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후 시의 언술 특성 : 애도의 언어와 우울증의 언어 - 박인환·고은의 초기시를 중심으로 (Forms of Discourse in Postwar Poetry : Language of Mourning and Language of Depression)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02 최종저작일 2008.12
30P 미리보기
전후 시의 언술 특성 : 애도의 언어와 우울증의 언어 - 박인환·고은의 초기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학연구 / 23호 / 123 ~ 152페이지
    · 저자명 : 김승희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1950년대의 전후 시를 ‘애도의 언술’ 로 규정하고 전후 대표 시인인 박인환과 고은의 초기시를 새롭게 읽어보고자 하는 것이다. 1950년대 전후 시기는 역사적으로 민족적으로 가족적으로 ‘거대한 죽음과 상실의 시대’였다. 그러한 상실 앞에서 전후의 젊은 시인들은 애도의 언어 language of mourning 와 우울증의 언어 language of depression 로 전쟁의 공포와 정신적 충격에 대응하였다. 애도는 사랑하는 대상의 상실에 대한 슬픔의 수사학적 대응이다. 또한 애도는 구조화된 심리적인 과정이며 반복의 패턴으로 경험된다.
    애도는 상실한 대상을 전치(轉置)하여 다른 대상에게로 리비도의 이탈이 일어나거나 ‘영원한 상상적 세계 속으로의 미적 승화’라는 수사학적 효과를 이룬다. 그러나 리비도의 전이에 실패하고 나르시시즘적 퇴행을 보이거나 사랑하는 대상의 죽음을 불인정하여 네크로필리아의 방향으로 향하게 되거나 (박인환의 「밤의 미매장」) 상실의 대상으로 향하던 리비도가 자아에 집중되어 자기 파괴, 자기 소멸, 죽음 충동과 같은 우울증으로 나아가기도 한다. 애도와 우울증은 명확한 구분이 가능하지 않고 애도 속에 우울증이, 우울증 속에 애도가 뒤섞여 있어 그 언술 특성을 구분하기란 쉽지 않다. 권택영은 “우울증이 나르시시즘과 죽음충동에서 비롯된다면 애도는 삶 충동이며 반복 강박이다. 그러므로 애도하는 주체는 욕망의 주체이다. 프로이드의 애도는 라캉의 욕망이고 우울증은 충동이다”라고 프로이드와 라캉의 입장을 정리한다. 전후 시에 드러난 애도와 우울증의 언어를 전후 대표 시인으로 박인환과 고은의 초기 시들에서 탐색한다.
    박인환의 시적 언어는 「검은 신이여」등에서 데리다가 말하는 애도의 수사학적 특징인 ‘호격적인 근원적 절규의 언술 행위’를 보여주고 있으며 듣는 귀를 요구하는 끈질긴 시적 화자의 담화적 목소리를 반복적으로 발한다. 드 만의 말처럼 애도는 의인법을 많이 사용하는데 박인환의 「살아있는 것이 있다면」「밤의 미매장」등에서 의인법의 사용과 호격 등이 강렬하게 드러난다. 특히 밤의「밤의 미매장」의 경우 사랑하는 대상의 상실을 부인하고 죽은 타자와의 동일화와 나르시시즘적 욕망으로 인한 죽음애호증 Necrophilia 과 모순, 역설과 같은 우울증적 언어를 보여준다. 죽음의 상징화를 거부하는 것은 그의 대표작 「목마와 숙녀」에서도 마찬가지다. 사랑하는 대상의 상실에 대한 긍정/ 부인, 기억의 단절/ 기억의 돌아옴 사이에서 슬픈 리듬은 반복되고 시적 주체는 끊임없이 죽음 충동과 삶 충동, 나르시시즘과 애욕 사이에서 방황한다. 박인환 시 텍스트, 「밤의 미매장」, 「목마와 숙녀」에서는 애도와 우울증적 언어의 혼재가 강하게 드러난다.
