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박세채 『範學全篇』의 판본과 구성 고찰- 장서각본 계열과 규장각본 계열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dition and Composition of Beomhakjeonpyeon)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08 최종저작일 2020.04
28P 미리보기
박세채 『範學全篇』의 판본과 구성 고찰- 장서각본 계열과 규장각본 계열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藏書閣 / 43호 / 172 ~ 199페이지
    · 저자명 : 김정철

    초록

    『範學全篇』은 南溪 朴世采(1631~1695)의 대표 저술로서, 적지 않은 판본이 남아있음에도 구체적인 검토는 한 번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판본의 특징과 계열은 긴 시간에 걸친 수정 과정을 반영하고 있으며, 그 구성에는 박세채의 저술 의도가 드러나있다.
    본고에서는 모두 7종의 『범학전편』 판본들을 분석하였고, 장서각본 계열과 규장각본 계열로 구분하였다. 두 계열의 차이로 볼 때, 『범학전편』은 서문이 작성된 1684년이후에도 1691년 무렵까지 수정 과정을 거쳤으며, 박세채는 이 책의 저술에 상당한공을 들인 것으로 보인다.
    『범학전편』의 제목과 구성에는 저자의 의도가 드러나 있다. 제목인 ‘範學’은 『서경』 「홍범」에 관한 학문일 뿐 아니라, 더 넓은 의미를 지니고 있다. ‘범학’은 「하도」와 「낙서」, 『서경』 「홍범」, 채침의 『홍범황극내편』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本數 중심의 원리와그 계승성을 뜻한다. 또 마지막에 수록된 「기자」편은 箕子의 실제 행적을 모아 정리한 것으로 ‘범학’의 중심에 기자가 있음을 강조한 것이다. 곧 『범학전편』의 구성은 원리와 계승성[主意] 및 기자의 실제 행적[實蹟]을 아우르는 종합적 성격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범학전편』의 주석 가운데 출처가 불분명했던 ‘補註’와 ‘補解’의 정체를밝혔다. 여러 자료를 검토한 결과 보주의 저자는 명의 章品이고, 보해의 저자는 조선의 李純이다. 두 사람은 모두 16세기에 채침의 『홍범황극내편』을 주해하였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으며, 박세채는 『홍범황극내편』의 미완성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두 사람의 견해를 인용하였다. 『범학전편』의 구성은 기자 중심의 도통의식이 반영된 17세기 조선 경학 연구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영어초록

    Beomhakjeonpyeon (範學全篇) is a book representing Namgae Park Sae-che (南溪 朴世采, 1631~1695). Even if there are not a few editions of the book, the book has never been analyzed in full scale. The characteristics and series of the editions reflect the long-time revision process of the book, and its composition reveals the author’s intention in writing the book.
    This paper analyzes the 7 editions of Beomhakjeonpyeon, and categorized it into Jangseogak ( 藏書閣) series and Gyujanggak ( 奎章閣) series. Given the differences of the two series, the book must have been revised from 1684 when its preface was written to around 1691. It seems that the author Park Sae-che put much efforts in writing the book.
    The title and composition of Beomhakjeonpyeon reveal the intention of the writer. ‘Beomhak (範學)’ in the title not only deals with Hongbeom (洪範) of The Book of Documents (書經), but others. ‘Beomhak’ is the concept embracing Luo-shu (洛書), Hongbeom of The Book of Documents, and Hongbeomhwanggeuknaepyeon (洪範皇極內篇) of Chae- Chim (蔡沈). And the ‘Gija (箕子)’ part in the end of the book summarizes the performances of Gija, and it shows that Gija is at the center of ‘Beomhak’. That is, we can understand that the composition of Beomhakjeonpyeon is complicated including principle [主意] and practical performances [實蹟].
    Finally, this paper revealed the origins of ‘boju (補註)’ and ‘bohae (補解)’ in notes of the book whose authors had been unclear. The writer of ‘boju’ was Jang Pum (章品) of Ming China and the writer of ‘bohae’ was Lee Sun (李純) of Joseon Dynasty. Both writers have a common aspect in the sense that each commented Hongbeomhwanggeuknaepyeon in the 16th century. Park Sae-che cited views of the two writers to compensate for the not finished part of Hongbeomhwanggeuknaepyeon. Beomhakjeonpyeon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of the Classics in those day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藏書閣”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