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체개념을 통한 메를로-퐁티 현상학과 후설 현상학 연구 - 신체(몸)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Zur Untersuchung der Phänomenologie Merleau-Pontys und Husserls im Hinblick auf den Begriff des Leibes - Eine phänomenologische Untersuchung des Leibes -)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02 최종저작일 2009.02
33P 미리보기
신체개념을 통한 메를로-퐁티 현상학과 후설 현상학 연구 - 신체(몸)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상학회
    · 수록지 정보 : 현상학과 현대철학 / 40호 / 1 ~ 33페이지
    · 저자명 : 최재식

    초록

    본 논문은 메를로-퐁티와 후설의 신체개념을 통한 두 현상학의 차이를 밝히고, 후설 현상학과 구별되는 메를로-퐁티 현상학의 특징을 탐구한다. 후설의 발생적 현상학의 관점에서 메를로-퐁티 현상학을 설명하는 시도를 한편으로 인정하지만, 이런 이해는 단선적 이해에 그친다. 이는 전기 메를로-퐁티가 이미 후설이외의 다양한 아카데미 여정 (게슈탈트이론, 하이데거 존재론, 실존주의, 사회철학(헤겔, 마르크스), 정신분석(병리)학, 예술철학(회화), 언어학, 인류학 등)과 사회참여적 글쓰기 속에서 자신의 현상학을 전개시키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그가 초기에 후설의 발생적 현상학 위에서 신체현상학을 전개시키는 측면도 있지만, 이들의 간극은 이미 벌어져 있으며 후기 사상에서 더욱 크게 벌어진다. 여기서 신체에 대한 서로 차별화된 이해가 그 핵심에 있다. 명증성의 철학(후설)에 반해서 초기 신체 현상학은 불투명성과 애매성(양의성)의 철학이다. 후설은 의식과 리얼리티 사이의 심연(Abgrund)을 지적하고 있는 반면에, 메를로-퐁티는 신체 현상학을 통해서 심연이 갖는 전통적 이분법(의식과 실재, 주관과 객관, 이성과 감성(지각), 안과 밖)을 넘어서면서 살의 존재론으로 들어가고 있다. 그에게서 후설적 이분법은 차이화를 통한 키아즘의 관계로 설명되며 이원론은 심연으로 나누어진 것이 아니라, 일종의 구조로 이해된다.

    영어초록

    Diese Arbeit widmet sich dem Unterschied zwischen der Husserl’schen und Merleau-Ponty’schen Phänomenologie des Leibes Obwohl Merleau-Ponty stark von Husserls genetischer Phänomenologie beeinflusst ist, geht er einen anderen Weg als der Begründer der Phänomenologie in Deutschland.
    Merleau-Pontys Philosophie ist nicht durch eine schlichte Übernahme der Husserl’schen Philosophie oder durch eine bloße Anwendung derselben auf neue Problemfelder gekennzeichnet. Der frühe Merleau-Ponty hat schon seine Phänomenologie über Husserl hinaus in der Einfluss der verschiedenen wissenchaftlichen Studien (Gestalttheorie, Lebensphilosophie Bergsons, Fundamentalontologie Heideggers, französischer Existenzalismus, sozial-geschichtliche Philosophie [Hegel, Marx], Psychoanalyse und Psychopathologie, Kunstphilosophie, Linguistik, Anthropologie usw.) und mit den sozial teilnehmenden Schriften entwickelt.
    Dank seiner Übergriffe auf die verschiedenartigen Wissenschaften ist die Denkweise des späten Merleau-Pontys implizt auch in seinem frühen Denken zu finden. Dies beweist, dass sich Merleau-Pontys Phänomenologie im Vergleich zu Husserls Phänomenologie zu einer Phänomenologie eigenen Typs entwickelt. Merleau-Ponty legt in jeder Etappe seines Denkwegs eine originäre und einzigartige Interpretation der Phänomenologie vor. Infolgedessen wird der Abstand zwischen beiden Phänomenologen immer größer. Das ist auf eine unterschiedliche Konzeption des Leibes bei den beiden Phänomenologen zurückzuführen. Es stellt sich die Frage, welchen Leibbegriff die beiden Phänomenologen haben. Für Husserl gilt ein tiefer „Abgrund“ zwischen Bewusstsein und Realität. Merleau-Ponty hingegen arbeitet an der Überwindung unterschiedlicher klassischer Dichotomien wie z. B. Bewusstsein und Realität, Subjekt und Objekt, Sinnlichkeit und Verstand. Dies trifft auf die Phänomenologie der Leiblichkeit ebenso zu wie auf die späte phänomenologische Ontologie des Fleisches. Die Husserl’sche Dichotomie durch den Abgrund erklärt sich durch den Chiasmus bei Merleau-Ponty. Obgleich dieser diese Dualität aufnimmt, wird sie nicht als Eingähnen durch Abgrund wie bei Husserl, aber vielmehr als eine Struktur verstanden. Nur wenn die Phänomenologie des frühen Merleau-Pontys im Hinblick auf die Ontologie des Fleisches betrachtet wird, wird seine Phänomenologie des Leibes (der Wahrnehmung) seinen genuinen Platz zurückbekommen. Endlich nimmt seine Philosophie eine eigene Gestalt an, die anders als diejenige Husserls i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상학과 현대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0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