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자서전『백범일지』의 문화적 수용과 창작 (Cultural consumption and creation of an autobiography of Kim Koo, Paikbum Ilji)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03 최종저작일 2009.03
22P 미리보기
자서전『백범일지』의 문화적 수용과 창작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문콘텐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문콘텐츠 / 14호 / 185 ~ 206페이지
    · 저자명 : 윤유석

    초록

    본고는 백범 김구의 자서전 『백범일지』(1947)와 김별아의 소설『백범』(2008)의 비교를 통해 김구의 삶과 그 시대의 역사가 어떻게 읽히고 다시 쓰여지는가를 살펴봄으로써 역사가 문화적, 정신적으로 어떻게 수용되고 창작되는지를 연구하였다. 연구를 위한 분석 대상은 작가의 말과 본문의 내용이며, 분석 방법은 문화적 수용에 있어서는 문화과학과 정신과학의 방법론을, 창작에 있어서는 서사학의 후기구조주의 이론과 개념들을 사용하였다.
    먼저 2장에서는 개인의 삶을 다루고 있는 자서전『백범일지』가 역사와 인간을 이해하는데 어떠한 의미가 있으며 김별아가 왜, 어떻게『백범일지』를 문화적으로 수용하고 있는지를 다루었다. 3장에서는 자서전 『백범일지』가 소설 『백범』으로 어떻게 다시 쓰여지는가를 분석함으로써 자서전을 텍스트로 하는 글쓰기의 과정과 방법을 다루었다.
    분석 결과, 『백범일지』는 사회적-역사적 맥락 속에서 자기 성찰을 통해 ‘나’ 개인의 삶을 표현한 자서전의 형식을 지니고 있으며 이 작품을 통해 독자인 ‘너’가 저자인 ‘나’의 시대와 인물을 추체험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너’의 한 명인 김별아는 자신의 상상력과 감정이입을 통해 『백범일지』에서 김구의 ‘슬픔’을 이해하고 추체험하였으며 이 슬픔을 담화로 하여 새로운 이야기를 창작하였다. ‘슬픔’이라는 담화에 의해 『백범일지』의 시간, 공간, 인물, 사건은 재구성되었으며 서술의 초점, 방식, 내용도 변화되어 새로운 문화콘텐츠가 창작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필자는 자서전『백범일지』가 역사와 인간을 정신적이고 문화적으로 추체험하고 이해할 수 있게 해주는 작품이라는 것과 이것이 인간의 정신적인 필요와 욕구를 충족시킴으로써 문화적으로 수용되고 창작되는 문화소비재임을 밝히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그동안 학문적으로 접근되었던 『백범일지』와 김구의 삶이 인간의 정신적인 니즈와 욕망을 충족시키는 문화 연구 대상으로써의 가치가 있으며 문화콘텐츠가 추구하는 인간 본능의 보편요소 담지 가능성을 찾았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미를 지닌다하겠다.

    영어초록

    Paikbum Ilji is an autobiography of Kim Koo. Kim Koo(1876-1949) was the leader of Provisional Republic of Korea Government in Sanghai and Chongqeng. He lived in 19-20C, in which there were huge changes and challenges in korean history. Written in historical and social background, Paikbum Ilji makes reader to understand this period's korean culture, social and history. Kim Peol-A, an author, had read it, and wrote a novel Paikbum. In an epilogue she tells us why she had read Paikbum Ilji and wrote the Paikbum.
    So this article analyzed these two books, to explain how the Kim Koo's life story meets the cultural demand and supply. For studying cultural demand I used a general idea of science of culture, which is scientifical method to understand human and his creation, culture. From a cultural point of view, writing a novel is creative cultural behavior and it makes a supply in the market of culture contents. So for cultural supply post-structuralism theory was applied.
    Kim Koo wrote his life with self-reflection in social-historical relations. As it tells an individual life, if a reader understand his life, he/she can gain an experience of that time putting oneself in his place. Kim Peol-A read it, because she had an interest in unjust human's life way in history. After reading Paikbum Ilji, she felt a sorrow. Through this empathy she could understand it, and gain a power to live and to write. Using the sorrow in discourse, she wrote a novel Paikbum that reconstruct Paikbum Ilji 's characters, events and backgrounds.
    As a result, Kim Koo's autobiography, Paikbum Ilji is a culture contents satisfying one's mental needs and making oneself create something to supply. If we find objective and universal worth, Paikbum Ilji and Kim Koo's life story can be universal story satisfying culture consumer who demands an understanding of human and history by worth connec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콘텐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3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