    고은 텍스트의 경우 전쟁으로 인한 파괴성에 대항하여 자기 파괴 욕망이 더 강하게 드러나는데 모더니즘적 경향 보다는 전통 서정시 안에서 애도의 욕망을 승화한다. 그의 초기시에서는 우울증적 어조의 단조로움, 어조의 둔화 현상이 나타나지만 「폐결핵」, 「사치」에서는 소멸 지향과 무에의 찬미를 상징주의적 시풍으로 환기한다. 그리하여 상실의 대상을 ‘누이’로 치환하고 자신의 원죄의식을 ‘병을 누이에게 옮겨주는 자’로 설정한다. 시의 후반에서 ‘죽은 누이’는 ‘대자연’으로 치환되면서 죽은 대상은 무한성, 영원성의 상상계적 심미화 속에서 승화된다. 심미적 상상계 안에 누이는 안치되고 아름다움이라는 죽음의 자리에, 내가 죽인 그녀의 자리에 애도의 형식으로서의 무의미의 아름다움의 세계가 열린다. 죽음 속에서의 이상화를 만드는 승화의 역학이 고은 시에서는 상징주의적 기법으로 나타나면서 애도와 승화가 일어난다. 전후의 대표적 시인인 박인환과 고은의 초기시를 통하여 대비적으로 애도와 우울증의 언술 형식을 살펴보았다.

    영어초록

    This paper attempts to propose a new reading of postwar Korean poetry in terms of the 'discourse of mourning,' focussing on the poems of Bak In-hwan and the early poems of Ko Un. The 1950s, the postwar period, were a time of 'enormous slaughter and loss' at the levels of history, nation, and family. Confronted with such an experience of loss, young poets responded to the horrors and mental impact of war using a language of mourning and a language of depression. Mourning is a rhetorical response of sorrow on the loss of a loved one. And mourning is a structured psychological state experienced as a repeated pattern.
    Mourning displaces the lost other, so that a transfer of the libido onto another results, or having a rhetorical effect seen as an 'esthetic sublimation to an eternal imaginary world.' But if the transfer of the libido fails, the death of the loved one is not acknowledged, leading in the direction of necrophilia (see Bak In-hwan's 'Night`s Un-Burial) or the libido that had been invested in the lost one concentrates on another, heading toward such forms of depression as self-destruction, self-abolition, a death wish. Mourning and depression cannot be clearly distinguished and mourning is mixed with depression, depression is mixed with mourning, so that it is not easy to distinguish two specific forms of discourse. Gweon Taek-yeong writes, "If depression originates in narcissism and death instinct, mourning is a life-instinct and is obliged to repeat itself. Therefore the mourning subject is the subject of desire. Freud's mourning is Lacan's desire and depression is an urge," clarifying the viewpoints of Freud and Lacan. We studied the language of mourning and depression in postwar poetry with reference to the poems of the major postwar poet Bak In-hwan and the early poems of Ko Un.
    Bak's poetic language manifests the what Derrida calls the 'fundamental discourse act of exclamation, the vocative,' the characteristic rhetorical discourse of mourning, uttering repeatedly the insistent conversational voice of the poetic speaker demanding a listening ear. As De Man said, mourning uses personation a great deal, and there is plentiful use of personification and vocatives in Bak In-hwan's "If Something Remains Alive," "Night's Un-Burial" etc. Especially in the latter poem, the loss of the beloved is denied, while manifesting necrophilia by identification with the deceased other and narcissistic desire as well as depressive forms of language such as contradictions and paradoxes. Refusing to turn death into a symbol is likewise found in the poet's most famed work, "Wooden Horse and Lady." Between affirmation / denial of the loss of the beloved, rupture of memory / return of memory, a sorrowful rhythm is repeated, the poetic subject fluctuates endlessly between death-wish and life-wish, narcissism and lust. In Bak's texts, we find a strong interplay of the languages of mourning and depression.
    In the texts by Ko Un, the destructive effects of war are confronted while a desire for self-destruction is more strongly present; rather than tending toward modernism, they are sublimated into a desire for mourning in traditional lyric poetry. In his early poems, a depressive monotony of tone, a dullness of tone appear but certain poems arouse by their symbolist poetic qualities an inclination toward extinction, a praise of nihility. Here the lost one is replaced by 'sister,' and the poet's sense of original sin is expressed by his claim to have communicated a fatal disease to this (fictional) sister. In later poems the 'dead sister' is replaced by 'nature' while the departed person is sublimated into the limitlessness of an everlasting esthetic appreciation of the order of the imagination. The sister is enshrined in the esthetic world of the imagination, and in place of death, known as beauty, the place of the girl I killed, opens a world of the beauty of meaninglessness in the form of mourning. The dynamics of a sublimation creating an idealization within death are the result of symbolist techniques in Ko Un's poems, while mourning and sublimation are the outcome. We have examined the contrasting forms of discourse of mourning and depression found in the poems of the major postwar poet Bak In-hwan and the early poems of Ko U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시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2 오전