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신문 속 명명하기의 수사학 - 승부수 언어(ultimate term)로서의 ‘국론 분열’의 사회구성적 의미 (A Rhetoric of Naming in Korean Newspapers - A Socio-Constructive Meaning of the ‘Split of National Opinion’ As an Ultimate Term)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05 최종저작일 2008.08
45P 미리보기
한국 신문 속 명명하기의 수사학 - 승부수 언어(ultimate term)로서의 ‘국론 분열’의 사회구성적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언론정보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언론정보학보 / 43권 / 3호 / 314 ~ 358페이지
    · 저자명 : 남궁은정, 신성진, 이인희

    초록

    신문에서는 사회의 커다란 갈등이 생겼을 시 ‘국론 분열’이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하지만
    이 말은 매체 속에서 사회적으로 특정한 의미를 구성하고 있는 사회맥락적인 언어이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 사회에서 ‘국론 분열’이라는 표현이 함축하고 있는 의미는 무엇이며
    이것이 우리 사회에서 맡고 있는 역할은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특히 이 단어가 특정한
    상황을 명명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특히 사회 내의 최고 위계를 갖는 사회적 단어인
    승부수 언어라는 점에서 ‘국론 분열’의 쓰임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세계, 중앙, 문화, 동아, 서울, 국민, 한국, 경향, 조선, 한겨레 등 총 10개의
    주요 일간지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각 신문에서 나타나는 ‘국론 분열’이라는 단어의 텍스트
    적 의미를 밝히기 위해 은유와 등치된 단어들의 빈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사회적 맥락
    속에서 구성되는 의미를 알아보기 위해 각 신문에서 지칭한 ‘국론 분열’적 사건과 ‘국론
    분열’의 주체를 찾아 빈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론 분열’은 병, 재앙, 비용의 은유로 주로 표현되고 있었으며, 이에 대한 태도나 제시하는 대처행동은 부정적이면서 수동적이었다. 둘째 ‘국론 분열’은
    국정, 국가적 손실, 사회문제, 이념 등과 같은 단어들과 같은 위계를 가지고 있었다. 셋째
    ‘국론 분열’적 사건과 ‘국론 분열’의 주체는 각 신문사마다 각기 다르게 지칭되어 신문사에
    따라 승부수 언어를 다르게 의미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승부수 언어는 참여자들과 기존 행위자간의 권력 불균형을 만들고 일부
    개인이나 집단을 배제시킨다는 점에서 수사적 힘을 갖게 된다는 논의 또한 이뤄졌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d how the meaning of news stories covering the split
    of national opinion was constructed in the media to represent social conflicts.
    To clarify the function of the term ‘split of national opinion’ as an ultimate
    term, this study examined the meaning of the term in the context of both
    text and society.
    Ten newspapers were included in the content analysis. The frequency of
    words used for the purpose of metaphor and equivalent in describing the
    split of national opinion was calculated to determine their meaning in the
    textual context. The frequency of incidents and subjects involved in allegedly
    causing the split of national opinion was calculated to determine their meaning
    in the social contex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erm ‘split of national opinion’ was coined by the newspapers
    as a metaphor of disease, disaster, and cost. The attitudes or the ways in which the split of national opinion was dealt with were generally negative
    and passive. Second, the term ‘split of national opinion’ was dealt with an
    equivalent status of such terms as national policy, national loss, societal problems,
    and ideology. Third, each newspaper reported that the split of national
    opinion had been caused by certain subjects, which indicates that each newspaper
    had its own position of viewing who was the key player in splitting
    the national opinion.
    The implication was also discussed that the use of the ultimate term would
    incur the unbalance of power between participants and the existing players,
    which would make individuals or groups who were involved in the social
    actions excluded and make the newspapers exercise the rhetorical power as
    news medi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언론정보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