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방송전공 학생의 체험학습을 위한 방송박물관의 기능 활성화 연구 (A Study on the Functional Activation of Museum of Broadcasting as an Educational Tool for Broadcasting Majors)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05 최종저작일 2009.03
38P 미리보기
방송전공 학생의 체험학습을 위한 방송박물관의 기능 활성화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회
    · 수록지 정보 :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 26권 / 1호 / 39 ~ 76페이지
    · 저자명 : 오명환, 임의택

    초록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기존의 방송박물관과 차별화를 통하여 ‘전시와 관람’에 비중을 둔 과거형 방송박물관에서 나아가 살아있는 체험 공간으로써 정체성을 확립하는 것이다. 지식기반 사회, 정보화 시대의 방송박물관은 전문교육을 뒷받침하는 멀티 기능형 체험학습 공간으로 자리매김 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방송박물관 관람자들이 설비ㆍ전시물ㆍ콘텐츠 장르별로 방송 체험형 박물관을 어떻게 이용하는가를 살펴보았다. 152명의 방송 전공 학생들의 설문 조사를 통해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장 인상 깊었던 설비공간은 버추얼 스튜디오가 관심을 끄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향후 바람직한 박물관 형태로는 방송에 대한 직접 참여와 체험을 통한 학습공간의 필수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접 체험 분야로는 방송카메라촬영과 방송편집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넷째, 방송박물관에서 희망하는 수강 과목은 편집, 방송인 특강, 촬영 순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방송박물관에 바라는 사항으로는 방송에 대한 직접 체험 시설 및 공간 확충을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를 통해 현장성ㆍ직접성ㆍ체험성이 높은 전문적이고 종합적인 방송박물관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방문자는 적극적인 이용자가 되고 관람자는 능동적인 체험자가 되어 창조적 활동을 지향하는 것으로 분석 되었으며, 이러한 연구결과가 갖는 이론적 함의를 논의하고 향후 방송전공 학생의 체험학습을 위한 방송박물관 기능 활성화 개선을 위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s object is that through the distinction against the existed broadcasting museum, we established any identity as a live experience space derived from the past broadcasting museum, which is base on ‘Exhibition & Watching’. the broadcasting museum of knowledge based society and IT era should be established as the space for multi-functional experimental study supporting the professional education.
    I examined how the watchers of the broadcasting museum use the broadcasting experimental typed museum. The below analysis resulted from researching 152 students majored in the broadcasting survey.

    First, the most impressive space for some equipments is shown as virtual studio.
    Second, the desirable museum style should be high for the direct participation in the broadcasting and essential space for study.
    Third, shooting field for the broadcasting with camera and broadcasting edition are presented in order in the direct experimental field.
    Fourth, the desirable experimental field students want to join is shown as edition, lecture for the broadcasting related person and shooting in order.
    Fifth, broadcasting related persons are presented to expect their own space for the direct experimental space and establishment of their own spaces.

    Through the result of this study, professional and general broadcasting museum that high vivid, direct and experimental factors are shown. In other words, the visitors would be the affirmative users and the watcher would be the full-hearted experiencers to aim for the creational activity. Also, I discussed the theoretical meaning and suggested the alternatives based on the policy for activating the broadcasting museum function in experiencing the students’ experimental study, whose majors are broadcasting field in the fu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