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화엄경』「광명각품」에 나타난 교학사상 (The Ideas of Teaching and Learning Found in 「Gwangmyeonggakpum」 of 『Avatasaka sūtra』』)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08 최종저작일 2022.02
27P 미리보기
『화엄경』「광명각품」에 나타난 교학사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49호 / 45 ~ 71페이지
    · 저자명 : 강기선

    초록

    본 연구는 『화엄경』 「광명각품」에 나타난 교학사상에 대하여 살펴본 논문이다. 이 품의 핵심은 문수보살의 입을 빌어 총 10명의 수(首)자 돌림의 보살들이 등장하여 붓다의 의업(意業) 즉, 광명이 불가사의하며 자유자재함을 설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크게 5가지로 정리할 수 있는데, 첫째는 「광명각품」은 이름 그대로 “광명을 비추어 깨달음을 주는 품”이라는 뜻이다. 붓다가 이 품에서 발바닥으로 광명을 나타내시는 것은 신심이 불과(佛果)에 오르는 근본바탕이 된다는 뜻으로 여래의 광명과 광명의 깨달음을 여는(開覺) 것을 말한다. 둘째는 「광명각품」의 구성과 중심사상에 대해 언급해보면, 먼저 이 품의 구성은 전체적으로 10부분의 ‘장행과 게송’으로 이루어져 있다. 게송구와 게송 수에서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내용적으로는 차이가 없고 서로 동일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광명각품」의 중심사상은 문수보살이 설주가 되어 9수(首)보살과 시방세계 보살들이 나타나 게송으로 불세계(佛世界)를 찬탄하면서 광명으로 불(佛)의 지혜와 불(佛)의 의업(意業)경계가 한량없음을 나타내고 있는데, 「광명각품」에서 붓다가 발밑에서 광명을 놓은 것은 결과로써 믿음을 이루는 시초임을 밝힌 것을 의미한다. 왜냐하면 십신이 이루어져야 십주→십행→십회향→십지에 도달하여 등각→묘각에 들어갈 수 있는 보살 수행계위의 가장 기초가 되기 때문이다. 넷째, 백억 광명의 숫자를 말한 것은 법계에 두루 한 광명이 비치는 국토가 모두 백억이기 때문이다. 처음에는 1삼천대천이라 말하고, 그 다음은 더 넓어져서 말로 설명할 수 없는 법계와 허공계에 이른다는 것이 광명의 영역이라고 명시하면서, 이것을 품에서는 비추는 영역을 총 10중으로 교설하고 있다. 다섯째, 십수(十首)보살 법문에 담긴 전언은 광명 속에서 일체처의 문수보살이 동시에 게송을 설하여 불(佛)의 열 가지 덕(佛十德)을 찬탄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품에서는 실제로 십수보살은 설법하지 않고, 십수(十首)보살을 대신하여 여기서 문수가 설하고 있다. 이것은 법이 슬기(慧)로부터 나옴을 보이고, 반야의 소증(所證)을 총체적으로 밝힌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Ideas of Teaching and Learning found in 「Gwangmyeonggakpum」 of 『Avatasaka sūtra』. The key point of this varga is that begging for words from Mañju Bodhisattva, total 10 Bodhisattvas having Su (首) in their names preaches about Buddha’s Uieop (意業), that is prabhā being mysteriousness and free. This can be organized largely into five parts. First, as it literally means, 「Gwangmyeonggakpum」is “the varga that enlightens us with the light shined by it”. In this varga, Buddha manifests prabhā with his sole, which means the faith forms the grounds to reach the fruit of Buddha (佛果bulgwa), and it refers to the opening of Tathāgata’s prabhā and prabhā’s Buddha. Second, concerning the organization and main ideas of 「Gwangmyeonggakpum」, first, this varga consists of 10 ‘janghaeng and gāthā’ overall. Although gāthā-gu is somewhat different from gāthā-su, we can see they are identical with no difference found in contents. Third, let’s consider the main ideas of 「Gwangmyeonggakpum」 then. With Mañju Bodhisattva as the main preacher, nine Su (首) Bodhisattvas and Bodhisattvas from all over the world appear to admire the world of Buddha (佛世界) with gāthā and say Buddha’s wisdom and Uieop are limitless for his prabhā. In 「Gwangmyeonggakpum」, Buddha puts prabhā under his sole, and it implies that the consequence is the very onset to actualize faith. It is because only when sipsin is done, one can reach sipju→sipjhaeng→siphoehyang→sipji and then enter deunggak→myogak. Therefore, it is the most basic step in the hierarchy of Bodhisattva cultivation. Fourth, the number of ten billion was mentioned about prabhā, and it is because in dharmadhātu, the number of lands on which a single prabhā can be shined evenly is ten billion. At first, it is mentioned as Smcheondaecheon, and next, it gets larger and comes to reach dharmadhātu that is inexplicable and the empty world. This is the area of prabhā, they say. The area being shined is preached in the varga as total 10 jung. Fifth, according to the messages from Sipsu Bodhisattvas’ Buddhist writings, within prabhā, Mañju Bodhisattvas of Ilchecheo (一切處) preach gāthā all at the same time to admire Buddha’s 10 virtues. In the varga, however, Sipsu Bodhisattvas do not preach, but Mañju does it on behalf of them. We can see that this tells us dharma comes from wisdom and reveals prajñā elevated and gained, that is Sojeung (所證) holistical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