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陽明學을 통해 본 神學 - 왕양명과 칼 바르트의 유교-그리스도교 대화 - (Christian Theology in light of Yang-ming’s Confuciology: A Confucian-Christian Dialogue between Wang Yang-ming and Karl Barth)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04 최종저작일 2009.04
33P 미리보기
陽明學을 통해 본 神學 - 왕양명과 칼 바르트의 유교-그리스도교 대화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양명학회
    · 수록지 정보 : 양명학 / 22호 / 99 ~ 131페이지
    · 저자명 : 김흡영

    초록

    왕양명의 유학과 칼 바르트의 신학은, 그들이 유교와 그리스도교라는 근본적으로 상이한 전통들에 속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놀랍게도 두터운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異中同). 그들의 핵심사상인 수신론과 성화(sanctification)론은 참된 사람이 되는 길, 곧 철저한 인간화(radical humanization)의 도(道)를 추구하는 공동의 기제라는 점에서 서로 공명한다. 양명에 따르면 수신의 목표는 근원적으로 인간 본성 속에 내재되어있는 잠재적 참자기(良知)를 실현하는 것이고, 마찬가지로 바르트에 의하면 성화의 목표도 본래 창조된 인간의 참된 본성(imago Dei, 하느님의 형상)을 실현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교는 내재적 측면이 강하고, 그리스도교는 역사성이 강하다. 이러한 차이는 그들이 서로 다른 사유양식, 즉 인간-우주적 비전(天人合一)과 신(神)-역사적 비전(구속사)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근본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양명 유학과 바르트 신학은 다음과 같은 경이적인 유사성을 보여준다: 1) 결정적 패러다임 전환 실행, 2) 철저한 인간화의 구체보편적 방법 제안, 3) 존재론적 실재에 대한 역기능으로서 악의 정의, 그리고 4) 공존적 존재로서 인간이해. 유교의 인간-우주적 비전과 그리스도교의 신-역사적 비전은 동아시아 그리스도교에서 서로 만나서 새로운 신(神)-인간-우주적 비전으로 승화된다. 그리고 인(仁), 성(誠), 도(道)라는 유학적 개념들은 현대 서구신학의 딜레마를 극복하는 사유양식들을 제공할 큰 잠재력을 보여주고 있다.
    첫째, 인(仁)의 관계적이고 공동체적 사유양식은 현대인의 개인주의에 대한 적절한 교정책으로서 다른 인종․성(姓)․계급․문화와의 연대와 자연과 생태계와의 결속을 포함한다(에코페미니즘). 둘째, 성(誠)의 사유양식은 철저한 인간화를 위한 자기변화에 대한 구체-보편적 양식(수신, 성화)이 존재론적 지식과 윤리적 실천의 일치(知行合一)에 뿌리를 둔 공동체적 행위라고 제안한다. 이것은 극도로 분화되어 첨예하게 대립되고 있는 오늘날의 난제들, 특수성과 보편성, 다양성과 통일성, 이론과 실천, 정론(orthodoxy)과 정행(orthopraxis)과 같은 양극성을 통전적으로 극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셋째, 도(道)의 사유양식은 공동체적 관계성 안에서 변화하는 삶의 길로서의 도(禮, 正行), 곧 혁신적 프락시스(transformative praxis)를 주장한다(해방신학).
    더욱이 이러한 유학적 사유양식들은 예수 그리스도를 인간의 근본모형으로 믿는 그리스도인들에게 다음과 같이 새로운 이해들을 제공해준다: (1) 철저한 인간화의 도(道), (2) 궁극적 성인(聖人), (3) 성(誠)의 극치, (4) 인(仁)과 아가페의 합일을 이룬 인간성 패러다임, 그리고 (5) 양지(良知)의 궁극적 체현. 또한 이들은 도-모형, 인-모형, 신-인간-우주적 모형으로 규정할 수 있으며, 오늘날 포스트-모던적 상황에 큰 가능성을 가진 그리스도론적 패러다임들이다. 첫째, 균형(中)과 조화(和)를 우선적으로 추구하는 도(道)-모형은 지배와 확장 중심의 제국주의적 잔재와 현대과학기술 문명이 초래한 모순과 역기능들에 의해 고뇌하는 서구신학의 한계를 극복하게 하는데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둘째, 인(仁)-모형은 그리스도를 우주적이고 화해되어진 공존적 존재로 성찰하고, 호혜성과 상호성의 유교적 원리를 신-인간-우주적 차원으로 확장하고, 인간과 자연을 현시대의 지배와 착취의 원리로부터 해방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셋째, 전통적으로 새 하늘과 새 땅, 새 인간이라는 비전으로 표현되어온 신(神)-인간-우주적 모형은 예수 그리스도를 그 비전의 완성자로, 곧 새로운 우주적 인간성의 도라고 인식한다. 이러한 통전적이고 개방적인 유교적 사유양식들은 삼천년대를 위해 매우 적절한 그리스도론적 패러다임들을 제공 할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유교-그리스도교의 대화는 ‘새로운 휴머니즘을 위한 공동의 탐구’에 대한 진정한 ‘대화적 참여’를 의미하는 것이다.

