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曹溪眞覺國師語錄』에 나타난 三學 (Samhak (三學) Appearing in “Jogye Jingak Guksa Analects (曹溪眞覺國師語錄)”)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08 최종저작일 2018.12
23P 미리보기
『曹溪眞覺國師語錄』에 나타난 三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36호 / 247 ~ 269페이지
    · 저자명 : 하영수

    초록

    계‧정‧혜(戒定慧) 삼학(三學)은 초기불교이래 현재까지 불교 수행의 핵심이다. 그렇지만, 초기불교와 남종선 계통의 선불교 인식 차이로 인해 달리 생각하였다. 깨달음을 돈오(頓悟)와 점수(漸修)로 인식하여 서로 다른 것으로 여기게 된 것이다.
    眞覺國師 慧諶(1178-1234)은 남종선을 전승하고 있었으므로 『조계진각국사어록』에서도 돈오 개념인 삼학이 보인다. 이 어록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것으로 그동안 어록과 관련된 연구는 많이 진행되었지만, 삼학이라는 주제로 연구한 것은 없다. 그 이유는 어록은 최상근자(最上根者)를 위한 것으로 그 법문의 내용이 돈오라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어록 또한 깨달음을 목적으로 설한 것이기에 여기에서도 불교 핵심인 삼학이 내제되어 있다.
    『조계진각국사어록』에 나타난 삼학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점진적인 것이 아니라 돈오의 원리에 이루어진 삼학이다. 이러한 사상의 근거가 되는 것은 혜능선사가 지은 『육조단경』인데, 이것에서 연원을 찾을 수 있다. 혜심은 삼학 이전에 가져야 할 것은 믿음으로 信을 바탕으로 하여 계정혜가 이루어진다고 했다. 그는 어록에서 삼학을 계율, 선정, 지혜 등의 것들은 善한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善하다는 것이 삼학으로 선한 생각조차 없는 상태를 화두 일념에 든 것이고, 이 상태가 되면 그 안에 信과 삼학이 존재한다고 보았다.
    이렇게 수행한 자의 삶을 어록에서는 ‘무사인(無事人)’으로 표현을 하였다. 삼학을 인식하는 것에서는 초기불교와 남종선 계통의 선불교에서의 차이는 분명하게 존재한다. 그러나 본질적인 측면에서 생각해보면 삼학은 모두 깨달음과 관련해서 이야기하고 있다. 그러므로 깨닫기 위해 가는 방법이 다를 뿐, 이것의 지향점은 같기 때문에 절대 다르지 않다.

    영어초록

    Gyejeonghye Samhak is the core of Buddhist practice to date since the early Buddhism. However, it is thought differently because of the recognition difference between the early Buddhism and the Seon Buddhism of Namjong Seon system. It is regarded as different because the enlightenment is recognized as gradual or sudden enlightenment.
    As Jingak Guksa Hyeshim (1178-1234) was handing down the Namjong seon idea, "Jogye Jingak Guksa Analects" also shows Samhak, a concept of Sudden Enlightenment. These analects are the oldest in Korea and many studies related to analects have been conducted in the past, but there has been no study with the subject of Samhak. The reason is that the analects are for the best because the contents of Buddhist writings were Sudden Enlightenment. However, since the analects are also addressed for the purpose of enlightenment, Samhak, the Buddhist core, is also inherent here.
    Samhak in "Jogye Jingak Guksa Analects" is not a gradual one that is generally known, but Samhak in the Sudden Enlightenment principle. The basis of this idea is "Yukjodangyeong", which can be found in this. Hyeshim believes that there is a thing which should be belief before Samhak, and Gyejeonghye is said to be based on belief. He defines Samhak as "goodness" in the analects, such as ruling, selection, and wisdom. As something goodness is Samhak, the status of some thought like goodness means getting into one mind of Hwadu, and in this state, belief and Samhak exist in it.
    The life of the person who performed this was expressed as 'Mushiren' in the analects. The difference between the early Buddhism and the Seon Buddhism in the Namjong seon system is evident from recognizing Samhak. But from an essential point of view, everyone talks about Samhak related with the Enlightenment. Therefore, the way to go to realize it is different, and the aim of this is the same, and not to be any differ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