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奎章閣 書吏 金德亨의 삶과 문예 고찰 (A study of Gyujanggak Seori Kim Deok-hyung's Life, Literature and Art)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08 최종저작일 2023.09
36P 미리보기
奎章閣 書吏 金德亨의 삶과 문예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76권 / 76호 / 185 ~ 220페이지
    · 저자명 : 정은진

    초록

    본 논문은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초반까지 활약한 경아전 출신 金德亨의 삶과 문예를 고찰한 것이다. 그간 꽃그림에 뛰어난 그의 존재에 대한 언급은 있었지만, 그의 구체적 삶의 이력이나 시와 서화 등 문예를 다루지 못하였다. 이에 본고에는 『內閣日曆』이나 『震彙續攷』・『里鄕見聞錄』 등 그를 언급했던 여러 문헌들을 검토하여, 그의 삶과 문예를 종합적으로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김덕형의 자는 剛中, 호는 三養齋・華山子이며 본관은 金海이다. 김덕형은 경아전 중에서도 규장각 서리인 閣吏의 업무를 수행하였고, 그 업무는 아들 김신원(후에 김예원으로 개명 추정), 손자 金健植 등으로 이어졌다. 그는 1780년 9월 兵曹 書吏를 지냈다가 1781년 12월 閣吏가 되어 1795년까지 임무를 맡았다. 그는 총 15년간 규장각 서리 직분을 담당했으나, 그는 어린 시절부터 姜世晃・沈師正・許佖・崔北・金弘道 등과 교유하며 서화의 안목을 연마해갈 기회를 가졌다. 때문에 각리가 되어서도 더욱 문예 방면에 특장을 발휘하였다. 『풍요삼선』 등에 전하는 그의 시를 통해 김덕형의 고아한 정신세계와 시세계를 엿볼 수 있었고, 같은 여항인이었던 마성린의 기록을 통해 글씨에 뛰어났던 면모를 확인했다. 규장각에 근무했던 李德懋・柳得恭・朴齊家・尹行恁 등의 평을 통해 그의 그림 실력을 충분히 알 수 있었는데, 그는 글씨보다는 그림, 그림에서는 꽃 그림에 특장을 발휘하였다. 꽃 그림에 뛰어날 수밖에 없었던 것은 그의 꽃에 대한 열정과 탐구에서 기인한 것이기도 했다. 이에 그의 스승이었던 강세황은 그의 꽃그림을 보배로이 여겨 소장할 정도였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김덕형이란 여항인의 존재와 도화서 화가라는 전문화가와 별개로 서리 출신 비전문 화가가 조선 후기 문예를 진작시키는 여항문화의 일단을 엿볼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life, literature and art of Kim Deok-hyeong(金德亨) from Gyeongajeon in the late 18th century and early 19th century. In the meantime, there has been mention of his existence, which is excellent in flower painting, but his specific life history or literature such as poetry and calligraphy were not dealt with. Accordingly, in this paper, I tried to comprehensively examine his life and literature by examining various documents that mentioned him, such as 『Naegag-illyeog(내각일력)』, 『Jinhuisokgo(震彙續攷)』, 『Ihyanggyeonmunrok(里鄕見聞錄)』, etc.
    Kim Deok-hyeong’s name received upon reaching adulthood is Kangjung, his pen name is Samyangjae and Hwasanja, and is from the Gimhae Kim family. Kim Deok-hyeong performed the duties of Gakri(閣吏), the secretary of Kyujanggak, among Gyeongajeon, and the duties were passed on to his son Kim Shin-won(renamed Kim Ye-won) and his grandson Kim Geon-shik(金健植). In September 1780, he served as Byeongjo Seori(書吏), and in December 1781, he became Gakri(閣吏), a secretary at Kyujanggak, and served until 1795. He served as secretary at Kyujanggak for a total of 15 years, but as he has been associated with Kang Se-hwang(姜世晃), Shim Sa-jeong(沈師正), Heo Pil(許佖), Choi Buk(崔北), and Kim Hong-do(金弘道) since childhood, he had a chance to sharpen his eyesight. Thanks for this, even after becoming a Gakri, he displayed his special abilities in the field of literature and art. Through his poems such as 『Pungyosamseon』, we were able to get a glimpse of Kim Deok-hyeong's elegant spiritual world and poetic world, and through the records of Ma Seong-rin, who was the same Yeohangin, we confirmed his excellent calligraphy. Through the reviews of Yu Deuk-gong, Park Je-ga, and Yoon Haeng-im, he showed his painting skills, and he showed his special skills in painting rather than writing, and in painting flowers. The fact that he had no choice but to excel in flower painting was also due to his love for and exploration of real flowers. As a result, his teacher, Kang Se-hwang, regarded his flower paintings as treasures and kept them. Through the above research, the existence of Kim Deok-hyung as Yeohangin and the fact that he was a non-professional artist from Suri, apart from being a professional painter of painted books, have given us a glimpse into a part of Yeohang’s culture that promoted late Joseon Dynasty liter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