    영어초록

    Although they are associated with radically different traditions, namely Con- fucianism and Christianity, the confuciology of Wang Yang-ming and the theology of Karl Barth present remarkably thick resemblances. Their crucial doctrines, self-cultivation and sanctification, share the common goal to search the way how to be fully human, that is to say, radical humanization. Whereas Yang- ming asserts that the goal of self-cultivation is to attain the true self innate in the human nature (liang-chih), Barth argues that the goal of sanctification is to realize the true huan nature in the original creation (imago Dei).
    Generally, whereas Confucianism underscores immanence, Christianity focues on historicality. This difference is owing to their different mode of thought, namely anthropo-cosmic vision (the unity of Heaven and human) vs. theo- historical vision (salvation history). Despite this fundamental difference, the confuciology of Yang-ming and the theology of Barth show remarkable similarities as follow; 1) providing a crucial paradigm shift to its own tradition, 2) advocating a concrete-universal way of radical humanization, 3) defining evil as the dysfunction of ontological reality, and 4) understanding humanity as co-humanity. The Confucian anthropocosmic vision and the Chrisitian theohistorical vision encounter each other in East Asian Christianity to be transfomred into a novel theanthropo- cosmic vision. And the Confucian notions of jen, ch’eng, and tao have great potentialities to offer viable paradigms to overcome dilemmas of contemporary Western theologies.
    Firstly, the relational and communal mode of jen, as a proper corrective to modern individualism, includes solidarity with nature and ecosystem in addition to the people of other races, sexes, classes, and cultures. Secondly, the ch’eng mode of thought proposes that the concrete-universal mode of self-transformation is a communal act rooted in the unity of ontological knowledge and ethical practice. This will be very important for our divided world, because it may overcome difficult polarities such as religious or cultural particularity and universality, or diversity and unity, theory and practice, and orthodoxy and orthopraxis. Thirdly, the tao mode proposes the way of life transformation in communal interrelatedness (propriety, orthopraxis), namely transformative praxis (in affinity with liberation theology).
    Furthermore, to Christians who believe Jesus Christ as the root-paradigm of humanity, these offer new understandings of Christ as follow: (1) the tao of radical humanization, (2) the ultimate sage, (3) the ch’eng par excellence, (4) the paradigm of humanity in the unity of image Dei and jen, and (5) the ultimate embodiment of liang-chih. These entail three modes of Christology, tao, jen, and theanthropo- cosmic paradigms, potentially effective to today’s post-modern situation. Firstly, the tao paradigm of equilibrium and harmony has a great potentiality to overcome limitations of Western theologies in struggle with imperalistic modern principles of domination and expansion and with errors and dysfuctions occurred by the development of contemporary science and technology. Secondly, conceiving Christ as the cosmic, reconciled being-in-togetherness, the jen paradigm can expand and empower the Confucian principle of reciprocity and mutuality to the theanthropo- cosmic dimension and help to liberate humanity and nature from the principle and exploitation. Thirdly, rephrasing the traditional vision of New Heaven, New Earth, and New Humanity, the theanthroposcosmic paradigm enables to conceive Jesus Christ as the one who has completely realized the vision once and for all; namely, the tao of new cosmic humanity. These wholistic and inclusive Confucian modes of thought can offer new appropriate paradigms of Christology for the third millenium. In conclusion, Confucian-Christian dialogue implies a genuine ‘dialogical participation’ for the ‘common quest for a new humanism.’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양명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