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불안한 동맹: 전후 미국의 피점령지 영화정책과 미군정기 한국영화계 (Unstable Alliance between US Government and Hollywood -Post-war US Film Policy in Occupied Territories and Korean Cinema-)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03 최종저작일 2018.02
38P 미리보기
불안한 동맹: 전후 미국의 피점령지 영화정책과 미군정기 한국영화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학연구 / 48호 / 11 ~ 48페이지
    · 저자명 : 조준형

    초록

    이 글의 목표는 2차세계대전 종전 이후 미국정부와 미국영화산업의 협력 하에 시행된 피점령지 4개국(독일, 오스트리아, 일본, 한국) 영화정책의 목표와 시행과정을 살펴봄으로써, 미군정기 한국영화정책사 및 영화사를 국제적 관점에서 고찰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이 글은 먼저 한국영상자료원이 미국국립문서기록청에서 입수한 군정기 영화정책 관련 자료(RG-165 중 CAD관련 문서)를 바탕으로 영화프로그램의 실행과 관련된 4개 기관, 즉 프로그램의 전반을 관리했던 전쟁성(47년 하반기 이후 육군성)의 민사처(Civil Affairs Division, CAD), 할리우드 영화산업계를 대표하는 영화수출협회(Motion Picture Export Association, MPEA), 현지의 군정당국(특히 주한미군정청), 일본과 한국 현지에서 미국영화의 배급을 맡았던 중앙영화배급소(CMPE: Central Motion Picture Exchange)의 국제적 역할분담과 작동방식을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그간 미군정기 한국영화정책사에 대한 연구에서 그 의미가 충분히 밝혀지지 않았던 몇 가지 중요한 정책적 토픽들, 즉 군정법령 68호와 115호를 통한 검열 정책의 배경, 적산극장의 불하, 중배와 군정간의 모호한 관계 등을 부분적으로나마 이해할 수 있는 국제적인 정황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이 글은 협력의 기조 위에서 나타난 미국 정부와 영화산업계 사이의 갈등과 균열의 양상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것은 1) 이 협력관계가 미국영화를 통한 피점령지 국민들의 재교육이라는 공통의 목적을 가지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실현에 있어서는 각자의 상이한 목표와 이해관계를 가진 동상이몽의 체제이기도 했고, 2) 갈등과 균열의 양상을 통해 오히려 전체적인 정책의 본질을 살펴볼 수 있으며, 3) 이러한 균열을 바탕으로 할 때, 중배에 대한 미군정의 모호한 태도를 해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영어초록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objectives and implementation process of the US film policies of four occupied territories (Germany, Austria, Japan and South Korea) conducted under the cooperation between the US government and the American film industry since the end of World War II, and to review the history of Korean film policy in the era of USAMGIK(U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from an international point of view.
    To this end, this paper firstly examines the four agencies that executed the film program: CAD(Civil Affairs Division) of War Department, which manages the entire program, MPEA, which represents the Hollywood film industry, the US military authorities in each countries(especially the US Army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USAMGIK), and Central Motion Picture Exchange(CMPE), which has been responsible for the distribution of the film in Japan and South Korea.
    This paper focuses on the aspect of conflict and cracking on the basis of cooperation between US government and film industry(hollywood). This is for the following reasons. 1) Despite the they had common purpose to re-educate the citizens of the occupied territories through American movies, they had different goals and interests, 2) the nature of the overall policy can be explored through conflicts and cracks; and 3) based on these cracks, it is possible to elucidate the ambiguous attitudes of the USAMGIK to CMP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