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농업기술센터 농산물 이력추적제 현장교육 실태분석 (Situational Analysis of Agricultural Traceability Education in Local Area in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03 최종저작일 2008.12
24P 미리보기
농업기술센터 농산물 이력추적제 현장교육 실태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농·산업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 40권 / 4호 / 121 ~ 144페이지
    · 저자명 : 박성열, 이철희, 남민우, 차승봉, 이현아, 박혜진

    초록

    이 연구는 농산물 이력추적제의 이용 활성화 및 확산․보급을 위하여 현장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농업기술센터 교육담당자와 소장 그리고 교육 수요자인 농업인 등을 대상으로 현행 교육실태를 중점 분석하여 향후 농산물 이력추적제의 성공적인 정착을 유도하기 위한 교육의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농업기술센터의 소장 42명, 교육담당자 43명과 농업인 16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는 실태 분석 중심의 문항을 구성하여 필요한 경우 내용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사용된 통계방법은 빈도, 퍼센트, 평균, 표준편차와 같은 기술통계치와 조사대상자 그룹간의 차이검증을 위해 t-test, ANOVA 등을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산물 이력추적제의 현장교육에 있어서 소장이나 교육담당자가 가장 어렵게 느끼는 것은 교육준비 시간부족과 이력추적제에 대한 홍보의 어려움, 담당 전문인력의 부족 등이었다.
    둘째, 농산물 이력추적제에 대한 인지도는 농업인들이 소장이나 교육담당자에 비해 덜 인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행 농산물 이력추적제 교육실태에 대한 만족도는 농업기술센터 교육담당자와 소장 간에 차이가 있었으나, 세 그룹 모두 2점대의 낮은 만족도를 표시하고 있었다.
    넷째, 농산물 이력추적제 시행을 위한 교육의 도움도와 필요도는 비교적 높은 점수를 나타냈으며, 소장이 농업인보다 더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농업인들의 이력추적제 교육에 대한 참여의향도는 매우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이력추적제의 세부 교육내용별 중요도에서는 이력추적제 우수 농가 및 노하우 소개, 이력추적제의 비전 제시 등의 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이력추적제 교육의 방법적인 측면에서 이론+실기로 이원화하여 농촌진흥청이나 기술센터에서 역할 분담으로 수행하거나, 작목이나 품목별로 분리하여 실시하는 것 등을 바람직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어초록

    The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identify the current situation of agricultural traceability education from farmers, extension educators and directors of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s and to present implications for on-site education and consulting method which bring out early adoption and successful diffusion of agricultural traceability system in local areas. Relating to the purposes, the researchers implemented mail survey and 165 farmers, 43 extension educators and 42 directors in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instrument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based on the purposes of the study. There were three different versions of questionnaires for each group.
    Based on the findings and statistical results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made.
    First, it was revealed both extension educators and directors considered lack of time and advertising traceability as barriers in terms of traceability education.
    Second, it was revealed farmers recognized less about traceability systems compared to extension educators and directors in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s.
    Third, there was a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extension educators and directors towards overall satisfaction of traceability education in local area.
    Fourth, the participants appraised the contents of education about traceability system at importance. Specially, they valued know-how and practice of advanced farmers adopting traceability system and vision and futuristic expansion at significance.
    Lastly, in terms of educational method, provincial extension office and agricultural technology center should take each role according to its own infrastructure and mission. Furthermore, offline education has to go side by side with online education and education has to be offered in line with farmers’ agricultural produc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17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3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