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상례의 미시적 연구-정재 류치명의 상례일기 『考終錄』을 중심으로- (A Microscopic Study on funeral rites of the late Joseon dynasty)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03 최종저작일 2008.08
21P 미리보기
조선후기 상례의 미시적 연구-정재 류치명의 상례일기 『考終錄』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실천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실천민속학 연구 / 12권 / 237 ~ 257페이지
    · 저자명 : 김미영

    초록

    본 논문의 대상인 『考終錄』은 류치명(1777~1861, 호는 定齋)의 임종 순간과 이후의 의례과정을 기록해둔 상례일기로서, 류치명이 병상에 들어 숨을 거두기까지의 과정, 이후 졸곡까지의 행례과정이 수록되어 있다. 『고종록』은 여타 상례일기와 달리 행례과정에서 논란이 된 예법 중심으로 서술되어 있는 점이 주목된다. 임종에서 祔祭까지의 의례를 치르면서 빚어진 논쟁은 대략 7가지 절차에 관한 것인데, 그 배경을 살펴보면 3유형으로 정리된다. 첫째 예서에서 명확한 근거를 찾을 수 없는 탓에 논쟁이 초래된 경우로서, 스승에 대한 服制, 발인 당일의 上食, 題主奠의 헌작 등이 해당한다. 둘째 텍스트에 명시된 규범적 예(正禮)와 현실적 상황에 바탕 한 俗禮가 대립하는 경우로서, 朝祖의 예를 수행할 때 영구를 받들어 하는가 아니면 혼백으로 대신하는가를 두고 논쟁을 벌인 사례이다. 사실 이는 예서의 명백한 지침에도 불구하고 전주류씨 가문에서 행해온 독자적 예법, 곧 속례로 인해 초래된 것이었다. 셋째 망자에 대한 애틋한 情에 의해 정례를 수용하기 힘든 상황이 발생한 경우이다. 이를테면 10월 5일 사랑채에 누워있던 류치명의 증세가 심각한 상태에 이르자 일부 문하생들은 正終의 예를 치르기 위해 정침(안채)으로 옮길 것을 건의하지만, 장남인 류지호를 비롯한 혈족들은 류치명의 죽음을 도저히 인정하기 힘들어 쉽게 동의를 하지 못하고 사랑채에 그대로 머물도록 한 사례이다. 또한 습의 절차에서 반함을 할 때 류지호가 “비록 이것이 올바른 예이기는 하지만, 소렴 때 반함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라고 부친을 향한 애틋한 情을 호소하면서 반함을 연기해주도록 요청함으로써 소렴에서 반함을 행한 것 등이 해당한다.
    이렇듯 정재 류치명의 상례과정에서 나타난 예법 논쟁은 예서에 명확한 지침이 없는 경우 및 망자에 대한 애틋한 情의 표출 등의 상황에 의해 초래된 것임이 확인되었다. 전자는 변례 생성의 주된 배경으로 흔히 지적되어왔지만, 망자에 대한 情의 표출로 인해 정례 대신 변례가 채택되는 상황은 주목할 만하다. 특히 흥미로운 것은, 전자의 경우 비록 예서의 지침 부재라는 상황에 의해 논쟁이 비롯되었지만 합의점을 모색해가는 과정에서 ‘망자에 대한 情’이라는 표현이 등장하는가 하면, 결론 역시 ‘情’에 바탕 하여 내려진다는 사실이다. 흔히 人情과 禮가 합해진 것을 ‘情禮’라고 한다. 물론 정당성 확보의 측면에서는 정례에 훨씬 미치지 못하지만, 적어도 류치명의 상례를 통해 살펴볼 때 실제의 行禮 절차에서는 정례를 뛰어넘어 새로운 변례를 생성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이는 중국의 예법이 수용된 후 조선의 독자적 예법으로 발전해가는 과정에서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어초록

    『Gojongrok(考終錄)』, the subject of this thesis, is a journal of funeral rites which recorded the last moments at the deathbed of Ryu Chi-myeong[柳致明] (1777~1861) and the ritual procedures taken afterwards. It includes the process of Ryu Chi-myeong being confined to bed until he passed away and the rites held until Jolgok(卒哭). 『Gojongrok』 is highlighted for being written mainly about manners that have been issues in rites procedures, unlike other journals on funeral rites. The dispute caused from holding the rites from one’s dying hour to Buje(祔祭) is on about 7 procedures. The background can be arranged into 3 types. First is the case when the dispute is caused from not being able to find a clear foundation in the text on manners. Bokje(服制) on one’s teacher, Sangsik(上食) on the day of the departure of the hearse, and Heonjak(獻爵) of Jejujeon(題主奠) belongs here. Second is the case when regulations clarified in the text regular manners and popular manners based on practical situations differ. A dispute was held on whether the Jojo(朝祖) should be done by lifting the coffin up or replacing it by souls. This was caused by popular manner, that is, an individual manners that has been performed in the Jeonju Ryu(全州柳氏) household despite the clear guidelines in the text on manners. Third is the case when a situation being difficult to accept the regular manners due to the sad feelings toward the deceased. For example, as Ryu Chi-myeong’s symptoms worsened on October 5 as he stayed in the reception room, some students suggested moving into the Jeongchim(正寢) to follow the Jeongjong(正終). However, the eldest son Ryu Ji-ho and other family members had difficulty acknowledging Ryu Chi-myeong’s death and dit not agree easily, leaving him in the reception room. Also, when putting beads and Banham(飯含) while Seup(襲), Ryu Ji-ho expressed his sad feelings toward his father saying, “Although this is the regular manners, there are quite a few cases that put beads and rice in the mouth in Soryeom(小斂),” and asked to postpone Banham in order to do it during Soryeom.
    The dispute on manners shown in the funeral rites of Ryu Chi-myeong was confirmed to be caused when a clear guideline does not exist in the text on manners and in situations when feelings toward the deceased are expressed. The former has been commonly indicated as the main background of Byeonrye(變禮), but situations of Byeonrye being selected instead of regular manners due to expressed feelings toward the deceased draw attention. Especially, in the former case, the dispute was caused from a situation of guidelines being absent in the text on manners but expressions such as ‘feelings toward the deceased’ appear in the process of searching for an agreement. The conclusion was also made based on 'feeling(情).’ The combination of sympathy and manners is called as ‘emotional manners(情禮).’ Of course this is lower than regular manners in securing rightfulness, but when examining the matter at least through the funeral rites of Ryu Chi-myeong, we were able to discover that it was a main cause for producing new Byeonrye over regular manners in ritual procedures. Also, it is considered to have given much influence to the development of Joseon’s manners after the Chinese manners were accep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실천민속학 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