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高句麗 건국신화의 전개와 변용 (The Development and the Modification of the Birth Myth of Koguryo(高句麗))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04 최종저작일 2009.03
26P 미리보기
高句麗 건국신화의 전개와 변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고구려발해학회
    · 수록지 정보 : 고구려발해연구 / 33권 / 43 ~ 68페이지
    · 저자명 : 정원주

    초록

    고구려 건국신화는 크게 두 가지 의미를 지니고 있다. 우선 건국신화를 통해 고구려의 시조인 주몽을 신화화함으로써 고구려 왕실과 그 계승자의 정통성과 지배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는 고구려에 예속된 다양한 기원을 가진 주민들의 신화와 역사를 고구려 신화 속에 흡수함으로써 고구려가 그들 지역과 주민들의 역사를 이은 그 지역의 패자임을 알리기 위한 것이다. 이는 단순히 고구려의 자긍심의 산물이라기보다는 이러한 합치점을 통해 고구려내의 다양한 종족들을 고구려의 권위 속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고구려의 시조인 주몽은 5세기「광개토왕릉비」와『위서』에서 주몽신화로 등장한다. 그 내용은 부여의‘동명신화’와 유사한 내용과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주몽이 북부여에서 출자했음을 알리고 있다. 이는 고국원왕 시기에 실추된 왕실의 권위와 국력의 약화를 회복하고 부여를 이어 예맥계사회와 동북아지역의 주도권을 잡을 존재임을 대내외에 알리는 것으로 고구려 정부의 공식입장을 드러내는 것이다. 이러한 주몽신화는『유기』의 편찬시기로 보이는 소수림왕대에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영양왕 시기에 편찬된『신집』을 통해서는 이미 멸망해 그 영토와 왕실마저 고구려에 귀부한 부여의 정통을 고구려가 이었음을 드러내는 건국신화인 동명성왕신화를 만들어 비로소 주몽이 동명이 되는 부여계승의식을 표방하였다. 이는 양원왕 이후 약해진 왕권의 회복과 강력한 적대국인 수나라의 위협에 맞서 국민적 단합을 꾀함과 동시에 재도약의 기틀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영어초록

    The birth myth of Koguryo can be read into two cases. First, it is aimed at exerting the authority of Koguryo and its Royal family i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by making Jumong(朱蒙), the founding father of its nation, a hero in myth. The other is the purpose of announcing as the supreme ruler who had inherited the history of all the places and their people that Koguryo had conquered, putting their myths and histories in its birth myth. These were not just for the part of its pride, but for the aims of unifying various peoples under the ruling of Koguryo.
    Jumong Mythology(朱蒙神話) that Jumong was born by influencing from the spirit of the sun, escaped from Buyo and founded the nation was written in Yu-gi(留記), which was made in the reign of the king Sosurim(小獸林王). This was the formal declaration of its royal office and was made in order to restore its honor, to regain its national strength, and to take the lead in Northeast Asia in succeeding to Buyo, which had had the hegemony over these areas just before.
    And then it had been modified and added more mythological elements in Sin-jip(新集), which was made in the reign of the king Yeongyang(嬰陽王). Buyo had already ceased to exist and its royal family had come to Koguryo as exiles. And Koguryo that had possessed the greater part of its territory made the Dongmyongseongwang Mythology(東明聖王神話) and claimed the successor of Buyo that Koguryo had succeeded the legitimacy of its history. This purpose was seeking the unity of peoples who had various historical backgrounds within Koguryo’s territory against the Sue Empire, but at the same time, solidifying the hegemony over the neighboring countr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고구려발해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