鄭逑)'s writing and publishing activities and MooHeilJungSa(武屹精舍) of Book collection trends)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0 최종저작일 2017.03
33P 미리보기
鄭逑의 著述・出版 活動과 武屹精舍 藏書閣의 藏書 傾向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영남학 / 60호 / 207 ~ 239페이지
    · 저자명 : 전재동, 손진원

    초록

    본고는 武屹精舍에 소장되었던 藏書의 규모와 경향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鄭逑가 1603년에 고향 성주에 건립한 武屹精舍는 朱熹가 武夷精舍를 짓고 武夷九曲을 경영한 것에 비견되어 특별히 주목되었다. 무흘정사는 건축사적 특징뿐만이 아니라 위치와 성격, 寒岡學에서의 의미, 藏書閣에 소장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圖書 등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본고의 논의 순서는 다음과 같다. 첫째, 鄭逑의 저술 활동과 출판 활동을 분석하여 藏書의 動因을 분석한 다음, 武屹精舍에 대한 후인들의 인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 선행연구에서 파악한 武屹精舍 藏書 중 주목할 만한 텍스트를 소개하고, 각 서적의 특성과 의미를 究明하였다.
    武屹精舍에 鄭逑의 藏書가 갈무리 된 이후 그곳은 寒岡의 遺囑地이자 회연서원과 더불어 寒岡學의 중심지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武屹精舍는 산중 狹處에 위치한 이유로 守護는 인근 사찰의 승려들에게 맡겨졌으며, 이후 여덟 차례에 걸쳐 新創-重修-移建-重修의 과정을 겪었다. 武屹精舍의 장서 목록은 현재 1968년에 국회도서관에서 간행한 『韓國古書綜合目錄』과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고문서 등으로 유추할 수밖에 없다. 선행연구에서는 武屹精舍 장서각에 고문헌 78종 507책, 책판 6종이 갈무리된 것으로 파악하였다. 본문에서는 이 507책을 四部分類法으로 분류하여 각 部에 해당하는 서적의 특색을 구명하였다.
    武屹精舍 장서 목록에 한정하여 鄭逑의 독서를 논한다면, 宋明 理學을 바탕으로 한 도학자의 그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武屹精舍 장서 목록에는 조선시대 선비들의 장서목록에서 흔히 발견되는 四書五經大全本이나 三書(『史記』・『漢書』・『後漢書』) 등이 보이지 않는다. 몇몇 건을 제외하면 明初에 간행되었던 판본이 조선 초~중기에 다시 간행 서적이 거의 대부분을 이룬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size and trend of books in MooHeilJungSa(武屹精舍). It was built in 1603 by Jung Goo(鄭逑) in his home town, here are famous enough to be comparable to that of Zhu Xi(朱熹)’s MooeiJungSa(武夷精舍) affair. MooHeilJungSa(武屹精舍) was not only an architectural historical feature, but also discussed its position, character, meaning in the Hangangscholarship(寒岡學), and books presumed to have been included in the library.
    The order of discussion in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 we analyzed the motives of the librarians by analyzing the Jung Goo(鄭逑)'s writing activities and publishing activities. Second, we analyzed the collections of MooeiJungSa(武夷精舍) found in the previous research, introduced the remarkable texts, and illuminated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each department.
    The MooeiJungSa(武夷精舍) was located deep in the mountains, so the monks of the nearby temples were in charge of the administration. Because of that, it has undergone frequent fires and repeated construction work. The list of collections of MooeiJungSa(武夷精舍) is inevitable to be found in the 1968 book of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and the archives of the Korean Studies Central Research Institute.
    In the previous study, it was found that 507 books of 78 books and 6 books were collected in the old books of MooeiJungSa(武夷精舍). In the text, we classify these 507 books into the history partial metho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books corresponding to each department were examin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남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6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