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어 광고문의 특성에 관한 연구 -일탈,열림,그리고 위반- (Artful Deviation, Openness, and Violation in Advertising English)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02 최종저작일 2009.02
21P 미리보기
영어 광고문의 특성에 관한 연구 -일탈,열림,그리고 위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새한영어영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새한영어영문학 / 51권 / 1호 / 255 ~ 275페이지
    · 저자명 : 김수정, 김신영, 김은일

    초록

    The purpose of advertisements is not only to call consumers’ greater attention but also to persuade them to purchase. Rhetorical devices that can be refined as an artful deviation are frequently found in advertisements and prove their effectiveness in memory and persuasion. In recent years, a number of researchers have referred to an increase in openness: i.e., providing less guidance towards a certain message and consequently, leading consumers to invest more effort in finding an interpretation, or in choosing between possible interpretation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various features of English print advertisements using rhetorical figures in the view of deviation. About 1,700 ads selected from four English magazines in the 2000s were analyzed according to McQuarrie and Mick (1996)’s taxonomy and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schemes’ and ‘tropes’. Familiar examples of schematic figures that deviate from expectation by excessive regularity include rhyme and alliteration, while metaphors and puns are familiar examples of tropic figures that deviate from expectation due to lack of order and require closure by their readers.
    This study also shows that the presence of various rhetorical figures, especially tropic figures, is considered as an indication for openness and that the increase in openness is supported by our quantitative analysis. The widespread use of rhetorical figures and the increase in openness and ambiguity in ads allow the consumer more freedom to interpret the message.
    One more feature in English ads is mentioned in relation to Maxims of Conversation suggested by Grice (1975). Recognizing advertising as a special case of communication, we discuss how most advertisers intentionally violate Maxims of conversation and encourage addressee to recover possible implicatures.

    영어초록

    The purpose of advertisements is not only to call consumers’ greater attention but also to persuade them to purchase. Rhetorical devices that can be refined as an artful deviation are frequently found in advertisements and prove their effectiveness in memory and persuasion. In recent years, a number of researchers have referred to an increase in openness: i.e., providing less guidance towards a certain message and consequently, leading consumers to invest more effort in finding an interpretation, or in choosing between possible interpretation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various features of English print advertisements using rhetorical figures in the view of deviation. About 1,700 ads selected from four English magazines in the 2000s were analyzed according to McQuarrie and Mick (1996)’s taxonomy and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schemes’ and ‘tropes’. Familiar examples of schematic figures that deviate from expectation by excessive regularity include rhyme and alliteration, while metaphors and puns are familiar examples of tropic figures that deviate from expectation due to lack of order and require closure by their readers.
    This study also shows that the presence of various rhetorical figures, especially tropic figures, is considered as an indication for openness and that the increase in openness is supported by our quantitative analysis. The widespread use of rhetorical figures and the increase in openness and ambiguity in ads allow the consumer more freedom to interpret the message.
    One more feature in English ads is mentioned in relation to Maxims of Conversation suggested by Grice (1975). Recognizing advertising as a special case of communication, we discuss how most advertisers intentionally violate Maxims of conversation and encourage addressee to recover possible implicatur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새한영어영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