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가재산의 국가승계에 관한 관행 연구 (Die Untersuchung über die Staatenpraxis für Staatensukzession in die Aktiva)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05 최종저작일 2008.12
28P 미리보기
국가재산의 국가승계에 관한 관행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국제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제법학회논총 / 53권 / 3호 / 95 ~ 122페이지
    · 저자명 : 신용호

    초록

    국가 영토 변경의 경우에 영토승계국에 의한 영토선행국 재산의 국가승계는 국제법학계에서도 논란이 많은 분야 중에 하나이다. 1983년 국가재산, 공문서 및 부채의 국가승계에 관한 비엔나협약이 성안되었으나 극소수 국가들만 가입함으로서 조약법화되지 못했다. 국가승계와 관련하여 국가재산을 행정재산과 재정자산으로 구별하는 것은 대륙법계 국가들의 전통이며 그동안의 국가관행과 일치한다. 영토선행국의 소멸에 따른 전부승계의 경우 영토승계국은 원칙적으로 영토선행국의 모든 재산, 즉 행정재산과 재정자산을 승계한다는데 다수 학설과 국가관행 및 각국의 국내 판례 등은 일치된 견해를 보이고 있다. 영토승계국이 복수인 경우 적절한 비율에 따라 승계한다는 국가관행이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토승계국 영역 밖 제3국에 소재한 선행국의 행정재산 및 재정자산의 승계문제는 영역승계에 관한 재산 소재지국의 승인 및 승인시점 등에 크게 의존될 수밖에 없다. 선행국이 소멸하지 않은 부분승계의 경우에도 영토승계국 영역 내에 소재한 행정재산을 영토승계국이 승계한다는 데는 학설과 국가관행이 일치하고 재산 승계 실행에 큰 어려움은 없다. 그러나 일부승계의 경우 영토선행국의 재정자산은 영토승계국으로 승계되지 않는다. 물론 영토승계국 영역 내에 소재한 재정자산은 영토승계국에 의해 강제 수용될 수는 있다. 국가공문서의 개념은 국가나 국민의 전체 또는 일부의 이익을 위하여 작성된 일체의 문서로 넓게 해석된다는 것이 국가관행 및 1983년 비엔나협약의 입장이다. 국가공문서는 그동안의 국가관행에 의하면 행정재산에 포함되었지만 행정재산과는 다른 여러 특징에 의해 1983년 비엔나협약에서는 별도로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비엔나협정의 입장은 타당하다. 영사서류 등 제3국 소재 영토선행국의 공문서는 제3국 소재 행정재산과 마찬가지로 영토승계국에 승계되지만 공문서 소재 제3국의 영토승계에 관한 승인 및 승인시점에 크게 의존된다. 재산의 국가승계를 방해하기 위한 영토선행국의 악의적 행위, 즉 소유권의 변경 등은 국가승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러나 이 période suspecte의 시점을 언제로 할 것인가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영어초록

    Bei Teritoriumsänderungen der Staaten ist die Frage nach dem Übergang der Staatsvermögen auf Nachfolgestaaten zwischen Völkerrechtslehren sehr umstritten. Die Wiener Konvention über die Staatennachfolge in Staatsvermögen, Archiv und Schulden vom 8. April 1983 wird keine Zustimmung von Völkerrechtslehren fand und wahrscheinlich niemals in Kraft tretten. Die Differenzierung zwischen Verwaltungsvermögen und Finanzvermögen ist in der Staatenpraxis innerhalb der Europäschen Kontinental Staaten allgemein anerkannt und vereinbar mit Staatenpraxis. Soweit es sich um im Inland befindlichen Verwaltungsvermögen und Finanzvermögen handelt, gehen die allgemeinen Rechtslehre, Staatenpraxis und Urteile im Völkerrecht davon aus, daß das Vermögen grundsetzlich auf diesen Nachfolgestaat übergeht. Falls mehrere Staatennachvolgern vorhanden wären, die übergehenden Staatsvermögen nach dem z. B. Anteil der Bevölkerungsanzahl aufteilen. Falls die Verwaltungsvermögen der Vorgängern in dritten Ländern befinden wäre, hängt das Schicksal der Staatsvermögen von der Anerkennung bzw. des Anerkennungsdatum der bezüglichen dritten Staaten ab. Bei Teilsukzession gehe Finanzvermögen
    der Vorgengerstaaten ncht automatisch auf Nachfolge über. Allerdings könne der Nachfolge diese in ihrem Kompetenz unterliegenden Vermögen zwangsweise in sich aufnehmen. Der Begriff von Staatsarchiv soll sehr breit sein und bedeutet nach Staatenpraxis, Rechtslehre und die Wiener Konvention vom 1983 alle für ihre Staat/Staatsteile oder Bevölkerung/ Bevölkerungsteile produzierten Archiv. Trotz Staatsarchiv nach Staatenpraxis als Verwaltungsvermögen behandelt wurden, differenzierte man wie die Regeln der Wiener Konvention wegen ihren unterschidlichen Karaktern. Die in dritten Staaten befindenen Staatsarchiv, z. B. Konsulararchiv, werden wie Vervaltungsavermögen auf Nachfolge übergehen. Aber ihre übergabe hängt sehr von der Anerkennung bzw. Anerkennungszeitpunkt der bezüglichen dritten Staaten ab. Die Aktionen der Vorgänger, die Vermögensübergehen beeinflußen werden wie Veränderung der Eigentumsregeln, ist unzuläßig. Seit wann solche Aktionen unzuläßig werden(période suspecte), ist umstriten.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제법학회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