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국내 공공청사 공간디자인 특성에 대한 사례 연구 - 시민문화공간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Space Design Characteristics of Public Buildings in Korea - Focusing on Citizen Cultural Space -)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04 최종저작일 2019.02
12P 미리보기
국내 공공청사 공간디자인 특성에 대한 사례 연구 - 시민문화공간을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4권 / 1호 / 93 ~ 104페이지
    · 저자명 : 류혜지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지방자치시대 이후 공공청사는 주로 사용하는 공무원뿐만 아니라 지역주민들도 같이 이용하는 공간의 기능이 늘어나면서, 주민에게 편의를 주고 청사의 이용 효율성을 높이려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시민문화공간은 지역주민을 위해 공공청사의 외부와 내부에 조성된 문화를 누릴 수 있는 공간을 말하며, 공공청사의 공간구성에서 가장 바람직한 공간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공공청사의 공간 디자인을 시민문화공간 위주로 분석, 파악하여 미래지향적인 공공청사를 디자인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범위는 우리나라 공공청사 중에서 1999년부터 2014년까지 지방에 지어진 6곳의 공공청사를 대상으로 한정한다. 연구 방법은 문헌고찰과 사례조사로 진행되며, 공공청사의 공간과 시민문화공간에 대해 관련 논문, 책, 인터넷 자료에 대해 문헌고찰을 한다. 다음은 선정된 공공청사를 직접 방문 후 현장조사를 하여 시민문화공간 특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공공청사 건축 형태에서 2010년 이전에 지어진 공공청사는 고층 건물 형태가 대부분이었고, 지상 1층뿐만 아니라 가장 높은 층에 옥상정원이나 복합문화공간을 조성하여 지역주민이 사용할 수 있는 시민문화공간으로 제공하고 있었다. 2010년 이후에 지어진 공공청사인 경우는 고층형이 아니라 낮은 층수로 구성되어 있고 옆으로 분산되어 있는 공간 배치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면서 지상 1층에 주로 시민문화공간이 배치되어 있었다. 둘째, 공공청사 본청사를 중심으로 조사한 결과, 지상 1층에 시민문화공간이 가장 많이 위치해 있었고 다음으로 지하 1층, 지상 2층 이상 순서로 배치되어 있었다. 셋째, 가장 많이 조성된 시민문화공간의 기능은 지하 1층은 편의 및 상업 시설 제공이 유일했고, 지상 1층에는 편의 및 상업 시설 제공, 공동체 의식 강화, 지역 정체성 확보, 예술 접근 기회 확대, 시민 교육 순서였다. 지상 2층 이상은 지역 정체성 확보, 편의 및 상업 시설 제공, 시민 교육, 공동체 의식 강화와 예술 접근 기회 확대 순서였다. 넷째, 가장 많이 조성된 시민문화공간 시설은 지상 1층과 지하 1층 모두 편의 및 상업 시설 제공의 기능 중에서 편의의 성격을 갖는 은행, 우체국, 이미용실, 여행사, 보험사, 구두수선소, 서점 등이었다. (결론) 시민문화공간의 위치는 지역주민들의 접근성이 가장 좋은 지상 1층을 잘 활용하는 것이 좋으며, 고층 건물인 경우는 최고층을 지역주민들에게 개방하여 시민문화공간을 확대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겠다. 그리고, 현재 시민문화공간은 편의 및 상업 시설 제공의 기능이 가장 많이 있지만, 앞으로는 지역주민의 예술 접근 기회 확대, 지역 정체성 확보, 시민 교육, 공동체 의식 강화 기능 등을 더 확충하여 시민문화공간이 다양한 기능과 형식으로 늘어나고 강화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Citizen cultural space refers to a place where local residents can enjoy the culture created outside and inside the public office building, and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desirable space in the space composition of the public building.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signing future-oriented public office buildings by analyzing and understanding space design of public office buildings with a focus on citizen cultural space. (Method) The scope of this study is limited to six public buildings built in a specific Korean locale between 1999 to 2014. Literature reviews and case studies were conducted, and sites were survey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itizen cultural space at select public office buildings. (Results) First, public office buildings built before 2010 were mostly high-rise buildings that provide a citizen cultural space that could be used by local residents for creating a rooftop garden or some other complex cultural space, both on the top floor and the ground floor. Second, in the main public office buildings, citizen cultural space was mostly located on the first ground floor, followed by the first underground level and the second floor. Third, the first underground level only featured amenities and commercial facilities; the most advanced function of citizen cultural space on the ground floor was the provision of amenities and commercial facilities followed by the strengthening of community awareness, securement of local identity, and the expansion of opportunities to access arts and civic education; and the most advanced function on the second floor was the securement of local identity followed by the provision of amenities and commercial facilities, civic education, strengthening of community awareness, and the expansion of opportunities to access arts. Fourth, the most frequently occurring facilities of citizen cultural space among the amenities and commercial facilities on first ground floor and first underground level were banks, post offices, beauty salons, travel agencies, insurance companies, shoe repair shops, and bookstores, all of which have a character of convenience. (Conclusions) The first ground floor where residents have the best accessibility should be well utilized for citizen cultural space, and, in the case of high-rise buildings, the top floor should be opened up for the residents so that citizen cultural space can be enlarged for greater use. Further,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and expand citizen cultural space to various functions and forms by further expanding such functions as the opportunity for local residents to access the ar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9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3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